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6-02(금)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경제 검색결과

  • IBK기업은행 금융권 최초로 총 3000억 규모 ‘RE100 펀드’ 금융 주선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SK E&S와 협업해 금융권 최초로 총 3000억원 규모의 ‘RE100 펀드’ 금융 주선을 완료했다고 2일 밝혔다.‘RE100(Renewable Energy 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도록 하는 글로벌 캠페인이다.이번 펀드는 국내 금융기관 최초로 조성하는 ‘RE100 론펀드’로 RE100 달성을 추진하는 기업에게 신재생에너지 플랫폼을 제공해 초기 단계인 국내 RE100 시장을 조성하는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기업은행은 금융자문·주선과 투자 역할을, SK E&S는 사업 발굴·운영·관리 역할을 수행하는 등 양사는 태양광 발전사업에 각 사의 노하우를 공유하며 긴밀한 협력관계를 이어왔다. 기업은행은 최근 SK E&S와 협업해 3년간 총 1.9조원 규모의 태양광 펀드 금융 주선도 완료한 바 있다.한편 기업은행은 신재생에너지 등 녹색금융 전 영역을 대상으로 투자를 추진 중이다. 태양광, 육·해상풍력, 수소 분야뿐만 아니라 친환경 SOC사업 등 공공·정책성 높은 사업에 대한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SK E&S 역시 민간 최대 재생에너지 공급 사업자로 RE100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 경제
    • 금융
    2023-06-02
  • 우리은행, ESG채권 형식의 원화 후순위채권 4천억 발행 성공
    우리은행(은행장 이원덕)은 5월 31일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ESG채권 형식의 원화 후순위채권(조건부자본증권) 4000억원 발행에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당초 2700억원 규모로 발행할 계획이었으나, ESG채권에 대한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과 기관투자자 등의 참여 속에 당초 모집금액의 2.26배 수준인 6100억원의 자금이 몰려, 최종 4000억원으로 증액해 발행됐다.이번에 발행된 채권의 만기는 10년이며, 연 5.14%의 고정금리로 발행됐다. 발행금리는 국고채 10년 금리에 발행스프레드 1.50%p를 가산한 금리로, 올해 시중은행에서 처음으로 발행하는 후순위채권이다.특히 이번 채권은 신재생에너지 개발 등 녹색금융에 사용하는 ‘그린본드’와 사회적 취약계층 지원 등을 위한 ‘소셜본드’가 결합된 지속가능채권이다. 또한, 이번 발행으로 우리은행의 BIS비율은 0.24%p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한편 우리은행은 우리금융그룹의 ESG 비전인 ‘Good Finance for the Next(금융을 통해 우리가 만드는 더 나은 세상)’를 기반으로 그룹 차원의 다양한 ESG활동을 위해 글로벌 기후 위기 대응과 지역사회 나눔 실천 등의 활동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경제
    • 금융
    2023-06-01
  • 한국 전기자동차 업체 및 부품 회사들 IRA 대응 위해 미국 공장 설립 증가
    한국 전기자동차 제조 및 부품 회사들의 북미 공장 진출이 본격화 되고 있는 모습이다. 늘어나는 전기차 공급 물량과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현지 대응 차원에서 미국 진출을 가속화 하고 있는 것이다. 컬리어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뿐만 아니라 전기차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의 미국에 대한 대규모 투자 계획이 발표되면서 미국 공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한국 기업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대기업과 협력을 필요로 하는 1차, 2차 벤더들의 미국 진출도 피할 수 없는 흐름이 되고 있다. 이는 북미에서 최종 조립된 전기차가 아닌 경우 일정 비율 이상의 광물과 부품이 북미 등의 지역에서 생산된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으면 전기차 세액공제(보조금) 대상에서 배제되기 때문이다. 국내 배터리 3사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 이후 중국 업체에 앞서 시장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북미에서 생산 거점 확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에 납품하는 파나소닉이 북미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향후 국내 배터리 3사의 공장 설립이 완료되면 미국 내 한국 기업들의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69%까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은 미국 공장 확대와 안정적인 재료 공급을 위해 협력사들에게 동반 진출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제조용 양극재 공장건설을 계획하고 있는 협력업체들의 미국 진출이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현대차그룹은 2022년 5월 조지아주 서배너 인근에 전기차 전용 공장과 배터리셀 공장을 건설하기로 발표했다. 이 공장은 연간 30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과 거래하는 부품 업체들도 조지아주에 공장을 설립하거나 증설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현대차그룹 투자 이후 관련 협력사 등의 투자액이 10억달러(한화 1조2700억원)로 추산된다. 이번 조지아 공장 발표로 인해 아진산업과 서연이화를 시작으로 추가적인 현대차그룹 협력사들의 동반 진출이 예상된다.컬리어스 코리아의 오피스 및 물류 서비스팀 조재현 상무는 “현대차그룹의 조지아 공장 진출 확대에 따라 현대차그룹 협력사들의 진출도 더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컬리어스 코리아의 글로벌 임차대행 서비스팀은 주요 한국 대기업 관련 협력사의 해외 공장 설립 및 매각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경제
    • 기업
    2023-06-01
