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Home >  종합 >  기타
-
LS일렉트릭 텍사스에 생산시설 구축하며 북미 전력시장 공략 본격화
LS일렉트릭이 미국 텍사스주에 현지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북미 전력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LS일렉트릭은 14일(현지시간) 텍사스주 배스트럽(Bastrop)시에 생산과 연구, 설계 등 북미 사업 지원 복합 캠퍼스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준공식은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과 존 커클랜드(John Kirkland) 배스트럽 시장 등 LS일렉트릭과 텍사스 주정부, 지역 산업계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구자균 회장은 환영사에서 “미국 시장과 배스트럽 캠퍼스는 LS일렉트릭의 글로벌 기업 도약의 확실한 디딤판이 될 것”이라며 “오는 2030년까지 2억4000만 달러를 추가 투자해 생산 시설을 확충하는 것은 물론 현지 인력을 채용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북미 전력 솔루션 허브로 키워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전역에 생산·기술·서비스 인프라를 촘촘하게 확장해 제품과 솔루션은 물론 공급 체계와 서비스까지 사업 밸류체인 전 분야에서 철저한 현지화를 추진해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번 투자는 LS일렉트릭의 해외매출 비중 70%, 미국 TOP4 전력기업이라는 목표의 첫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배스트럽 캠퍼스는 면적 4만6000㎡ 부지에 건물 연면적 약 3300㎡ 규모로 조성돼 ‘생산-기술-서비스’를 아우르는 북미 사업 복합 거점 역할을 맡게 된다. LS일렉트릭은 2023년 해당 부지 및 부대시설을 확보해 건물 증축, 리모델링 등을 진행하고 생산설비를 단계적으로 구축해 왔다. LS일렉트릭은 올해부터 현지 빅테크 기업 데이터센터에 납품하는 중·저압 전력기기와 배전시스템(Switch Gear) 등을 본격 생산할 계획이다. 북미 전력사업 전략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함으로써 최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부과 등 관세 압박도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S일렉트릭은 이번 배스트럽 캠퍼스와 유타주 시더시티에 위치한 배전시스템 생산 자회사 ‘MCM엔지니어링Ⅱ’을 양대 거점으로 공격적인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LS일렉트릭은 지난해 북미에서 약 1조3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달에는 1600억원 규모 메이저 빅테크 기업 데이터센터 배전시스템 공급 사업도 수주하는 등 현지 전력 인프라 수요 확대에 힘입어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LS일렉트릭은 미국 법인(LS ELECTRIC America)을 중심으로 북미 전역에 구축된 자체 유통망과 신속한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해 해외 메이저 기업(Schneider, Siemens, Eaton, ABB)과의 격차를 좁히고 점유율을 확대해 글로벌 리더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
LG CNS와 구글 클라우드, 아태 및 미주 지역에서 AX 사업 협력
LG CNS가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와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미주 지역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AX 사업 다각화에 나선다. LG CNS CEO 현신균 사장은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5’ 행사에서 구글 클라우드 CEO 토마스 쿠리안(Thomas Kurian), 구글 클라우드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 카란 바즈와(Karan Bajwa) 등을 만나 양사 협력을 공고히 했다. 양사는 전 산업 분야에서 AX 사업 협력을 강화한다. LG CNS는 클라우드·AI 기술력과 다양한 분야의 산업 전문성, IT서비스 역량을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형 AI, 클라우드 솔루션과 결합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미주 지역 기업 고객의 전사적 AI 도입을 돕는다. LG CNS는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와 구글 클라우드의 기업용 AI 플랫폼 ‘버텍스 AI(Vertex AI)’ 등을 활용해 제조, 금융, 유통, 통신, 공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수백 개의 생성형 AI 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LG CNS는 급성장하는 헬스케어 및 바이오 AX 시장 선점에 나선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해 2033년 약 2400조원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이 분야에서 LG CNS는 구글 클라우드와 긴밀하게 협력을 이어 나갈 예정이다. 예를 들어 LG CNS는 연구원들이 의약품 데이터로부터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AI 에이전트, 유전체 데이터 분석 및 단백질 구조 예측 신약 개발 서비스 등을 구축할 수 있다. LG CNS는 구글 클라우드 기반의 생성형 AI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형 AI 전문기업(Generative AI Service Specialization)’ 인증을 아시아 최초로 획득했으며, △클라우드 전환 △인프라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등 총 5개의 전문기업 인증도 보유하고 있다. ‘구글 클라우드 파트너 어워즈 2024’에서 한국의 ‘서비스 파트너’로 2년 연속 선정되기도 했다. LG CNS CEO 현신균 사장은 “LG CNS는 여러 사업 분야 전반에서 생성형 AI 기술 역량을 보유한 AX 전문기업”이라며 “구글 클라우드와 협력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미주 지역으로 AX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며, 헬스케어 및 바이오 AX 시장에서도 최고의 사업자가 되겠다”고 말했다. 지기성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사장은 “구글 클라우드는 업계에서 가장 개방적인 클라우드를 제공하고 고객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돕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AI로 확대되는 파트너십을 통해 LG CNS는 구글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사업을 위한 운영 개선 및 실질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역량을 갖출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몬드리안AI 싱가포르 Meta1과 글로벌 AI 클라우드 서비스 공동 추진
몬드리안에이아이(대표 홍대의)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글로벌 분산형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Meta 1 Network Group(이하 Meta1)과 전략적 파트너십(MSA)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전 세계 데이터센터를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 AI 개발에 최적화된 엔터프라이즈급 고성능 GPU 서버를 대규모로 공급하는 글로벌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동으로 추진한다. 몬드리안에이아이는 자사 AI 클라우드 서비스인 ‘Runyour AI’에 Meta1의 인프라를 통합해 서비스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존 클라우드 대비 최대 70% 저렴한 비용으로 GPU 서버를 임대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범위도 기존 한국·일본 중심에서 미주·유럽 등 글로벌 전역으로 확대된다. Meta1은 메타버스, 블록체인, 클라우드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공급해온 기업으로, 95개국에 분산된 45만 대의 고성능 GPU 서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최근에는 AI 산업 수요 증가에 맞춰 기존 인프라를 AI 모델 학습용으로 전환하고 있다. 양사의 협력은 GPU 리소스를 공급하는 측에는 자원 활용률을 높여 수익을 극대화하고, 사용자에게는 비용 효율성과 접근성을 개선하는 등 상호 윈윈 구조를 만든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양사는 AI 비즈니스 모델 공동 개발, 글로벌 AI 플랫폼 생태계 확장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몬드리안에이아이 홍대의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수준의 GPU 자원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GPU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AI 스타트업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Meta1 그룹 다니엘 왕(Daniel Wang) CEO는 “이번 파트너십은 한국 및 아시아 시장 진출의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더 많은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GPU 인프라를 쉽고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몬드리안에이아이(Mondrian AI)는 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소프트웨어 전문가들로 구성된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과 정부 기관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만든다.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복잡한 데이터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분석 및 표현해 데이터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
신한투자증권 MOLOCO 투자 원금 2.5배 이상 수익률로 전량 회수
신한투자증권은 2021년에 투자한 미국 AI 머신러닝 기반 광고 자동화 서비스 기업 몰로코(MOLOCO)에 투자 원금의 2.5배 이상에 달하는 수익률로 전량 회수했다고 11일 밝혔다. 2021년 상반기에 신한투자증권과 스마일게이트 인베스트먼트가 공동업무집행사원(GP)으로 설립한 ‘신한스마일게이트 글로벌 제1호 PEF’는 몰로코에 약 2000만달러 규모로 투자를 진행했다. 이번 회수는 전량 구주 매각을 통해 진행됐으며, 미국, 유럽, 아시아에 있는 글로벌 굴지의 기관투자자들에게 구주를 매각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 깊다. 신한투자증권은 AI 트렌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2020년부터 AI 기술 투자에 집중해 왔다. AI 기술 파급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 중 한 곳을 모바일 애드테크 시장으로 보고, 애드테크 밸류체인 내에서 AI 기술 기반으로 폭발적 성장 중인 몰로코를 투자 대상 회사로 선정해 딜 소싱을 진행했다. 이번 구주 매각 시에는 신한투자증권이 오랜 기간 누적해 온 글로벌 에쿼티 운용 경험과 네트워크가 빛을 발했다. 해외 비상장 투자를 시작한 2018년부터 꾸준히 구축해 온 글로벌 전역의 투자 네트워크와 논의를 진행했고, 약 1년간 투자자 리스트 선정, 가격 협상, 실사 대응, 계약서 협의 등을 진행한 끝에 몰로코 구주 매각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이러한 유니크한 경험을 바탕으로 올해 2월 국내 기업 및 기관투자자들 대상으로 ‘글로벌 비상장 주식 자문 서비스’를 새롭게 개시했다. 한편 몰로코는 2013년 구글 엔지니어 출신인 안익진 대표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애드테크 업체이다. 머신러닝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특화 광고 플랫폼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190개국 이상에서 약 310만 개의 앱과 90억 대 이상의 디바이스에 광고를 제공하고 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매출이 10배 이상 성장했으며, 몰로코의 광고 플랫폼을 통해 2024년 한 해 동안 약 20억 달러 규모의 연간 광고 거래액을 기록했다. 또한, 5년간 지속적으로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 국내 대기업과 협력해 호주 수전해 기업 하이사타(Hysata), 미국 데이터센터 서버용 스마트팩토리 기업 브라이트머신스(Bright Machines)에 투자했으며, 최근에는 미국 고성능 AI 클라우드 기업 람다(Lambda)가 진행한 시리즈 D 펀딩에 약 930만달러 투자를 진행했다.
