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3(화)
 

1.jpg

 

청년 실업이 높은 수치를 보이는 가운데 일자리 마련과 더불어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는 것이 나타났다.


청년 고용 정책과 서비스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접근성 그리고 어려운 정책 설명이 걸림돌이 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이 ‘KRIVET Issue Brief 246호(‘FGI를 통해 살펴본 청년층 대상 고용 정책 및 서비스 개선 방안’)’를 통해 밝힌 것이다.


우선 접근성 측면에서 보면 청년들을 위한 상담사 연결이 현실적으로 너무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어디에서 누구에게 고용 서비스 상담을 받아야 하는지도 알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현재 제공되는 청년 대상 정책 및 서비스의 내용이 정책 입안자의 관점에서 기술되다 보니 일반적인 청년 수준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한편 청년층 고용 서비스 업무 담당자가 느끼는 서비스 문제 해결 방안으로는 청년 대상 전문 상담 인력의 양성과 서비스의 질적 개선이 제시됐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체 등 다수 기관 참여) 내 업무 담당자들은 다른 업무로의 이동 등으로 인해 전문 상담 인력이 부족해 심도 있는 상담이 어렵다고 했다. 다양한 양적 서비스 확대는 지양하고 수혜 정도가 낮은 서비스를 개선하는 등 질적 내실화가 필요한 점도 지적했다. 그리고 SNS 플랫폼 등 청년층의 주된 정보 활용 공간을 통한 타게팅 홍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학일자리센터(고용노동부, 각 대학 참여) 업무 담당자들은 대학생들에게 인기 있는 프로그램(취업한 선배와의 만남, 멘토링 등)을 적극 확대팔 필요가 있다고 했으며 중소기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강소기업 특강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현금성 수당 대신 청년들의 자립심을 실질적으로 키우는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분석을 수행한 정은진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위원은 “프랑스는 청년 고용 서비스인 미시옹 로칼(Mission Locale)의 상담 인력 양성에만 연간 80억여 원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며 “우리도 관련 인력의 양성과 상담 수준 제고에 더 많은 예산 투입과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청년 고용 정책에 대한 낮은 접근성과 어려운 정책 설명은 취업 걸림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