  • HD한국조선해양, 대만 선사와 1조2392억 규모 선박 5척 건조 계약
    HD현대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이 총 1조2392억원 규모의 선박 5척을 수주하는 데 성공했다.HD한국조선해양은 최근 대만 선사 양밍해운과 1만 5500TEU급 LNG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 5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이번에 수주한 LNG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은 길이 365m, 너비 51m, 높이 29.85m 규모로, 울산 HD현대중공업에서 건조돼 2026년부터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특히 이 선박에는 LNG 추진 엔진이 탑재돼, 강화된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다.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가 3월 발간한 ‘클락슨 포캐스트 클럽(Clarksons Forecast Club)’에 따르면, 컨테이너선의 경우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경제 회복세와 더불어 글로벌 대형 선사들의 친환경 연료 전환 움직임에 맞추어 친환경 선박 발주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경제
    • 기업
    2023-06-01
  • 이탈리아 OLON 그룹, 고효능 물질 생산 전담할 신규 시설 착공
    위탁개발생산(CDMO)과 일반 시장용 원료의약품(API) 개발 및 생산 기업 OLON 그룹은 이탈리아 밀라노 로다노 공장 부지에 각종 고효능 물질의 관리 및 생산을 전담할 신규 시설을 착공한다고 발표했다. 고효능 물질은 저분자 세포 독소를 효과적으로 없애고, 단클론 항체(mAb)의 고특이적 표적화 능력을 결합하며 새로운 암 치료제 잠재력이 있는 항체-약물 접합체(ADC)의 페이로드와 페이로드 링커로 사용된다.OLON 그룹의 R&D 담당 수석 부사장 조르조 베르톨리니는 “실제 승인됐거나 개발 중인 ADC의 약 80%는 이처럼 돌라스타틴 또는 메이탄시노이드와 같은 유형의 페이로드가 포함돼 있다”며 “안트라사이클린, 캄프토테신, 칼리케아마이신처럼 고도로 전략적인 세포 독소 페이로드도 있다”고 밝혔다.고효능 원료의약품(HPAPI) 분야에서 수년간 전문성을 축적한 이탈리아 OLON 그룹은 이런 고효능 물질을 전담 생산하기 위한 신규 시설 건립에 2200만유로를 투자했다. 이 고차폐 생산 라인은 고효능 및 독성 제품을 생산하며 OEB6(OEL(직업적 노출 한계) 10ng/m3 목표)에 도달할 것이다.새 프로젝트는 생산 시설과 품질 관리, 연구 개발, 모든 보조 시설을 포함하는 두 번째 ‘셸’이 포함된 신규 건물을 완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폐쇄 루프 시스템은 합성, 분리, 건조, 분석 등 공정의 모든 단계를 포함되는 초고차폐 공장이다.페이로드 연구 개발 구역을 건설하는 1단계 공사는 이미 착수된 상태로, 2024년 상반기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완공 후에는 산업 생산 장비를 설치해 QC 및 GMP 프로덕션 구역을 만들어 생산 라인을 마무리하는 2단계 공사가 진행된다.OLON 그룹은 지난 50여년간 항암제, 세포 독성 등 고효능 원료의약품을 개발해 온 이탈리아의 위탁개발생산 기업이다. 종양학 분야에서 블록버스터 신약과 대량 생산 모델이 점차 줄어들고 정밀 의학에 기반한 틈새 신약이 부상하면서 자사가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창출되고 있다.OLON은 초기 API 개발부터 상업적 제조까지, 그리고 몇 그램 단위의 소량 물질부터 수백 킬로그램에 이르는 대용량 물질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의 차폐 기술을 통합할 수 있는 글로벌 API 시장의 공급사 가운데 하나다.한편 OLON은 전 세계에 11개 제조 시설과 7개의 R&D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경제
    • 기업
    2023-06-01
  • 대유에이피 멕시코에 공장 세우며 북미 자동차 시장 진출 본격화
    자동차 스티어링휠 생산업체 대유에이피(대표이사 이석근)가 오는 8일, 멕시코 몬테레이공장의 준공식을 개최하고 북미 자동차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대유에이피는 2020년 멕시코에 법인을 최초 설립하고 케레타로 지역에 생산기지를 구축했다. 이후 북미 자동차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생산기지를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6월부터 현대차와 기아 북미법인에서 생산 예정인 전기차종 등의 납품 대응을 위해 몬테레이 생산공장에 케레타로의 기존 생산설비 이전과 새로운 설비를 확장했다.이번에 준공된 몬테레이 공장은 대지면적 약 8000평, 건축면적 약 3000평에 달하는 규모로 대유에이피는 이곳에서 현대차그룹의 미국 전기차 전용 신공장을 포함한 북미법인에 스티어링휠을 납품할 계획이다. 2025년까지 약 180억원의 단계적 투자가 완료되면, 주조, 성형에서부터 조립에 이르는 연간 70만대의 생산능력을 보유한 스티어링휠의 전 공정 생산라인을 갖추게 된다.한편 몬테레이 지역은 전기차 시장의 글로벌 요충지로 다수의 글로벌 기업이 기존의 내연차 생산구조에서 전기차 생산구조로 공장구조를 변경하거나, 신규 전기차 생산라인 신설이 이뤄지고 있다. 실제 올해 2월 테슬라는 몬테레이 지역에 50억달러(약 6조 6400억원)의 규모의 전기차 생산공장을 설립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 경제
    • 기업
    2023-06-01