-
LS전선 싱가포르 전력청으로부터 2000억 규모 턴키 프로젝트 수주
LS전선이 싱가포르 전력청으로부터 약 2000억 원 규모의 초고압 전력 케이블 공급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이번 사업은 인도네시아에서 태양광으로 생산된 전력을 싱가포르로 송전하는 대규모 에너지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LS전선은 변전소까지 연결되는 지중 송전 구간에 230kV급 초고압 케이블을 공급하며, 케이블의 제조부터 시공, 설치까지 포함하는 턴키(Turn-Key)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예정이다. 싱가포르 정부는 2035년까지 전체 전력의 25%에 해당하는 6GW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송전탑을 건설하지 않고 지중 케이블만으로 전력망을 구성하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고부가가치 지중 케이블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LS전선은 이번 수주는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 자사의 기술력과 신뢰도를 인정받은 결과라며, 지중 케이블 공급을 계기로 향후 해저 케이블 부문까지 사업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현재 LS전선은 추가 지중 케이블 구간에 대한 협상도 진행 중이다. 계약 규모는 약 1500억 원에 이르며, 협상이 최종 체결될 경우 총 수주 금액은 약 3500억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LS전선은 LS에코에너지와 함께 싱가포르 초고압 케이블 시장에서 10년 넘게 1위를 유지하고 있다. LS에코에너지는 최근 베트남 국영 페트로베트남 그룹과 협력해 베트남 해상풍력 전력을 해저 케이블로 싱가포르에 송전하는 프로젝트를 검토 중이다.
-
세계적으로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감소했지만 인앱 수익은 820억 달러 달해
세계 모바일 게임시장은 어떻게 흘러가고 있을까? 이를 알아볼 수 있는 자료가 나왔다. 센서타워(Sensor Tower)가 2024년 게임 시장의 변화, 성공적인 게임과 기업, 그리고 2025년에 주목해야 할 기회 등을 담은 ‘2025년 모바일 게임 현황’ 리포트를 발표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수는 2020년 576억 건에서 2024년 493억 건으로 감소했지만, 인앱구매 수익은 지난 2년간의 수익을 넘어서는 820억달러에 달하며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신규 사용자의 유입보다는 결제자당 지출액 증가가 성장을 주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애플 앱스토어는 특히 캐주얼 및 미드코어 게임으로 한 인앱구매 기반 오디언스에게 가장 중요한 플랫폼이며, 구글 플레이 스토어 사용자는 동영상 광고 수익화를 계속 장악하고 있어 하이퍼캐주얼과 하이브리드 캐주얼 모델이 선호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뚜렷한 수익화 이점에도 불구하고, 신작 게임은 두 플랫폼에서 모두 성공해야 시장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모바일 게이머가 새로운 게임을 다운로드하는 빈도는 줄어들었지만, 게임을 플레이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매년 인앱 수익이 성장하고 있다. 개발사들은 게임을 라이브 서비스로 운영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라이브 옵스 방식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변화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전략 게임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했으며, 그 다음으로 많은 시간을 소비한 장르는 슈팅, 시뮬레이션, 퍼즐, 스포츠와 아케이드였다. 장르별로 사용 시간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게임은 ‘가레나 프리 파이어’, ‘로블록스’ 등이 있었다. 다운로드 감소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외 지역의 인앱구매 수익은 증가했다. 중남미는 모바일 게임 분야에서 가장 높은 전년 대비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인앱구매(IAP) 수익은 13% 증가했다. 이러한 성장은 퍼블리셔가 선호하는 소프트 론칭 시장이 된 브라질이 주도하고 있다. 그 결과, 중남미는 모바일 게임 확장을 위한 핵심 시장으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중동 지역은 모바일 게임에 지속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인앱구매 수익은 전년 대비 18%라는 인상적인 성장률을 기록하며 모든 지역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외부 투자와 더불어 이 지역의 플레이어들이 게임 생태계에 더 깊이 참여하면서 내부 시장 활성화에도 성공하고 있다. 이러한 상승 추세는 중동이 모바일 게임 업계의 신흥 강자로 떠오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장르별 다운로드 순위를 살펴보면 2024년에는 시뮬레이션과 퍼즐 장르가 각각 전체 다운로드의 20%를 차지하면서 전 세계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를 주도했으며, 시뮬레이션은 소폭 성장(+0.4%)하고 퍼즐은 소폭 감소(-3%)했다. 아케이드 게임은 12.5%의 상당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체 다운로드의 19%를 유지하며 꾸준한 인기를 반영했다. 라이프스타일과 액션 장르의 다운로드 수는 더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전략 게임은 눈에 띄는 성장세(+14.5%)를 기록했다. 특히 전략 게임은 전체 다운로드의 4%에 불과하지만 21.4%의 매출을 차지하며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뒀다. 이러한 트렌드는 기존 장르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틈새 카테고리에서 새로운 성장이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장르별 인앱구매 순위를 살펴보면 2024년에는 전략 게임이 175억달러로 전 세계 1위를 차지했고, RPG가 170억달러로 그 뒤를 바짝 쫓았다. 퍼즐과 카지노 장르가 각각 122억달러와 117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3위와 4위를 차지했으며, 퍼즐 게임은 다운로드 감소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수익 창출을 보여줬다. 액션, 시뮬레이션, 슈팅 장르는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으며, 액션 장르가 매출 증가(+46%)를 주도했다. 스포츠 게임은 다운로드 감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27억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이러한 추세는 전략, RPG, 액션과 같이 경쟁이 치열하고 몰입도가 높은 장르의 강력한 수익화 잠재력이 전 세계 플레이어를 계속 사로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앱구매 수익 기준으로 전 세계 상위 10개 게임을 살펴보면 Scopely의 2023년 출시작 ‘모노폴리 고!’가 2024년 수익 신기록을 세우며 인앱구매 수익 기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게임으로 등극했다. 텐센트의 ‘왕자영요’는 전년 대비 하락세를 보였지만 5년 연속 1위를 기록한 이후에도 여전히 2위를 유지하고 있다. ‘로얄매치’와 ‘로블록스’는 강력한 라이브 옵스 모델을 기반으로, 출시된 지 수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강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라스트 워: 서바이벌’과 ‘화이트아웃 서바이벌’은 2024년 주목할 만한 게임이었다. ‘캔디크러쉬사가’와 ‘코인 마스터’는 각각 ‘로얄매치’와 ‘모노폴리 고!’와의 직접적인 경쟁에서 비교적 하락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상위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이번 리포트를 발표한 센서타워는 201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됐으며 인텔리전스 툴을 통해 모바일 스타트업에서부터 우량 기업 및 금융 기관에 이르기까지 모바일 비즈니스 여정의 모든 단계에서 인사이트와 고객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센서타워는 포켓 게이머 모바일 게임즈 어워즈 2022에서 ‘최고의 데이터/분석 툴’을 수상한 바 있다. 최근 센서타워는 마켓 인텔리전스 플랫폼 data.ai (옛 앱애니)를 인수했다.
