• 최종편집 2025-05-16(금)

전체기사보기

  • Z세대는 메타버스 디지털 패션에 대해 어떤 생각 갖고 있을까?
    2022년은 메타버스의 광풍인 해였다. 특히 디지털네이티브인 Z세대들은 메타버스 이용률이 두드러지게 높았고 그 중심에는 세계적으로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로블록스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로블록스는 파슨스 디자인 스쿨과 협업해 Z세대의 디지털 패션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해 관심이 집중됐다. 이번 분석은 로블록스 플랫폼의 이용자 행동 데이터와 Z세대(14~24세)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뤄진 것으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크리에이터가 패션에 미치는 영향력 확대 2022년 1월부터 9월까지 로블록스에서 활동하는 1150만 명이 넘는 크리에이터(아바타 아이템을 창작하는 사람들)가 6200만 건 이상의 가상 의류 및 장신구 아이템을 디자인했으며, 이제 이러한 크리에이터들이 패션 분야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2022년 한 해 동안 로블록스 플랫폼에서 다양한 글로벌 패션 및 뷰티 브랜드가 디지털 패션 및 몰입형 경험을 새롭게 선보이거나 기존의 인기 있는 3차원 경험과 통합된 경험을 제공했다. 구찌, 버버리, 타미힐피거, 모델 겸 사업가 칼리 클로스(Karlie Kloss) 그리고 비욘드 더 옐로 브릭 로드(Beyond The Yellow Brick Road)란 체험을 출시하면서 로블록스 크리에이터와 협업해 그의 아이코닉한 무대 의상을 모티브로 아이템을 디자인한 뮤지션 엘튼 존(Elton John) 등 아티스트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협업을 했다. ◇ 자기표현과 포용성의 중요성 로블록스의 Z세대 사용자는 아바타를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로블록스 Z세대 사용자의 절반은 최소 매주 한 번 이상 아바타의 옷을 꾸민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7%가 아바타에 옷을 입히는 것에 대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답했으며 이를 통해 △즐거움을 느낄 수 있고(43%) △디지털 컬렉션을 자랑할 수 있으며(35%) △디지털 공간에서 친구나 동료와 더 연결된다고 느껴진다(32%)고 했다. 실제로 5명 중 2명은 디지털 세계에서 옷과 장신구로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 현실 세계에서 더욱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뿐만 아니라 70%는 디지털 세계에서 포용성(Inclusivity)이 ‘매우 중요하다’ 혹은 ‘상당히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 디지털 패션에 대한 소비 표현의 수단으로 아바타의 스타일과 디지털 패션이 주목받으면서 소비자들이 디지털 패션에 기꺼이 돈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블록스 Z세대 사용자 4명 중 3명은 디지털 패션을 구매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패션에 지출하는 사용자를 살펴보면 월 최대 5달러(약 6500원)를 지출한다고 응답한 사용자는 31%, 10~20달러(약 1만3000~2만6000원)를 지출한다고 응답한 사용자는 30%에 달했다. 월 50~100달러(약 6만5000~13만원)를 지출하는 사용자는 12%를 차지했다. 이들은 아바타의 스타일을 바꾸는 이유에 대해 현실 세계에서의 기분과 감정(53%)을 가장 주된 이유로 꼽았으며 그 다음은 △새로 구매한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입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42%) △패션쇼나 콘서트 등 로블록스 내 참여하는 특정 활동이 있을 때(37%) △현실 세계의 날씨나 계절에 따라(24%) △함께 어울리는 친구들의 영향(24%) 순이었다. ◇ 현실 세계 패션과 아바타 패션의 연관성 현실 세계의 패션과 아바타의 패션의 연관성도 주목해야 할 트렌드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Z세대 사용자의 70%는 현실 세계의 자신과 유사한 스타일로 아바타를 꾸미고, 반대로 아바타가 입는 옷에서 스타일에 대한 영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디지털 패션의 높아진 위상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8%는 디지털 패션 디자이너 커리어가 실제 패션 디자이너의 커리어만큼 인상적이거나 더 인상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바타 패션에 한 달에 최대 100달러(13만원)를 지출하는 사용자 중 54%는 디지털 패션 디자이너가 되는 것이 더 인상적이라고 답했다. 벤 배리(Ben Barry) 파슨스 대학 패션 스쿨의 학장 겸 형평성 및 포용성 담당 부교수는 “디지털 패션 디자이너의 전문 분야인 디지털 패션은 패션 산업과 디자인 관행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메타버스는 디자이너가 액세스, 포용 및 자기표현을 중심화하는 방식으로 창작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패션에 있어 흥미로운 시기가 도래하고 있으며 패션 현장의 가능성과 에너지, 기회를 계속 주목해 주기를 바란다”며 “앞으로의 커리어를 준비하는 차세대 패션 디자이너들이 최신 기술과 크리에이터들의 혁신을 통해 이 창의적인 전문 영역에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미래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크리스티나 우튼(Christina Wootton) 로블록스 글로벌 파트너십 담당 부사장은 “차세대 패션 디자이너와 브랜드는 아바타에 옷을 입히고, 패션 컬렉션의 3차원 디지털 버전을 디자인하고, 메타버스 전용 아이템을 만드는 등 디지털 패션에 깊이 관여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Z세대 소비자들이 몰입형 공간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패션에 대한 경제력과 영향력이 점점 커짐에 따라 메타버스의 트렌드가 현실 세계의 패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고, 현실 세계의 트렌드 역시 메타버스 세계에도 이어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IT