  • 한화시스템, 방위사업청 ‘공지 통신무전기 성능개량 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이 방위사업청 주관 958억 규모의 ‘공지(空地)통신무전기 성능개량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군용 항공기의 무선교신은 재밍(jamming·전파방해)과 감청에 노출돼 있어 항(抗)재밍과 보안 성능이 높은 통신장비 탑재가 필수다. 공지통신무전기 성능개량은 무선통신의 발달로 빠르게 변하는 재밍 기술에 대응하기 위해, 2028년까지 우리 군의 육·해·공군 항공 전력에 성능이 입증된 차세대 무전기를 장착하는 것이 사업의 골자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은 장비 현대화 정책 및 보안 강화 차원에서 디지털 방식의 주파수 도약 변환방식인 SATURN 무전기로 전환을 진행하고 있다.‘고속주파수 차세대 항재밍 전술통신’인 SATURN(Second generation Anti-jam Tactical UHF Radio for NATO)은 극초단파(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에서 동작해, 주파수 대역과 암호체계를 빠르고 지속적으로 바꿔야 하는 군 통신에 최적화 한 것으로 평가된다. 연합군 전력과 동일한 SATURN 무전기 도입은 전시상황에서 아군과 적군을 혼동할 위험을 줄이고, 한미 연합작전 유기성과 수행 능력도 높이리라 예상된다.공지통신무전기 성능개량의 조기 전력화를 위해 해군 해상작전 헬기인 LYNX 등을 포함해 임무 컴퓨터와 연동되지 않는 다품종 독립형 항공 5개 전력을 시작으로 육·해·공군 항공기에 SATURN 무전기를 장착한다. 한화시스템은 △SATURN 무전장비 체계통합 및 탑재 △기술도입 생산을 통한 국산화 추진 △점검 및 시험장비 구축 등을 수행하며, 국내외 업체와 협업할 계획이다.미래 전자전과 네트워크중심전(NCW)에 대응할 첨단 항공전자 기술 역량을 보유한 한화시스템은 2000년대 초 우리 군의 항공기·함정·레이다에 항공기용 피아식별장비(IFF) Mode-4(4세대)를 적용하는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며, 2019년부터는 IFF를 최신 버전인 Mode-5(5세대)로 업그레이드하는 사업을 맡아오고 있다.김정호 한화시스템 항공·우주부문 사업대표는 “한화시스템은 피아식별장비(IFF) 성능개량 사업으로 축적한 노하우와 기술력을 차세대 공지통신무전기 사업에 녹여낼 것”이라며 “방위사업청과 함께 SATURN 장비의 높은 항재밍 성능이 우리 군의 작전 수행 능력과 한미 연합작전 수행 능력을 최대치로 높이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경제
    • 기업
    2023-05-31
  • HD한국조선해양 유럽 소재 14개 기관과 대형 액화수소 화물창 기술 공동 개발 착수
    HD한국조선해양은 미국선급협회(ABS)와 드레스덴 공대 등 유럽 소재 산학연 총 14개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6월부터 대형 액화수소 화물창 기술 공동 개발에 착수한다고 31일 밝혔다.이번 프로젝트는 EU 최대의 연구혁신 재정지원 사업인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에 선정돼, EU 집행위원회의 지원금을 받게 된다. HD한국조선해양 등 컨소시엄은 총 1000만유로(약 140억원) 규모의 연구비를 4년간 투자해 16만 입방미터(㎥)급 액화수소 화물창을 개발한다는 목표다.HD한국조선해양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가스운반선을 수주하며 축적해 온 액화가스 화물창 설계 역량을 기반으로,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인 액화수소 화물창 개념설계와 기본설계를 주도할 예정이다.이번 컨소시엄에는 ABS를 비롯한 글로벌 선급 외에도 HYDRUS, TWI 등 엔지니어링 기업 및 드레스덴 공대, 아테네 공대 등 설계, 제작, 성능 및 위험성 평가 등에서 뛰어난 역량을 보유한 유수의 기관들이 참여한다. 국제 연구기관 및 기업들과 수소 원천기술에 대한 정보와 노하우를 공유함으로써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4월 독일에 설립한 HD유럽연구센터(ERC)를 거점으로 이번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기획했으며, 향후에도 ERC를 통해 다양한 글로벌 친환경, 디지털 조선해양 분야 협력 과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HD한국조선해양은 이번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수소 화물창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글로벌 표준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소는 물을 연료로 해 양이 무한정에 가까울 뿐만 아니라, 연소 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탄소중립 시대를 이끌어갈 주요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9월 밀라노에서 열린 가스텍 전시회에서 힘센 엔진을 적용한 수소운반선 시스템에 대한 DNV 선급 인증을 받았으며, 지난해 12월에는 HD현대중공업과 국내 최초 1.5MW급 LNG·수소 혼소엔진 개발에 성공했다. 2025년까지 완전한 수소엔진을 개발해 수소생태계 구축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 경제
    • 기업
    2023-05-31
  • 건국대 한혁수 교수, 바닷물과 어두운 조명으로 수소 생산 기술 개발
    건국대학교 KU융합과학기술원 한혁수 교수(미래에너지공학과)가 바닷물과 어두운 조명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건국대는 한혁수 교수가 서울시립대학교 김혁 교수(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한국세라믹기술원 정찬엽 박사(디지털소재혁신센터), 한국원자력연구원 여승환 박사(선진핵연료기술개발부)와 함께 실내조명만으로도 바닷물을 직접 연료로 사용해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핵심 소재 및 소자 기술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공동 연구팀은 기존의 수전해 시스템이 정수된 물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바닷물을 직접 전기 분해해 그린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핵심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 또 대면적 저조도 광전지와 연계해 실내에서 사용되는 조명 수준으로 낮은 최소한의 광에너지로 바닷물에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연계 시스템에 성공적으로 적용했다. 이를 활용하면 에너지 발전 시설이 부족한 도서 지역과 일부 해안가에서도 수소를 자가생산할 수 있게 된다.해수 환경에서 수전해 양극 소재의 내구성 및 선택성을 확보하기 위해 니켈철 층상이중수산화물 촉매 소재의 표면을 플라즈마를 활용해 개질했다. 