-
-
LS일렉트릭 텍사스에 생산시설 구축하며 북미 전력시장 공략 본격화
- LS일렉트릭이 미국 텍사스주에 현지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북미 전력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LS일렉트릭은 14일(현지시간) 텍사스주 배스트럽(Bastrop)시에 생산과 연구, 설계 등 북미 사업 지원 복합 캠퍼스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준공식은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과 존 커클랜드(John Kirkland) 배스트럽 시장 등 LS일렉트릭과 텍사스 주정부, 지역 산업계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구자균 회장은 환영사에서 “미국 시장과 배스트럽 캠퍼스는 LS일렉트릭의 글로벌 기업 도약의 확실한 디딤판이 될 것”이라며 “오는 2030년까지 2억4000만 달러를 추가 투자해 생산 시설을 확충하는 것은 물론 현지 인력을 채용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북미 전력 솔루션 허브로 키워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전역에 생산·기술·서비스 인프라를 촘촘하게 확장해 제품과 솔루션은 물론 공급 체계와 서비스까지 사업 밸류체인 전 분야에서 철저한 현지화를 추진해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번 투자는 LS일렉트릭의 해외매출 비중 70%, 미국 TOP4 전력기업이라는 목표의 첫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배스트럽 캠퍼스는 면적 4만6000㎡ 부지에 건물 연면적 약 3300㎡ 규모로 조성돼 ‘생산-기술-서비스’를 아우르는 북미 사업 복합 거점 역할을 맡게 된다. LS일렉트릭은 2023년 해당 부지 및 부대시설을 확보해 건물 증축, 리모델링 등을 진행하고 생산설비를 단계적으로 구축해 왔다. LS일렉트릭은 올해부터 현지 빅테크 기업 데이터센터에 납품하는 중·저압 전력기기와 배전시스템(Switch Gear) 등을 본격 생산할 계획이다. 북미 전력사업 전략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함으로써 최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부과 등 관세 압박도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S일렉트릭은 이번 배스트럽 캠퍼스와 유타주 시더시티에 위치한 배전시스템 생산 자회사 ‘MCM엔지니어링Ⅱ’을 양대 거점으로 공격적인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LS일렉트릭은 지난해 북미에서 약 1조3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달에는 1600억원 규모 메이저 빅테크 기업 데이터센터 배전시스템 공급 사업도 수주하는 등 현지 전력 인프라 수요 확대에 힘입어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LS일렉트릭은 미국 법인(LS ELECTRIC America)을 중심으로 북미 전역에 구축된 자체 유통망과 신속한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해 해외 메이저 기업(Schneider, Siemens, Eaton, ABB)과의 격차를 좁히고 점유율을 확대해 글로벌 리더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
- 경제
- 기업
-
LS일렉트릭 텍사스에 생산시설 구축하며 북미 전력시장 공략 본격화
-
-
LG CNS와 구글 클라우드, 아태 및 미주 지역에서 AX 사업 협력
- LG CNS가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와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미주 지역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AX 사업 다각화에 나선다. LG CNS CEO 현신균 사장은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5’ 행사에서 구글 클라우드 CEO 토마스 쿠리안(Thomas Kurian), 구글 클라우드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 카란 바즈와(Karan Bajwa) 등을 만나 양사 협력을 공고히 했다. 양사는 전 산업 분야에서 AX 사업 협력을 강화한다. LG CNS는 클라우드·AI 기술력과 다양한 분야의 산업 전문성, IT서비스 역량을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형 AI, 클라우드 솔루션과 결합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미주 지역 기업 고객의 전사적 AI 도입을 돕는다. LG CNS는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와 구글 클라우드의 기업용 AI 플랫폼 ‘버텍스 AI(Vertex AI)’ 등을 활용해 제조, 금융, 유통, 통신, 공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수백 개의 생성형 AI 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LG CNS는 급성장하는 헬스케어 및 바이오 AX 시장 선점에 나선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해 2033년 약 2400조원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이 분야에서 LG CNS는 구글 클라우드와 긴밀하게 협력을 이어 나갈 예정이다. 예를 들어 LG CNS는 연구원들이 의약품 데이터로부터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AI 에이전트, 유전체 데이터 분석 및 단백질 구조 예측 신약 개발 서비스 등을 구축할 수 있다. LG CNS는 구글 클라우드 기반의 생성형 AI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형 AI 전문기업(Generative AI Service Specialization)’ 인증을 아시아 최초로 획득했으며, △클라우드 전환 △인프라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등 총 5개의 전문기업 인증도 보유하고 있다. ‘구글 클라우드 파트너 어워즈 2024’에서 한국의 ‘서비스 파트너’로 2년 연속 선정되기도 했다. LG CNS CEO 현신균 사장은 “LG CNS는 여러 사업 분야 전반에서 생성형 AI 기술 역량을 보유한 AX 전문기업”이라며 “구글 클라우드와 협력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미주 지역으로 AX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며, 헬스케어 및 바이오 AX 시장에서도 최고의 사업자가 되겠다”고 말했다. 지기성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사장은 “구글 클라우드는 업계에서 가장 개방적인 클라우드를 제공하고 고객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돕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AI로 확대되는 파트너십을 통해 LG CNS는 구글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사업을 위한 운영 개선 및 실질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역량을 갖출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IT
-
LG CNS와 구글 클라우드, 아태 및 미주 지역에서 AX 사업 협력
-
-
몬드리안AI 싱가포르 Meta1과 글로벌 AI 클라우드 서비스 공동 추진
- 몬드리안에이아이(대표 홍대의)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글로벌 분산형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Meta 1 Network Group(이하 Meta1)과 전략적 파트너십(MSA)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전 세계 데이터센터를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 AI 개발에 최적화된 엔터프라이즈급 고성능 GPU 서버를 대규모로 공급하는 글로벌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동으로 추진한다. 몬드리안에이아이는 자사 AI 클라우드 서비스인 ‘Runyour AI’에 Meta1의 인프라를 통합해 서비스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존 클라우드 대비 최대 70% 저렴한 비용으로 GPU 서버를 임대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범위도 기존 한국·일본 중심에서 미주·유럽 등 글로벌 전역으로 확대된다. Meta1은 메타버스, 블록체인, 클라우드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공급해온 기업으로, 95개국에 분산된 45만 대의 고성능 GPU 서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최근에는 AI 산업 수요 증가에 맞춰 기존 인프라를 AI 모델 학습용으로 전환하고 있다. 양사의 협력은 GPU 리소스를 공급하는 측에는 자원 활용률을 높여 수익을 극대화하고, 사용자에게는 비용 효율성과 접근성을 개선하는 등 상호 윈윈 구조를 만든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양사는 AI 비즈니스 모델 공동 개발, 글로벌 AI 플랫폼 생태계 확장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몬드리안에이아이 홍대의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수준의 GPU 자원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GPU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AI 스타트업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Meta1 그룹 다니엘 왕(Daniel Wang) CEO는 “이번 파트너십은 한국 및 아시아 시장 진출의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더 많은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GPU 인프라를 쉽고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몬드리안에이아이(Mondrian AI)는 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소프트웨어 전문가들로 구성된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과 정부 기관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만든다.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복잡한 데이터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분석 및 표현해 데이터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
