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플러스아이티는 EVC 브랜드인 ‘CAREV(카리브)’ 충전기에 글로벌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업 Qt 그룹의 프레임워크를 적용해 소프트웨어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강화했다고 밝혔다.
유플러스아이티는 완속 충전기 개발 과정에서 24시간 무중단 운영을 보장하고, 실시간 모니터링·결제·원격 제어·OTA 업데이트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UI 프레임워크가 필요했다. 전기차 충전기는 단순한 정보 표시 장치가 아닌 복합 시스템으로, 운영 안정성 확보가 필수였다.
초기 검토 과정에서 안드로이드는 개발 생태계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안정성 문제로 배제됐다. Windows 기반 애플리케이션은 안정성이 입증돼 있었으나 임베디드 충전기 환경에서 요구되는 경량성과 OTA 배포의 유연성이 부족했다. 이에 비해 Qt는 모듈형 UI 구성, 멀티스레드 기반 분산 처리, OTA 친화적인 경량 구조를 갖추고 있어 장기적인 신뢰성과 효율성 면에서 최적의 대안이 됐다.
유플러스아이티 에너지사업본부 연구소 이정훈 연구소장은 “전기차 충전기는 365일 24시간 무중단 운영이 필수적이다. Qt는 안정성, 유지보수성, 확장성을 모두 충족시키며 저희의 요구에 가장 부합했다”고 설명했다.
Qt를 도입한 이후 유플러스아이티는 운영 안정성과 개발 효율성 측면에서 큰 개선을 경험했다.
운영 면에서는 멀티스레드 기반 이벤트 처리와 안정적인 리소스 관리로 충전기 HMI의 다운타임이 줄어들어 이용자 불편을 최소화했다. 개발 측면에서도 Qt의 다양한 위젯과 이벤트 처리 구조, 다국어 지원 등을 활용해 UI 모듈 구현 기간을 15% 단축, 연간 유지보수 비용을 30% 절감할 수 있었다. 신규 기능 출시 주기도 평균 2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돼 시장 대응 속도가 빨라졌다.
또한 Qt의 일관된 코드 구조는 협업 효율성을 높여 신규 개발자가 프로젝트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했으며, 장기적인 유지보수 부담을 크게 줄였다.
유플러스아이티는 현재 Qt 기반 HMI를 완속 충전기에 적용하고 있으며, 앞으로 급속 충전기와 EMS(에너지 관리 플랫폼)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충전기 상태 모니터링, OTA 업데이트, 원격 제어 기능을 고도화하고, 외부 배터리 및 충전 인프라 시스템과의 연계도 추진할 예정이다.
이정훈 연구소장은 “Qt는 단순한 UI 도구가 아니라 복잡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안정적이고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며 “초기에는 라이선스 비용 때문에 망설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안정성과 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Qt가 효율적인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Qt는 활발한 글로벌 커뮤니티와 다양한 산업 적용 사례를 갖추고 있어 개발 중 발생하는 문제 해결에도 큰 도움이 된다”며 “유플러스아이티 역시 커뮤니티의 도움을 받아 예상보다 빠르게 난관을 극복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Qt 그룹 이규훈 지사장은 “이번 Qt 프레임워크 도입을 통해 유플러스아이티의 제품이 더 높은 소프트웨어 운용 안정성과 낮은 유지보수 비용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앞으로 급속 충전기와 가정용 충전기로 확장되는 고객사 라인업에 맟춰 Qt Group의 다양한 솔루션이 도움이 되고 긴밀한 협력이 계속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