표면 개질 후 니켈철 층상이중수산화물 표면에 염소 이온의 흡착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금속상을 형성했으며, 형성된 금속상은 수전해 반응 시 음극 반응에 대한 활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따라서 개발된 촉매 전극은 해수 환경에서도 높은 효율, 내구성 및 선택성을 지니고 그린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특히 유기반도체를 활용해 대면적 광전지를 제조하는 안정적인 반도체 공정을 개발해 태양광뿐만 아니라 실내 LED를 이용한 3000lx의 저조도(슈퍼마켓의 조명 밝기 수준)에서도 전기 생산이 가능한 광전기를 제작함으로써 365일 하루 24시간 동안 끊임없이 안정적으로 그린 수소를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이 같은 자가발전 방식의 전력 인프라도 동시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해안가 지대가 많고 도서 지역이 많은 우리나라에 적합한 ‘에너지 독립형 그린 수소 생산 시스템’의 원천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한혁수 교수는 “연구팀에서 개발한 소재 및 소자는 담수를 사용하지 않고 해수를 직접 연료로 사용해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해상에서 얻을 수 있는 최소한의 광에너지와 연계해 수소 생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도서·산간 지역에 그린 수소 생산 거점을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연구 진행 중 한국세라믹기술원이 수행하고 있는 산업통상자원부 가상공학플랫폼구축사업을 통해 한 교수의 창업회사 더블에이치그린에 기술 지원이 이뤄졌다.이번 연구는 건국대 엔흐바야르 엔흐툽신 박사과정, 서울시립대 최효정 박사 과정, 한국원자력연구원 여승환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해외 유명 저널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5월 25일 자 속 표지(inside front cover)로 게재됐다.
    • 경제
    • 기업
    2023-05-31
  • 포스코인터내셔널 당진LNG터미널 사업 본격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당진LNG터미널 사업을 본격화하며 국내 LNG(액화천연가스)사업 선도회사로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한다.포스코인터내셔널(부회장 정탁)은 31일 충남도청에서 충남도, 당진시, 당진탱크터미널, LX인터내셔널과 함께 ‘당진LNG터미널 지자체 업무협약식’을 가졌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태흠 충남도지사, 오성환 당진시장을 비롯해 정탁 포스코인터내셔널 부회장, 윤춘성 LX인터내셔널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포스코인터내셔널과 LX인터내셔널은 당진LNG터미널 저장탱크 2기와 부대시설 건설을 성공적으로 마치기로 했다. 당진LNG터미널이 건설되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LNG 밸류체인 중 하나인 미드스트림(LNG 저장)의 인프라 자산을 더욱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당진LNG터미널은 당진시 송악읍 당진항 고대부두 내 약 6만평 부지에 들어선다. 27만㎘ LNG 저장탱크 2기, 시간당 200톤을 처리할 수 있는 기화기 2기와 LPG(액화석유가스) 증열 설비, LNG선이 접안할 수 있는 부두 1선좌 등이 건설될 예정이다.당진LNG터미널은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건설이 마무리되면 연간 LNG 350만톤을 처리할 수 있는 서해권 내 주요 LNG터미널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이번 LNG터미널 증설 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터미널 구축 기간 하루 최대 300여명의 건설인력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올해 초 포스코에너지를 합병하며 탐사부터 생산, 저장, 발전에 이르는 LNG 밸류체인을 완성해 나가며 ‘글로벌 친환경 종합사업회사’로 진화를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서고 있다.2005년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광양LNG터미널 상업운전을 개시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현재 광양LNG터미널에서 73만㎘ 규모의 1~5호기 LNG 탱크를 운영하고 있다. 2024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20만㎘급 6호기가 건설 중에 있으며 올해 1월부터는 광양LNG터미널에 조성한 제2터미널 부지를 활용해 20만㎘급 7, 8호기를 추가하는 사업도 시작했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7년까지 광양과 당진에서 증설 중인 LNG탱크를 모두 완공하게 되면 기존 73만㎘에서 약 2.6배 늘어난 187만㎘의 LNG 저장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늘어난 LNG 저장 능력은 하공정 가스사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LNG의 안정적인 수급은 물론, 선박 시운전, 벙커링 등 터미널 연계사업 등이 강화돼 동북아 LNG 허브 터미널 역할을 하게 된다.포스코인터내셔널 정탁 부회장은 협약식에서 “당진LNG터미널은 회사의 에너지사업 밸류체인 완성을 위한 외연 확장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최근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위기 속에서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고 국가 에너지 안보에도 기여하는 터미널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한편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앞서 5월에는 LNG사업 활용을 위해 국내 전용선 전문 해운회사인 에이치라인 해운을 통해 174K CBM(큐빅미터)급 LNG 전용선을 도입했다. 확보한 LNG 전용선은 2026년부터 2046년까지 20년간 국내 수급과 트레이딩용으로 도입하는 북미산 셰일가스 40만톤 운송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 경제
    • 기업
    2023-05-31

IT 검색결과

  • 인터엑스,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아기유니콘 200 육성사업’ 선정