- IT
-
몬드리안AI 싱가포르 Meta1과 글로벌 AI 클라우드 서비스 공동 추진
-
-
신한투자증권 MOLOCO 투자 원금 2.5배 이상 수익률로 전량 회수
- 신한투자증권은 2021년에 투자한 미국 AI 머신러닝 기반 광고 자동화 서비스 기업 몰로코(MOLOCO)에 투자 원금의 2.5배 이상에 달하는 수익률로 전량 회수했다고 11일 밝혔다. 2021년 상반기에 신한투자증권과 스마일게이트 인베스트먼트가 공동업무집행사원(GP)으로 설립한 ‘신한스마일게이트 글로벌 제1호 PEF’는 몰로코에 약 2000만달러 규모로 투자를 진행했다. 이번 회수는 전량 구주 매각을 통해 진행됐으며, 미국, 유럽, 아시아에 있는 글로벌 굴지의 기관투자자들에게 구주를 매각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 깊다. 신한투자증권은 AI 트렌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2020년부터 AI 기술 투자에 집중해 왔다. AI 기술 파급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 중 한 곳을 모바일 애드테크 시장으로 보고, 애드테크 밸류체인 내에서 AI 기술 기반으로 폭발적 성장 중인 몰로코를 투자 대상 회사로 선정해 딜 소싱을 진행했다. 이번 구주 매각 시에는 신한투자증권이 오랜 기간 누적해 온 글로벌 에쿼티 운용 경험과 네트워크가 빛을 발했다. 해외 비상장 투자를 시작한 2018년부터 꾸준히 구축해 온 글로벌 전역의 투자 네트워크와 논의를 진행했고, 약 1년간 투자자 리스트 선정, 가격 협상, 실사 대응, 계약서 협의 등을 진행한 끝에 몰로코 구주 매각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이러한 유니크한 경험을 바탕으로 올해 2월 국내 기업 및 기관투자자들 대상으로 ‘글로벌 비상장 주식 자문 서비스’를 새롭게 개시했다. 한편 몰로코는 2013년 구글 엔지니어 출신인 안익진 대표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애드테크 업체이다. 머신러닝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특화 광고 플랫폼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190개국 이상에서 약 310만 개의 앱과 90억 대 이상의 디바이스에 광고를 제공하고 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매출이 10배 이상 성장했으며, 몰로코의 광고 플랫폼을 통해 2024년 한 해 동안 약 20억 달러 규모의 연간 광고 거래액을 기록했다. 또한, 5년간 지속적으로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 국내 대기업과 협력해 호주 수전해 기업 하이사타(Hysata), 미국 데이터센터 서버용 스마트팩토리 기업 브라이트머신스(Bright Machines)에 투자했으며, 최근에는 미국 고성능 AI 클라우드 기업 람다(Lambda)가 진행한 시리즈 D 펀딩에 약 930만달러 투자를 진행했다.
-
- 경제
- 금융
-
신한투자증권 MOLOCO 투자 원금 2.5배 이상 수익률로 전량 회수
-
-
LS전선 싱가포르 전력청으로부터 2000억 규모 턴키 프로젝트 수주
- LS전선이 싱가포르 전력청으로부터 약 2000억 원 규모의 초고압 전력 케이블 공급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이번 사업은 인도네시아에서 태양광으로 생산된 전력을 싱가포르로 송전하는 대규모 에너지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LS전선은 변전소까지 연결되는 지중 송전 구간에 230kV급 초고압 케이블을 공급하며, 케이블의 제조부터 시공, 설치까지 포함하는 턴키(Turn-Key)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예정이다. 싱가포르 정부는 2035년까지 전체 전력의 25%에 해당하는 6GW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송전탑을 건설하지 않고 지중 케이블만으로 전력망을 구성하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고부가가치 지중 케이블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LS전선은 이번 수주는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 자사의 기술력과 신뢰도를 인정받은 결과라며, 지중 케이블 공급을 계기로 향후 해저 케이블 부문까지 사업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현재 LS전선은 추가 지중 케이블 구간에 대한 협상도 진행 중이다. 계약 규모는 약 1500억 원에 이르며, 협상이 최종 체결될 경우 총 수주 금액은 약 3500억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LS전선은 LS에코에너지와 함께 싱가포르 초고압 케이블 시장에서 10년 넘게 1위를 유지하고 있다. LS에코에너지는 최근 베트남 국영 페트로베트남 그룹과 협력해 베트남 해상풍력 전력을 해저 케이블로 싱가포르에 송전하는 프로젝트를 검토 중이다.
-
- 경제
- 기업
-
LS전선 싱가포르 전력청으로부터 2000억 규모 턴키 프로젝트 수주
-
-
세계적으로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감소했지만 인앱 수익은 820억 달러 달해
- 세계 모바일 게임시장은 어떻게 흘러가고 있을까? 이를 알아볼 수 있는 자료가 나왔다. 센서타워(Sensor Tower)가 2024년 게임 시장의 변화, 성공적인 게임과 기업, 그리고 2025년에 주목해야 할 기회 등을 담은 ‘2025년 모바일 게임 현황’ 리포트를 발표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수는 2020년 576억 건에서 2024년 493억 건으로 감소했지만, 인앱구매 수익은 지난 2년간의 수익을 넘어서는 820억달러에 달하며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신규 사용자의 유입보다는 결제자당 지출액 증가가 성장을 주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애플 앱스토어는 특히 캐주얼 및 미드코어 게임으로 한 인앱구매 기반 오디언스에게 가장 중요한 플랫폼이며, 구글 플레이 스토어 사용자는 동영상 광고 수익화를 계속 장악하고 있어 하이퍼캐주얼과 하이브리드 캐주얼 모델이 선호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뚜렷한 수익화 이점에도 불구하고, 신작 게임은 두 플랫폼에서 모두 성공해야 시장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모바일 게이머가 새로운 게임을 다운로드하는 빈도는 줄어들었지만, 게임을 플레이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매년 인앱 수익이 성장하고 있다. 개발사들은 게임을 라이브 서비스로 운영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라이브 옵스 방식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변화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전략 게임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했으며, 그 다음으로 많은 시간을 소비한 장르는 슈팅, 시뮬레이션, 퍼즐, 스포츠와 아케이드였다. 장르별로 사용 시간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게임은 ‘가레나 프리 파이어’, ‘로블록스’ 등이 있었다. 다운로드 감소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외 지역의 인앱구매 수익은 증가했다. 중남미는 모바일 게임 분야에서 가장 높은 전년 대비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인앱구매(IAP) 수익은 13% 증가했다. 이러한 성장은 퍼블리셔가 선호하는 소프트 론칭 시장이 된 브라질이 주도하고 있다. 그 결과, 중남미는 모바일 게임 확장을 위한 핵심 시장으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중동 지역은 모바일 게임에 지속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인앱구매 수익은 전년 대비 18%라는 인상적인 성장률을 기록하며 모든 지역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외부 투자와 더불어 이 지역의 플레이어들이 게임 생태계에 더 깊이 참여하면서 내부 시장 활성화에도 성공하고 있다. 이러한 상승 추세는 중동이 모바일 게임 업계의 신흥 강자로 떠오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장르별 다운로드 순위를 살펴보면 2024년에는 시뮬레이션과 퍼즐 장르가 각각 전체 다운로드의 20%를 차지하면서 전 세계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를 주도했으며, 시뮬레이션은 소폭 성장(+0.4%)하고 퍼즐은 소폭 감소(-3%)했다. 