    2022-11-23
  • 외교·안보 관련 해외 매체 인터뷰 질문지로 위장한 악성 문서 발견, 주의 필요
    안랩(대표 강석균)은 최근 외교·안보 관련 내용을 위장한 악성 문서파일을 연이어 발견하고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최근 발견된 사례는 인터뷰 질문지로 위장한 후 악성 매크로 사용을 유도해 정보를 탈취하거나,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 외교·안보와 연관된 제목의 악성 문서를 유포해 열람을 유도하는 방식 등이다. 특히 이 문서들의 내용을 미뤄볼 때, 연관 분야 종사자들을 노린 것으로 추정돼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인터뷰 질문지로 위장해 악성 매크로 실행을 유도하는 사례안랩은 11월에 특정 해외 매체의 인터뷰 질문지로 위장한 악성 문서를 발견했다.안랩이 발견한 문서는 ‘CNA[Q].doc’라는 파일명으로 정부의 외교와 안보 정책 등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고 있다. 만약 사용자가 답변 작성을 위해 타이핑을 시작하면 매크로 사용을 유도하는 메시지와 ‘콘텐츠 사용’ 버튼이 문서 상단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무심코 콘텐츠 사용 버튼을 누르면 악성 매크로가 실행돼 사용자 PC의 최근 폴더 경로 및 폴더 내용, 시스템 정보 등이 공격자의 서버로 유출된다.◇ 외교·안보 단체 대화방에서 유포 중인 악성 문서외교·안보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 중인 메신저 단체 대화방 등을 중심으로 유포되는 악성 문서도 꾸준히 발견되고 있다.최근 발견된 악성 문서에서 공격자는 파일명에 북방한계선(NLL), 중국 정치 현황 등 국제동향 이슈 관련 키워드를 포함해 수신자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외교·안보 분야 특정 전문가의 실명도 파일명에 포함해 수신자의 의심을 피하고 있다.피해 예방을 위해 사용자는 △출처가 불분명한 문서 파일의 실행 및 콘텐츠 사용 버튼 클릭 금지 △오피스 SW, OS 및 인터넷 브라우저 등 프로그램 최신 보안 패치 적용 △백신 최신버전 유지 및 실시간 감시 기능 실행 등 기본 보안 수칙을 지켜야 한다.김건우 안랩 시큐리티대응센터(ASEC)장은 “최근 이메일뿐만 아니라 메신저 단톡방 등 다양한 경로로 악성파일이 유포되고 있다”며 “특히 공격자들은 사용자들이 관심이 있을 만한 소재를 활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아무리 관심이 가는 내용의 문서라도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은 실행하지 않고 콘텐츠 사용도 자제하는 등 기본 보안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 IT
    2022-11-23
  • 퀀팃과 디렉셔널, 코빗에 AI 기반 소셜 트레이딩 서비스 개발 예정
    바이브컴퍼니의 핀테크 전문 자회사인 퀀팃(대표 한덕희)이 디렉셔널(대표 이윤정)과 함께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대표 오세진)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이번 협약을 통해 퀀팃과 디렉셔널은 자체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코빗에 AI 기반 소셜 트레이딩 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는 코빗의 고객들에게 데이터 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소셜 키워드 △트위터 데이터 △각 가상자산의 기술적 분석 점수 △온체인(On-chain) 분석 지표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투자 인사이트를 제공한다.코빗은 2013년 설립된 가상자산 거래소로 2017년 넥슨의 지주회사인 NXC에 계열사로 편입됐다. 업비트에 이어 국내 2호 공식 가상자산사업자인 코빗은 현재 내·외부 상장심사위원회의 심사 기준을 통과한 가상자산 110여 종에 대한 거래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퀀팃 한덕희 대표는 “시장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오랜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코빗과의 협업을 통해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콘텐츠를 개발하고 체계적인 투자 서비스를 만들어 나가는 데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IT
    • 블록체인
    2022-11-23
  • 한-아세안센터, 한국과 아세안 파트너십과 과제 및 해결 방안 고찰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해용)가 오는 24일 고려대학교 SK미래관 최종현홀에서 ‘한-아세안 포럼’을 개최한다.‘지속 가능한 한-아세안 파트너십을 위한 협력’을 주제로 올해 처음 열리는 이번 포럼은 한국과 아세안 정부 관계자 및 석학들이 모여 33년간의 한-아세안 파트너십을 돌아보고 더 장기적인 시각에서 지속 가능한 한-아세안 관계를 위한 과제와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은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와 한국유엔체제학회와 공동 주최로 진행한다.개회식에는 김해용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의 개회사, 이신화 유엔체제학회장의 개막 연설, 옹켕용(Ong Keng Yong) 전 아세안 사무총장 겸 싱가포르 난양공대 라자라트남 국제대학원(RSIS) 수석 부이사장의 기조연설이 예정돼 있다. 각 세션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세션은 정치, 경제, 사회·문화에서 한-아세안 파트너십 발전을 위한 주요 과제에 대한 한국, 아세안 대표 학자들의 발표 및 토론으로 구성된다. 2세션에서는 로버트 마이클 테네(Robert Michael Tene) 아세안 사무국 정치안보공동체 사무차장과 대한민국 및 아세안 회원국 외교부 정부 관계자(국장) 등이 아세안 중심성과 한-아세안 협력의 전략적 중요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3세션은 한-아세안센터가 개최한 ‘2022 한-아세안 학술 에세이 공모전’ 시상식과 함께 공모전 수상자들이 한-아세안 관계의 미래 주역인 청년들이 바라보는 한-아세안 관계와 앞으로 지속 가능한 파트너십 구축에 대한 발표가 예정돼 있다.
    • 종합
    • 기타
    2022-11-23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