    인터엑스(대표 박정윤)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에서 주관한 2023년도 ‘아기유니콘 200 육성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아기유니콘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2020년부터 올해까지 총 4번에 걸쳐 진행한 글로벌 유니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그동안 200개사가 선정됐다.중소벤처기업부는 이번 모집에 299개 스타트업이 신청해 총 51개 기업이 선정됐으며, 약 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아기유니콘에 선정된 기업은 신시장 개척자금(최대 3억원)과 특별보증(최대 50억원), 정책자금(최대 100억원), R&D자금(최대 20억원)을 신청할 시 우대를 받게 돼 최대 173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아기유니콘이 해외시장 진출을 통해 스케일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며, 글로벌 인재채용도 지원할 계획이다.현재까지 국내 유니콘 기업 23개사는 대부분 수도권에 기반을 두고 있어 지방의 창업생태계 붕괴 우려와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각한 수준이다. 인터엑스는 산업혁신 성장의 근간인 울산에 기반하고 있으며, UNIST 등 지역 인재를 바탕으로 제조 AI와 자율공장 생태계를 리드하는 유망스타트업으로 고속성장하고 있어 시사하는 바가 남다르다.인터엑스는 제조 AI & 자율공장 전문 스타트업으로 2020년 설립됐으며 글로벌 인증에 기반한 시리즈A 투자 유치 등으로 경쟁력을 인정받은 바 있고 이번 ‘아기유니콘 200 육성 사업’에 선정되며 다시 한 번 그 저력을 인정받게 됐다.특히 인터엑스는 올해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지능형 사물인터넷(AloT) 플랫폼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함과 동시에 시리즈A 투자의 성공적 유치, 나아가 미국 산업인터넷컨소시엄(IIC), 독일 산업디지털트윈협회(IDTA)와의 파트너십 등으로 글로벌 유니콘으로의 성장이 기대된다는 평가다.선정 소식을 접한 인터엑스 박정윤 대표는 “이번 아기유니콘 최종 선정으로 주어지는 혜택들을 활용해 압도적인 AI 기술과 사업화 역량을 기반으로 제조 AI 전문 스타트업으로서 글로벌 시장 공략과 네트워크를 더욱 확보해 고객의 새로운 경험과 가치 제공에 힘쓰겠다”며 소감을 전했다.이어 “인터엑스는 미래 기술력 확보에도 집중할 것”이라며 “AI 패키지 솔루션인 INTERX.AI와 디지털 트윈 솔루션인 INTERX.DT, 산업용 DX 플랫폼인 INTERX.DX 등의 출시로 보다 고도화된 서비스 제공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앞으로의 계획을 밝혔다.한편 인터엑스는 지난해 국가 공인 기술신용평가기관 NICE평가정보에서 실시한 기술신용평가(TCB)에서 상위 등급인 ‘T-3’ 등급을 획득하고,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우수기업 중기부 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 IT
    2023-06-02
  • 한국와콤, 웹툰 통한 장애인 사회 진출 기반 마련 위해 한국만화영상진흥원과 맞손
    한국와콤(대표 김주형)이 한국만화영상진흥원(원장 신종철)과 웹툰을 통한 장애인의 사회 진출 및 자립 기반 마련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장애인 웹툰 창작 교육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전개한다.한국만화박물관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식에는 한국와콤 김주형 대표,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신종철 원장 등이 참석했다. 양사는 협약을 통해 전국 장애인들의 웹툰 교육을 위한 인프라 조성 및 유기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청년 장애인 웹툰 아카데미’의 성과 확대를 위해 다방면으로 협력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한국와콤은 디지털 창작 분야의 다양한 교육, 공헌, 사회활동을 꾸준히 전개해 나가고 있으며, 이번 협약 역시 웹툰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웹툰을 통한 장애인들의 창작활동과 교육환경을 증진시키고자 진행하게 됐다. 한국와콤은 향후 한국만화영상진흥원에서 진행하는 ‘장애인 웹툰 공모전’의 수상자들에게 와콤 액정태블릿 ‘신티크’를 지원하고, 전국 장애인 웹툰창작센터 14개소에 와콤 태블릿 기기 무상 점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청년 장애인 웹툰 아카데미’는 웹툰 교육을 통해 장애인의 사회 진출 및 자립 기회를 돕는 사업으로, 2019년부터 시작돼 현재 전국 장애인 교육기관 14개소에서 운영되고 있다. 한국와콤은 아카데미 교육 지원을 통해 장애인의 지속가능한 발전 및 사회적 참여에 기여하고, 누구나 창작자가 될 수 있는 웹툰 업계에서의 리더십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한국와콤 김주형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장애인 창작 교육 인프라가 개선되고, 장애인들의 사회 진출이 활성화돼 미래의 웹툰 인재로 성장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와콤은 창작 분야의 선두 주자로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국내 장애인 창작 시장의 발전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한국만화영상진흥원 신종철 원장은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청년 장애인 웹툰 아카데미의 교육 결과물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장애인 작가가 K-웹툰의 한 축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IT
    2023-05-30