아케이드 게임은 12.5%의 상당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체 다운로드의 19%를 유지하며 꾸준한 인기를 반영했다. 라이프스타일과 액션 장르의 다운로드 수는 더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전략 게임은 눈에 띄는 성장세(+14.5%)를 기록했다. 특히 전략 게임은 전체 다운로드의 4%에 불과하지만 21.4%의 매출을 차지하며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뒀다. 이러한 트렌드는 기존 장르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틈새 카테고리에서 새로운 성장이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장르별 인앱구매 순위를 살펴보면 2024년에는 전략 게임이 175억달러로 전 세계 1위를 차지했고, RPG가 170억달러로 그 뒤를 바짝 쫓았다. 퍼즐과 카지노 장르가 각각 122억달러와 117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3위와 4위를 차지했으며, 퍼즐 게임은 다운로드 감소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수익 창출을 보여줬다. 액션, 시뮬레이션, 슈팅 장르는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으며, 액션 장르가 매출 증가(+46%)를 주도했다. 스포츠 게임은 다운로드 감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27억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이러한 추세는 전략, RPG, 액션과 같이 경쟁이 치열하고 몰입도가 높은 장르의 강력한 수익화 잠재력이 전 세계 플레이어를 계속 사로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앱구매 수익 기준으로 전 세계 상위 10개 게임을 살펴보면 Scopely의 2023년 출시작 ‘모노폴리 고!’가 2024년 수익 신기록을 세우며 인앱구매 수익 기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게임으로 등극했다. 텐센트의 ‘왕자영요’는 전년 대비 하락세를 보였지만 5년 연속 1위를 기록한 이후에도 여전히 2위를 유지하고 있다. ‘로얄매치’와 ‘로블록스’는 강력한 라이브 옵스 모델을 기반으로, 출시된 지 수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강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라스트 워: 서바이벌’과 ‘화이트아웃 서바이벌’은 2024년 주목할 만한 게임이었다. ‘캔디크러쉬사가’와 ‘코인 마스터’는 각각 ‘로얄매치’와 ‘모노폴리 고!’와의 직접적인 경쟁에서 비교적 하락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상위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이번 리포트를 발표한 센서타워는 201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됐으며 인텔리전스 툴을 통해 모바일 스타트업에서부터 우량 기업 및 금융 기관에 이르기까지 모바일 비즈니스 여정의 모든 단계에서 인사이트와 고객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센서타워는 포켓 게이머 모바일 게임즈 어워즈 2022에서 ‘최고의 데이터/분석 툴’을 수상한 바 있다. 최근 센서타워는 마켓 인텔리전스 플랫폼 data.ai (옛 앱애니)를 인수했다.
-
- 경제
- 기업
-
세계적으로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감소했지만 인앱 수익은 820억 달러 달해
실시간 기타 기사
-
-
LS일렉트릭 텍사스에 생산시설 구축하며 북미 전력시장 공략 본격화
- LS일렉트릭이 미국 텍사스주에 현지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북미 전력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LS일렉트릭은 14일(현지시간) 텍사스주 배스트럽(Bastrop)시에 생산과 연구, 설계 등 북미 사업 지원 복합 캠퍼스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준공식은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과 존 커클랜드(John Kirkland) 배스트럽 시장 등 LS일렉트릭과 텍사스 주정부, 지역 산업계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구자균 회장은 환영사에서 “미국 시장과 배스트럽 캠퍼스는 LS일렉트릭의 글로벌 기업 도약의 확실한 디딤판이 될 것”이라며 “오는 2030년까지 2억4000만 달러를 추가 투자해 생산 시설을 확충하는 것은 물론 현지 인력을 채용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북미 전력 솔루션 허브로 키워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전역에 생산·기술·서비스 인프라를 촘촘하게 확장해 제품과 솔루션은 물론 공급 체계와 서비스까지 사업 밸류체인 전 분야에서 철저한 현지화를 추진해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번 투자는 LS일렉트릭의 해외매출 비중 70%, 미국 TOP4 전력기업이라는 목표의 첫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배스트럽 캠퍼스는 면적 4만6000㎡ 부지에 건물 연면적 약 3300㎡ 규모로 조성돼 ‘생산-기술-서비스’를 아우르는 북미 사업 복합 거점 역할을 맡게 된다. LS일렉트릭은 2023년 해당 부지 및 부대시설을 확보해 건물 증축, 리모델링 등을 진행하고 생산설비를 단계적으로 구축해 왔다. LS일렉트릭은 올해부터 현지 빅테크 기업 데이터센터에 납품하는 중·저압 전력기기와 배전시스템(Switch Gear) 등을 본격 생산할 계획이다. 북미 전력사업 전략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함으로써 최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부과 등 관세 압박도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S일렉트릭은 이번 배스트럽 캠퍼스와 유타주 시더시티에 위치한 배전시스템 생산 자회사 ‘MCM엔지니어링Ⅱ’을 양대 거점으로 공격적인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LS일렉트릭은 지난해 북미에서 약 1조3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달에는 1600억원 규모 메이저 빅테크 기업 데이터센터 배전시스템 공급 사업도 수주하는 등 현지 전력 인프라 수요 확대에 힘입어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LS일렉트릭은 미국 법인(LS ELECTRIC America)을 중심으로 북미 전역에 구축된 자체 유통망과 신속한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해 해외 메이저 기업(Schneider, Siemens, Eaton, ABB)과의 격차를 좁히고 점유율을 확대해 글로벌 리더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
- 경제
- 기업
-
LS일렉트릭 텍사스에 생산시설 구축하며 북미 전력시장 공략 본격화
-
-
LG CNS와 구글 클라우드, 아태 및 미주 지역에서 AX 사업 협력
- LG CNS가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와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미주 지역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AX 사업 다각화에 나선다. LG CNS CEO 현신균 사장은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5’ 행사에서 구글 클라우드 CEO 토마스 쿠리안(Thomas Kurian), 구글 클라우드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 카란 바즈와(Karan Bajwa) 등을 만나 양사 협력을 공고히 했다. 양사는 전 산업 분야에서 AX 사업 협력을 강화한다. LG CNS는 클라우드·AI 기술력과 다양한 분야의 산업 전문성, IT서비스 역량을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형 AI, 클라우드 솔루션과 결합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미주 지역 기업 고객의 전사적 AI 도입을 돕는다. LG CNS는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와 구글 클라우드의 기업용 AI 플랫폼 ‘버텍스 AI(Vertex AI)’ 등을 활용해 제조, 금융, 유통, 통신, 공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수백 개의 생성형 AI 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LG CNS는 급성장하는 헬스케어 및 바이오 AX 시장 선점에 나선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해 2033년 약 2400조원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이 분야에서 LG CNS는 구글 클라우드와 긴밀하게 협력을 이어 나갈 예정이다. 예를 들어 LG CNS는 연구원들이 의약품 데이터로부터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AI 에이전트, 유전체 데이터 분석 및 단백질 구조 예측 신약 개발 서비스 등을 구축할 수 있다. LG CNS는 구글 클라우드 기반의 생성형 AI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형 AI 전문기업(Generative AI Service Specialization)’ 인증을 아시아 최초로 획득했으며, △클라우드 전환 △인프라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등 총 5개의 전문기업 인증도 보유하고 있다. ‘구글 클라우드 파트너 어워즈 2024’에서 한국의 ‘서비스 파트너’로 2년 연속 선정되기도 했다. LG CNS CEO 현신균 사장은 “LG CNS는 여러 사업 분야 전반에서 생성형 AI 기술 역량을 보유한 AX 전문기업”이라며 “구글 클라우드와 협력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미주 지역으로 AX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며, 헬스케어 및 바이오 AX 시장에서도 최고의 사업자가 되겠다”고 말했다. 지기성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사장은 “구글 클라우드는 업계에서 가장 개방적인 클라우드를 제공하고 고객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돕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AI로 확대되는 파트너십을 통해 LG CNS는 구글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사업을 위한 운영 개선 및 실질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역량을 갖출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IT