  •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세계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앱’ 다운로드 크게 증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세계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앱 다운로드 수가 크게 성장한 것으로 드러났다. 2020년 전 세계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 다운로드 수는 전년 대비 50% 가까이 성장해 사상 최고치인 27억건을 돌파했고 2021년과 2022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이 약해지면서 다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2023년에는 다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 세계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의 인앱구매 수익은 고속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수익 성장률은 각각 43%, 50%, 33%에 달했다. 인앱구매 수익은 2022년에 28억달러를 돌파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중 80%가 넘는 수익은 애플 앱스토어에서 발생했다. 이는 센서타워가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 시장의 성과와 변화 추세를 분석한 ‘2023년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 시장 인사이트’ 리포트를 통해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리포트에 따르면 유럽과 아시아는 세계에서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의 다운로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시장이다. 이 두 시장은 세계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 다운로드의 60% 가까이 차지하고 있다. 2022년 중남미 시장의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 다운로드는 세계의 역성장 추세 속에서도 11% 성장해 4억건을 기록했다. 다운로드 점유율 역시 2021년의 14%에서 2022년에는 17%로 상승했다. 북미는 세계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의 인앱구매 수익이 가장 높은 시장으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세계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 전체 수익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2022년에도 북미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 시장의 수익은 32% 성장해 17억달러에 육박했으며, 이는 세계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 총수익의 59%에 해당하는 수치였다. 2022년 세계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 다운로드 및 수익 순위를 살펴보면 걸음 수 기록 및 보상 앱 ‘Sweatcoin’의 다운로드 수가 전년 대비 300% 급증하며, 2022년 한 해 동안 다운로드 순위에서 1위에 올랐다. ‘Sweatcoin’은 2023년 3월 20일까지 1억2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으며, 그중 28%에 가까운 다운로드는 미국 시장에서 발생했다. 음식과 운동 칼로리 추적 앱 ‘MyFitnessPal’의 2022년 전 세계 수익은 전년 대비 38% 증가한 1억8000만달러에 육박해 2022년 세계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 수익 순위 정상에 올랐다. 2009년 출시 이후 ‘MyFitnessPal’의 수익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2023년 초 누적 수익은 6억달러를 돌파했다. 2022년 주요 국가 및 지역의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 다운로드 순위를 살펴보면 QR Code Scanner가 서비스 중인 혈압 측정 앱 ‘Blood Pressure App’의 성과가 확인된다. 한국, 일본, 동남아, 중남미 등 다수의 시장에서 뛰어난 다운로드 성과를 올리고 있으며, 각 국가 및 지역의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 시장에서 다운로드 순위 5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여성 생리 기간 추적 앱 ‘MeetYou’ 또한 중국, 동남아, 중남미 시장에서 높은 다운로드 수를 올렸다. 중남미 지역을 제외한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동남아에서는 현지 퍼블리셔가 서비스하는 모바일 건강 및 피트니스 앱이 다운로드에서 강세를 보이며 대부분의 순위권을 차지했다.
    • IT
    2023-05-26
  • 직무경험 기반 이력서 제작 서비스 ‘스타팅’ 운영사 모밋,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SEED 투자 유치
    직무경험 기반 이력서 제작 서비스 ‘스타팅’을 운영 중인 모밋(대표 김홍찬)이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SEED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모밋은 취업자들의 프로젝트 수행 사례를 수집해 직무 경험이 없는 취업준비생에게 실사용자가 있는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무인으로 제공하고 채용 기회로 연결하는 플랫폼을 개발해 나가고 있는 스타트업이다.수많은 교육·채용 플랫폼들이 있지만, 기업의 채용리스크 및 취업 진입장벽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모밋은 이러한 본질적 문제를 제대로 해결한다는 비전으로 설립됐고, 사업 모델의 사업성을 신용보증기금의 ‘스텝업 도전기업’ 선정(2022년 10월)과 이번 SEED 투자유치를 통해 인정받았다. 또한 소셜벤처 판별 및 사회적 기업가 육성사업 창업팀 선정으로 사회성을 인정받았고, 올해 예비사회적기업 인증을 목표하고 있다.현재 모밋은 ‘스타팅’을 출시해 취업자들의 프로젝트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서대학교 SW중심사업단 연구팀과 인공지능(AI) 분야 공동 연구개발(R&D)도 진행하고 있다.또 ‘스낵24’ 운영사인 위펀과 올해 4월 4500개 고객사 대상 채용사업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전 세계 4만개 이상의 고객사가 이용하는 글로벌 워크OS ‘스윗(Swit)’을 서비스하는 스윗테크놀로지스와 클라우드 바우처 우수사례 공동 웨비나를 진행하는 등 B2B SaaS 기업을 통한 채용 파이프라인을 전략적으로 확보해 나가고 있다.모밋 김홍찬 대표는 “최근 벤처·스타트업 업계의 옥석 가리기가 심화되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는 시기에 시드투자를 유치하게 돼 책임감이 무겁다”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무조건 본질에 집중할 것이고, 취업 및 채용 만족도와 이익기반 기업가치라는 핵심 지표로 증명해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IT