-
LG CNS와 구글 클라우드, 아태 및 미주 지역에서 AX 사업 협력
-
-
몬드리안AI 싱가포르 Meta1과 글로벌 AI 클라우드 서비스 공동 추진
- 몬드리안에이아이(대표 홍대의)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글로벌 분산형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Meta 1 Network Group(이하 Meta1)과 전략적 파트너십(MSA)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전 세계 데이터센터를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 AI 개발에 최적화된 엔터프라이즈급 고성능 GPU 서버를 대규모로 공급하는 글로벌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동으로 추진한다. 몬드리안에이아이는 자사 AI 클라우드 서비스인 ‘Runyour AI’에 Meta1의 인프라를 통합해 서비스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존 클라우드 대비 최대 70% 저렴한 비용으로 GPU 서버를 임대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범위도 기존 한국·일본 중심에서 미주·유럽 등 글로벌 전역으로 확대된다. Meta1은 메타버스, 블록체인, 클라우드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공급해온 기업으로, 95개국에 분산된 45만 대의 고성능 GPU 서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최근에는 AI 산업 수요 증가에 맞춰 기존 인프라를 AI 모델 학습용으로 전환하고 있다. 양사의 협력은 GPU 리소스를 공급하는 측에는 자원 활용률을 높여 수익을 극대화하고, 사용자에게는 비용 효율성과 접근성을 개선하는 등 상호 윈윈 구조를 만든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양사는 AI 비즈니스 모델 공동 개발, 글로벌 AI 플랫폼 생태계 확장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몬드리안에이아이 홍대의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수준의 GPU 자원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GPU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AI 스타트업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Meta1 그룹 다니엘 왕(Daniel Wang) CEO는 “이번 파트너십은 한국 및 아시아 시장 진출의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더 많은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GPU 인프라를 쉽고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몬드리안에이아이(Mondrian AI)는 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소프트웨어 전문가들로 구성된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과 정부 기관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만든다.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복잡한 데이터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분석 및 표현해 데이터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
- IT
-
몬드리안AI 싱가포르 Meta1과 글로벌 AI 클라우드 서비스 공동 추진
-
-
신한투자증권 MOLOCO 투자 원금 2.5배 이상 수익률로 전량 회수
- 신한투자증권은 2021년에 투자한 미국 AI 머신러닝 기반 광고 자동화 서비스 기업 몰로코(MOLOCO)에 투자 원금의 2.5배 이상에 달하는 수익률로 전량 회수했다고 11일 밝혔다. 2021년 상반기에 신한투자증권과 스마일게이트 인베스트먼트가 공동업무집행사원(GP)으로 설립한 ‘신한스마일게이트 글로벌 제1호 PEF’는 몰로코에 약 2000만달러 규모로 투자를 진행했다. 이번 회수는 전량 구주 매각을 통해 진행됐으며, 미국, 유럽, 아시아에 있는 글로벌 굴지의 기관투자자들에게 구주를 매각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 깊다. 신한투자증권은 AI 트렌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2020년부터 AI 기술 투자에 집중해 왔다. AI 기술 파급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 중 한 곳을 모바일 애드테크 시장으로 보고, 애드테크 밸류체인 내에서 AI 기술 기반으로 폭발적 성장 중인 몰로코를 투자 대상 회사로 선정해 딜 소싱을 진행했다. 이번 구주 매각 시에는 신한투자증권이 오랜 기간 누적해 온 글로벌 에쿼티 운용 경험과 네트워크가 빛을 발했다. 해외 비상장 투자를 시작한 2018년부터 꾸준히 구축해 온 글로벌 전역의 투자 네트워크와 논의를 진행했고, 약 1년간 투자자 리스트 선정, 가격 협상, 실사 대응, 계약서 협의 등을 진행한 끝에 몰로코 구주 매각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이러한 유니크한 경험을 바탕으로 올해 2월 국내 기업 및 기관투자자들 대상으로 ‘글로벌 비상장 주식 자문 서비스’를 새롭게 개시했다. 한편 몰로코는 2013년 구글 엔지니어 출신인 안익진 대표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애드테크 업체이다. 머신러닝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특화 광고 플랫폼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190개국 이상에서 약 310만 개의 앱과 90억 대 이상의 디바이스에 광고를 제공하고 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매출이 10배 이상 성장했으며, 몰로코의 광고 플랫폼을 통해 2024년 한 해 동안 약 20억 달러 규모의 연간 광고 거래액을 기록했다. 또한, 5년간 지속적으로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 국내 대기업과 협력해 호주 수전해 기업 하이사타(Hysata), 미국 데이터센터 서버용 스마트팩토리 기업 브라이트머신스(Bright Machines)에 투자했으며, 최근에는 미국 고성능 AI 클라우드 기업 람다(Lambda)가 진행한 시리즈 D 펀딩에 약 930만달러 투자를 진행했다.
-
- 경제
- 금융
-
신한투자증권 MOLOCO 투자 원금 2.5배 이상 수익률로 전량 회수
-
-
LS전선 싱가포르 전력청으로부터 2000억 규모 턴키 프로젝트 수주
- LS전선이 싱가포르 전력청으로부터 약 2000억 원 규모의 초고압 전력 케이블 공급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이번 사업은 인도네시아에서 태양광으로 생산된 전력을 싱가포르로 송전하는 대규모 에너지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LS전선은 변전소까지 연결되는 지중 송전 구간에 230kV급 초고압 케이블을 공급하며, 케이블의 제조부터 시공, 설치까지 포함하는 턴키(Turn-Key)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예정이다. 싱가포르 정부는 2035년까지 전체 전력의 25%에 해당하는 6GW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송전탑을 건설하지 않고 지중 케이블만으로 전력망을 구성하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고부가가치 지중 케이블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LS전선은 이번 수주는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 자사의 기술력과 신뢰도를 인정받은 결과라며, 지중 케이블 공급을 계기로 향후 해저 케이블 부문까지 사업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현재 LS전선은 추가 지중 케이블 구간에 대한 협상도 진행 중이다. 계약 규모는 약 1500억 원에 이르며, 협상이 최종 체결될 경우 총 수주 금액은 약 3500억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LS전선은 LS에코에너지와 함께 싱가포르 초고압 케이블 시장에서 10년 넘게 1위를 유지하고 있다. LS에코에너지는 최근 베트남 국영 페트로베트남 그룹과 협력해 베트남 해상풍력 전력을 해저 케이블로 싱가포르에 송전하는 프로젝트를 검토 중이다.