    2023-05-26
  • 무하유의 AI서류평가 서비스 ‘프리즘’ 서울관광재단 기간제 직원 채용에 사용
    무하유(대표 신동호)가 자사 AI 서류평가 서비스 ‘프리즘’을 서울관광재단에 공급해 기간제 직원 채용을 돕고 있다고 25일 밝혔다.프리즘은 AI로 서류평가를 자동화하는 서비스다. 표절률은 물론, 지원자가 놓치기 쉬운 오기재나 반복 기재, 블라인드 위반 요소까지 검출 가능하다. 인사담당자가 자기소개서 1개를 검토하는데 평균 12분의 시간이 소요되지만, 프리즘을 사용할 경우 평균 ‘4초’로 소요 시간을 대폭 줄여준다. 지원자의 역량이 포함된 유의미한 구절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고, 이를 토대로 예상 질문을 생성하는 등 지원자 서류의 내용평가도 이뤄진다.서울관광재단은 관광 도시로서의 서울을 알리는 서울 유일의 관광 전담기관으로 관광 도시로서 서울의 매력을 발굴해 외국인 관광객 혹은 국내 타지역 관광객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월 1회 기간제 직원들을 채용하기 위해 프리즘 서비스를 활용 중이다. 이전까지 매월 서류전형 시 약 100여건의 서류에 대해 외부 전문가의 정성평가를 진행하고 있었지만, 개인정보를 블라인드 처리하고 지원서류의 결함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속도 및 정확도의 한계를 느껴 프리즘을 도입하게 됐다.서울관광재단은 프리즘의 기본적인 블라인드 마스킹 처리, 결함검사, 표절검사부터 내용 평가인 ‘BP(Best Person) 평가’와 ‘RP(Right Person) 매칭’까지 폭넓은 기능을 이용하고 있다. BP 평가는 자기소개서의 문항 적합도, 지원자의 역량, 내용의 구체성, 문법 적합도, 지원자의 스토리, 답변 적합도 등 6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항목별 점수를 합산해 점수를 부여한다. RP 매칭은 채용공고 직무기술서 또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지원자의 역량과 경험의 연관성을 분석한다.서울관광재단은 프리즘을 도입한 후 서류 100건 기준 평가 시간을 평균 3일에서 2시간으로 대폭 줄였다. 이전에는 지원 인원의 서류를 하나씩 읽으며 결함을 검토하고 다음날 이중 체크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지만, 프리즘은 AI 기반이라 실수 없이 단시간 내 검토가 가능하기 때문이다.휴먼 에러가 없는 객관적인 평가도 가능해졌다. 서울관광재단은 공정성을 위해 개인정보를 꼭 마스킹 처리해서 평가하고 있는데, 인사담당자가 수작업으로 체크해서 지울 때보다 프리즘으로 마스킹 작업을 할 때 더 깔끔하면서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서울관광재단에서 채용을 담당하고 있는 백수영 과장은 “지금까지 프리즘으로 서류를 검토하며 오류가 발생한 경우는 단 한 건도 없었다”며 “물론 AI가 채용의 전 과정에 있어 인간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AI가 잘하는 부분은 AI에게 맡기고 사람은 사람이 잘하는 부분에 집중할 수 있어 좋다”고 밝혔다.무하유의 강진호 프로는 “AI는 공정한 기준으로 수백 명의 입사지원서를 빠른 시간 내에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며 “인사담당자는 프리즘의 서류 평가 자동화 기능을 이용해 평가에 대한 압박을 줄이고, 평가 속도는 더 높이며 적합한 인재를 채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 IT
    2023-05-25
  • 비투엔, 오픈랩스와 공동개발한 SuperACID 솔루션 기반 기술 특허 등록
    비투엔은 오픈소스 기술 전문 기업 오픈랩스(대표이사 하창석)와 공동 개발한 3개의 특허를 등록했다.특허는 ‘SuperACID(슈퍼애시드)’ 솔루션의 기반 기술로 MSA 또는 멑티 클라우드 등의 환경에서 분산 트랜잭션을 효과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처리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됐다. 이로 인해 분산 환경에서 개발자의 추가 개발 없이도 데이터의 정합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특히 해당 솔루션은 MSA 및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장 어려운 데이터 신뢰성의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회사는 이 외에도 한 줄의 어노테이션 코드 입력만으로 솔루션 적용이 가능하고, 서비스의 처리량, 호출 빈도, 지연 상황 등 복잡도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비투엔과 오픈랩스가 공동 취득한 특허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기반의 트랜잭션 가상화 처리 장치 및 방법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기반의 쿼리 오케스트레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기반의 트랜잭션 가용성과 성능 보장 처리 장치 및 방법 특허이다.
    • IT
    2023-05-25
  • 유튜브 다국어 자막 플랫폼 ‘컨텐츠플라이’ 연매출 20억 달성
    유튜브 다국어 자막 플랫폼 ‘컨텐츠플라이’를 운영 중인 닐리리아는 2022년 경영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매출 20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컨텐츠플라이는 생산과 소비 주기가 빠른 유튜브 콘텐츠 특성에 맞춰 쉽고 저렴하게 다국어 자막을 신청할 수 있는 플랫폼 서비스다. 콘텐츠에 자막이 필요한 크리에이터는 원하는 언어를 선택만 하면 간편하게 작업 신청을 할 수 있다.컨텐츠플라이는 타 업체와 다르게 영상의 분당 과금 구조와 함께 글자당 과금 상품도 지원해 영상의 길이에 비해 발화량이 적은 콘텐츠 등 콘텐츠 특성에 맞춰 자신에게 유리한 과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한편 컨텐츠플라이에 따르면 100% 핸드메이드 작업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고 한다.