-
- 경제
- 기업
-
LS전선 싱가포르 전력청으로부터 2000억 규모 턴키 프로젝트 수주
-
-
세계적으로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감소했지만 인앱 수익은 820억 달러 달해
- 세계 모바일 게임시장은 어떻게 흘러가고 있을까? 이를 알아볼 수 있는 자료가 나왔다. 센서타워(Sensor Tower)가 2024년 게임 시장의 변화, 성공적인 게임과 기업, 그리고 2025년에 주목해야 할 기회 등을 담은 ‘2025년 모바일 게임 현황’ 리포트를 발표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수는 2020년 576억 건에서 2024년 493억 건으로 감소했지만, 인앱구매 수익은 지난 2년간의 수익을 넘어서는 820억달러에 달하며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신규 사용자의 유입보다는 결제자당 지출액 증가가 성장을 주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애플 앱스토어는 특히 캐주얼 및 미드코어 게임으로 한 인앱구매 기반 오디언스에게 가장 중요한 플랫폼이며, 구글 플레이 스토어 사용자는 동영상 광고 수익화를 계속 장악하고 있어 하이퍼캐주얼과 하이브리드 캐주얼 모델이 선호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뚜렷한 수익화 이점에도 불구하고, 신작 게임은 두 플랫폼에서 모두 성공해야 시장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모바일 게이머가 새로운 게임을 다운로드하는 빈도는 줄어들었지만, 게임을 플레이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매년 인앱 수익이 성장하고 있다. 개발사들은 게임을 라이브 서비스로 운영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라이브 옵스 방식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변화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전략 게임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했으며, 그 다음으로 많은 시간을 소비한 장르는 슈팅, 시뮬레이션, 퍼즐, 스포츠와 아케이드였다. 장르별로 사용 시간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게임은 ‘가레나 프리 파이어’, ‘로블록스’ 등이 있었다. 다운로드 감소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외 지역의 인앱구매 수익은 증가했다. 중남미는 모바일 게임 분야에서 가장 높은 전년 대비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인앱구매(IAP) 수익은 13% 증가했다. 이러한 성장은 퍼블리셔가 선호하는 소프트 론칭 시장이 된 브라질이 주도하고 있다. 그 결과, 중남미는 모바일 게임 확장을 위한 핵심 시장으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중동 지역은 모바일 게임에 지속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인앱구매 수익은 전년 대비 18%라는 인상적인 성장률을 기록하며 모든 지역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외부 투자와 더불어 이 지역의 플레이어들이 게임 생태계에 더 깊이 참여하면서 내부 시장 활성화에도 성공하고 있다. 이러한 상승 추세는 중동이 모바일 게임 업계의 신흥 강자로 떠오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장르별 다운로드 순위를 살펴보면 2024년에는 시뮬레이션과 퍼즐 장르가 각각 전체 다운로드의 20%를 차지하면서 전 세계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를 주도했으며, 시뮬레이션은 소폭 성장(+0.4%)하고 퍼즐은 소폭 감소(-3%)했다. 아케이드 게임은 12.5%의 상당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체 다운로드의 19%를 유지하며 꾸준한 인기를 반영했다. 라이프스타일과 액션 장르의 다운로드 수는 더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전략 게임은 눈에 띄는 성장세(+14.5%)를 기록했다. 특히 전략 게임은 전체 다운로드의 4%에 불과하지만 21.4%의 매출을 차지하며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뒀다. 이러한 트렌드는 기존 장르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틈새 카테고리에서 새로운 성장이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장르별 인앱구매 순위를 살펴보면 2024년에는 전략 게임이 175억달러로 전 세계 1위를 차지했고, RPG가 170억달러로 그 뒤를 바짝 쫓았다. 퍼즐과 카지노 장르가 각각 122억달러와 117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3위와 4위를 차지했으며, 퍼즐 게임은 다운로드 감소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수익 창출을 보여줬다. 액션, 시뮬레이션, 슈팅 장르는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으며, 액션 장르가 매출 증가(+46%)를 주도했다. 스포츠 게임은 다운로드 감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27억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이러한 추세는 전략, RPG, 액션과 같이 경쟁이 치열하고 몰입도가 높은 장르의 강력한 수익화 잠재력이 전 세계 플레이어를 계속 사로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앱구매 수익 기준으로 전 세계 상위 10개 게임을 살펴보면 Scopely의 2023년 출시작 ‘모노폴리 고!’가 2024년 수익 신기록을 세우며 인앱구매 수익 기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게임으로 등극했다. 텐센트의 ‘왕자영요’는 전년 대비 하락세를 보였지만 5년 연속 1위를 기록한 이후에도 여전히 2위를 유지하고 있다. ‘로얄매치’와 ‘로블록스’는 강력한 라이브 옵스 모델을 기반으로, 출시된 지 수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강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라스트 워: 서바이벌’과 ‘화이트아웃 서바이벌’은 2024년 주목할 만한 게임이었다. ‘캔디크러쉬사가’와 ‘코인 마스터’는 각각 ‘로얄매치’와 ‘모노폴리 고!’와의 직접적인 경쟁에서 비교적 하락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상위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이번 리포트를 발표한 센서타워는 201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됐으며 인텔리전스 툴을 통해 모바일 스타트업에서부터 우량 기업 및 금융 기관에 이르기까지 모바일 비즈니스 여정의 모든 단계에서 인사이트와 고객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센서타워는 포켓 게이머 모바일 게임즈 어워즈 2022에서 ‘최고의 데이터/분석 툴’을 수상한 바 있다. 최근 센서타워는 마켓 인텔리전스 플랫폼 data.ai (옛 앱애니)를 인수했다.
-
- 경제
- 기업
-
세계적으로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감소했지만 인앱 수익은 820억 달러 달해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폴란드 국영 방산기업 HSW와 4026억 규모 계약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폴란드 국영 방산기업인 ‘후타 스탈로바 볼라(HSW·Huta Stalowa Wola)’와 폴란드 자주포인 크라프(KRAB) 차체에 들어가는 4026억원 규모의 구성품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8일 밝혔다. 현지 방산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해 폴란드의 안보와 산업에 기여하고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양국 관계를 더욱 강화한 것이다. 7일(현지시간) 폴란드 스탈로바 볼라 소재의 HSW 본사에서 열린 이번 계약식에는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 보이체흐 케드제라(Wojciech Kedziera) HSW 대표 등 양사 관계자 및 주폴란드 대한민국 대사관, 방위사업청, 국방기술품질원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14년에 크라프 120문에 대한 차체 구성품을 납품하며 폴란드와 첫 계약을 맺었다. 이후 2022년, 2023년 두차례에 걸쳐 K9자주포의 총 364문을 공급했다. 2022년 맺은 기본계약에 따라 남은 K9 물량 300문의 추가 계약도 추진 중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기존의 K9자주포와 다련장로켓인 천무, 크라프 차체 구성품 수출 이후에도 협력 관계를 확대하고 있다. 기존 공급 제품에 대한 MRO(유지·보수·정비)를 비롯해 폴란드의 ‘중장갑 보병전투차량’ 사업에도 참여해 독자개발한 IFV(보병전투차량)인 레드백을 현지 맞춤형으로 제시할 계획이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자회사인 한화오션과 함께 폴란드가 해군 현대화를 위해 추진하는 8조원대의 잠수함 사업인 ‘오르카 프로젝트’ 수주전에도 참여해 통합솔루션을 제시할 계획이다. 손 대표는 “이번 수출은 폴란드와 다양한 방식으로 방산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좋은 사례로, 최근 유럽의 방산블록화에 대응하면서 국내 방산 협력업체들과의 상생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경제
- 기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폴란드 국영 방산기업 HSW와 4026억 규모 계약
-
-
수자원공사 해외사업 경쟁력 강화 위해 신한은행과 맞손
-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신한은행과 ‘해외사업 상생·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이번 협약은 국내 물관리 전담 기관인 한국수자원공사의 첨단 물관리 역량과 해외사업 경험에 더해 신한은행의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 및 전문성을 결합해 물관리 분야 해외사업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 가기 위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 업무협약의 주요 내용은 △물 분야 해외사업 공동개발 △해외사업 자금조달 협력 △현지 물 분야 사업 및 기업 동향 등 정보공유 △현지 네트워크 구축 협력 △사업 추진 위험(리스크) 관리 등이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물 분야 해외사업을 공동으로 발굴하고 추진하는데 협력한다. 한국수자원공사의 디지털 트윈, 인공지능(AI) 정수장, 스마트 관망관리(SWNM) 등 3대 초격차 물 기술을 활용한 후속 사업도 점차 연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현지의 법무 및 회계 분야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사업 추진 시 재무 및 해당 국가의 위험도 등을 사전에 확인하는 등 체계적인 관리가 강화될 전망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1993년부터 전 세계 총 47개국에서 168개의 해외사업을 수행해 왔다. 현재 필리핀 앙갓(Angat)댐 사업,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인근의 까리안(Karian) 광역상수도 사업 등을 포함해 다수의 해외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신한은행의 경우 현재 20개국 169개의 지점 및 합작회사 등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 100여 개의 지점 등을 운영하고 있어 이들 지역에서 한국수자원공사와 상호협력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한성용 한국수자원공사 글로벌사업본부장은 “신한은행과 협력을 통해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한 다양한 해외사업 발굴은 물론 재원 조달과 초기 투자 리스크 관리 등 다방면의 시너지 효과를 얻게 돼 해외사업 추진에 더욱 강한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경제
- 기업
-
수자원공사 해외사업 경쟁력 강화 위해 신한은행과 맞손
-
-
1.8조 달러 규모 시장 형성할 미래 유망 핵심 기술은?
- 앞으로 세계 시장에서 주요 위치를 차지할 기술은 무엇일까? 이를 알아볼 수 있는 보고서가 나왔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Frost & Sullivan)이 ‘상위 50개 미래 유망 기술 분석 보고서(Top 50 Technologies, 2025 Edition)’를 발표한 것이다. 이번 보고서는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의 기술 연구 조직인 테크비전(TechVision) 팀이 주도해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정보통신기술(ICT) △의료·웰빙 △의료기기·영상의학 △센서·계측 △화학·첨단 소재 △첨단 제조·자동화 △환경·지속가능성 △에너지·유틸리티 등 9개 핵심 분야에서 500개 이상의 기술을 평가해 톱 50 기술을 선정했다. 50개 기술은 향후 5년간 약 1.8조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인공지능(AI),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첨단소재(Advanced Materials) 간의 융합은 헬스케어, 에너지,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술 평가는 △특허(IP) △글로벌 투자 현황 △산업별 잠재력 △메가트렌드 영향력 △지역별 도입 가능성 △경제적 영향력 △기술 파괴력 △혁신 수준 등 8가지 기준에 따라 수행됐다. 선정된 주요 기술은 다음과 같다. 인산철 배터리(Ferro Phosphate Battery, FPB) 테크비전 기술 연구조사 부문 부사장 안킷 슈클라(Ankit A. Shukla)는 “인산철 배터리는 높은 안전성, 낮은 비용, 긴 수명을 바탕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라며 “최근 2년간 125억달러 이상이 투자됐고, 전기차, 그리드 저장장치, 휴대용 전자기기에 폭넓게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eceptor Agonists, GLP-1 RAs) 테크비전 기술 연구조사 부문 디렉터 반다나 아이어(Vandana Iyer)는 “GLP-1 수용체 작용제는 대사 건강을 넘어 만성질환 치료와 체중 조절까지 치료 범위를 넓히고 있다”며 “현재 심혈관 질환, 당뇨병성 신장병, 수면무호흡증 치료제로 승인받았고, 신경퇴행성 질환과 장 건강 관련 적응증에서도 임상이 진행 중이다. 맞춤형 의료(Personalised Medicine)에 미치는 파급력 또한 상당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탄소중립 연료(e-fuels) 모빌리티 부문 총괄 파트너 비벡 바이디야(Vivek Vaidya)는 “탄소중립 연료는 에너지 전환을 가속하는 핵심 기술”이라며 “유럽을 중심으로 정책 기반 채택이 활발하며, 전 세계적으로 60억달러 이상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속가능 항공 연료(SAF)와 에너지 안보가 각국 정부의 전략 우선순위로 떠오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첨단 캡슐화 기술 (Advanced Encapsulation) 테크비전 기술 연구조사 부문 이사 브누아 뷔트뤼이유(Benoit Butruille)는 “첨단 캡슐화 기술은 약물 전달(Drug Delivery, 약물을 몸속 특정 부위에 정확히 도달하게 하는 기술)과 소비재 혁신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소재 안정성(약효나 품질이 쉽게 변하지 않는 성질),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 몸에 실제 흡수돼 효과를 내는 정도), 방출 조절 능력(Controlled Release, 약물이 일정 시간에 걸쳐 서서히 작용하는 기능)을 높이며, 나노기술과 결합해 의약품, 식품 보존, 퍼스널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2029년까지 약 260억달러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메타인지 AI(Metacognitive AI) 이노베이션 서비스 부문 총괄 수딥 바수(Sudeep Basu)는 “메타인지 AI는 자기 인식(Self-awareness), 적응형 학습, 자율적 의사결정 기능을 갖춰 기존 AI의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기술은 사이버보안, 예측 분석, 업무 자동화 등에 빠르게 적용되고 있으며, 2029년까지 약 950억달러 규모의 시장 가치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와 관련해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한국지사 박세준 대표는 “기술 전망은 단순히 기술이나 트렌드를 식별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며 “중요한 것은 이를 능동적으로 설계하고 연결해 나가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정치적 불확실성, 무역 갈등, 초개인화와 집단심리, 기후 변화 등 복합적 변화를 고려해 기술 기반의 성장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이번 보고서는 기업이 자사와 고객에게 영향을 미칠 기술을 면밀히 검토하고, ‘개발(Build)할 것인지, 도입(Buy)할 것인지, 협력(Borrow)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명확히 설정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보고서를 발표한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Frost & Sullivan)은 모빌리티, 에너지, 정보통신, 헬스케어, 제조 등 주요 산업에 대한 글로벌 시장조사 및 컨설팅 기관으로, 60년 이상 고객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솔루션을 지원하고 있다. 전 세계 29개국, 47개 지사를 기반으로 200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활동하며, 12개 산업과 메가트렌드, 미래 기술에 대한 심층 분석을 제공한다.
-
- 경제
- 기업
-
1.8조 달러 규모 시장 형성할 미래 유망 핵심 기술은?
-
-
신기술·신산업 분야 중심으로 박사급 인재 수요 증가 전망
- 신기술·신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분야를 중심으로 박사급 고급인재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계간지 ‘THE HRD REVIEW 28권 1호 조사·통계 브리프(‘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특성 및 일자리 변화’)’를 통해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현황을 분석하고 미래 수요를 전망했다. 이번 자료는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공동 국가승인통계(승인번호 제920009호)로서 국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신규 취득한 자를 전수 조사하는 ‘국내 신규박사학위 취득자 실태조사’ 최근 4년(2021~2024) 원시자료(졸업자 총 4만5561명)를 분석했다. 주요 분석 결과(조사·통계 브리프 참조)는 다음과 같다. 최근 4년간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개인 특성 변화를 살펴보면, 외국인 박사학위 취득자의 비율 증가와 이에 따른 학업전념 박사 비율의 증가가 나타났다. 외국인 박사학위 취득자의 비율은 2021년 14.3%에서 2024년 23.9%로 크게 상승했다. 내국인에 비해 직장 병행이 어려운 특성상 외국인 박사의 비율 증가는 학업전념 박사 비율의 증가를 이끌었다. 학업전념 박사의 전공계열별 상용근로자 비율을 살펴보면, STEM 전공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자연과학, 수학 및 통계학(64.0%), 정보통신기술(78.2%), 공학, 제조 및 건설(70.7%) 전공계열에서 상용근로자 비율이 타 전공 대비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육(42.2%), 서비스(45.4%), 예술 및 인문학(45.8%) 전공계열의 상용근로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업전념 박사의 전공 계열별 정규직 근로자 비율을 살펴보면, 상용근로자 비율의 경우와 비슷하게 자연과학, 수학 및 통계학(39.6%), 정보통신기술(61.5%), 공학, 제조 및 건설(56.6%) 전공 계열에서 정규직 근로자 비율이 타 전공 대비 높았다. 반면 예술 및 인문학(18.5%), 교육(23.3%) 전공 계열에서 정규직 근로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장광남 부연구위원은 “신기술·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박사급 고급인재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대학 졸업자 대비 국내 박사학위 취득자의 비율 역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고 밝혔다. 특히 “국가 간 고급인재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에 박사급 고급인재 양성과 활용 관련 데이터를 축적하고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향후 고급인재 양성과 확보 및 활용에 관한 차별화된 정책 마련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와 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1997년 설립된 곳으로 국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고용 분야에 대한 정책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
- 사회
-
신기술·신산업 분야 중심으로 박사급 인재 수요 증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