    • IT
    2023-05-22
  • 컴트루테크롤로지, IBK기업은행 ‘신분증 사본 검증 솔루션 사업’ 수주
    컴트루테크놀로지(대표이사 박노현)가 IBK기업은행의 ‘실시간 신분증 사본 검증 솔루션 도입 추진’ 사업의 최종 구축사업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이번 사업은 금융사기 원천 방지를 위해 실시간으로 인쇄본·복사본·촬영본 등의 사본 신분증을 탐지 및 차단해 실물 신분증만 통과하도록 하는 시스템 도입이 목적이다. 해당 시스템이 도입되면 비대면 거래 시 신분증 사본을 이용해 계좌 개설이나 대출 등의 금융업무를 하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IBK기업은행은 정탐률 95% 이상, 처리 속도 1초 이내의 조건 충족을 요구했으며, 이를 위해 공개 PoC(Proof of Concept, 기술 적합성 평가)를 진행했다. PoC는 총 72가지의 다양한 실환경 케이스로 나눠 진행됐고, 각 환경마다 진본 또는 사본 신분증 여부를 무작위로 판단해야 했다. 컴트루테크놀로지는 요구 정탐률을 웃도는 97%의 성적으로 PoC를 마무리 짓고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컴트루테크놀로지는 신분증 사본 검증 기술의 완성도 제고를 위해 멀티샷 촬영과 싱글샷 촬영, 인공지능 신경망과 홀로그램 판독을 모두 적용했다. 마찬가지로, 정탐률 향상을 위해 신분증 사본 케이스를 분류·분석해 다수의 실환경에서 인공지능 신경망의 학습을 실시했다. 또 판단 오류 보완을 위해 신경망 재학습 알고리즘 및 재검증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컴트루테크놀로지 마케팅팀 김현정 팀장은 “현재 IBK기업은행의 ‘실시간 사본 검증 솔루션 도입 추진 사업’ 시스템 구축과 운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자체 개발한 안면인식 시스템, 신분증 사본 검증 시스템 등을 융합해 금융사기 방지를 위한 비대면 본인확인 솔루션의 선두주자 자리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 IT
    2023-05-22
  • ‘보이는ARS’ 개발한 콜게이트, 100억원 규모 투자 유치
    ‘보이는ARS’ 서비스를 상용화한 콜게이트(CallGate, 대표 이강민)가 1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기존 투자자를 포함해 더웰스인베스트먼트와 키움캐피탈이 공동 운용하는 ‘더웰스-키움 그로쓰캐피탈 투자조합’에서 한 것이며 주요 캐피탈들이 출자자(LP)로 참여했다.콜게이트는 ‘보이는ARS’ 서비스를 개발하고 상용화해 2023년 5월 현재 약 300여개의 대기업과 수많은 중견·중소기업 및 공공기관과 지자체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택센터 전문 솔루션 기업이다.그간 비즈니스를 전개하며 기업의 시스템 환경과 통신 인프라 환경의 변화에 따라 Digital ARS, Info Push, Web Voice 등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했으며 지난해에는 보이는ARS를 기반으로 통화 중 결제 화면을 팝업해 간편한 결제를 제공하는 손쉬운 결제 솔루션 ‘TapPay’를 출시해 결제 서비스로의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TapPay’는 결제를 위해 별도의 앱을 설치하거나 회원가입, 복잡한 인증 절차 없이 카드를 ‘Tap’하는 것만으로 결제가 가능한 솔루션으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서비스 출시 이후 홈쇼핑과 같은 커머스 플랫폼 등에서 도입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콜게이트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보이는ARS를 바탕으로 한 본격적인 사업 확장에 나설 방침이다.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와 함께 사업 확장을 위한 인프라 투자와 우수한 전문 인력 충원, 마케팅 프로모션 등 다양한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연내에는 파트너들과 TapPay를 확장한 또 다른 결제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이번 투자를 진행한 더웰스인베스트먼트의 정한철 전무는 “콜게이트는 최근 5년 연속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에서 흑자를 기록하며 내실 있게 비즈니스를 이끌어왔다”며 “보이는ARS라는 안정적인 비즈니스 기반 위에서 보이는ARS를 활용한 다양한 버티컬 서비스로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고 투자 이유를 설명했다.콜게이트 이강민 대표는 “콜게이트는 기술력과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보이는ARS 기반의 사업 확장 로드맵을 차근차근 실행해 왔다”며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콜게이트가 준비해 왔던 것들이 더욱 추진력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세계 최초로 보이는ARS를 개발하고 상용화했던 것처럼 TapPay와 같은 결제 솔루션을 비롯해 국내외 이용자에게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가져다줄 새로운 솔루션들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 IT
    2023-05-16
  • 서틱, 알리바바 클라우드에 블록체인 보안 서비스 제공 위한 파트너십 맺어
    서틱(CertiK)과 알리바바 클라우드(Alibaba Cloud)가 클라우드 바탕의 웹3(Web3) 프로젝트에 대한 블록체인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지난 10년 동안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서비스는 통신 기술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고, 이 과정에서 사이버 보안이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새로운 기술은 대규모 채택되기 전 자체 보안을 입증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서틱이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블록체인 서비스 BaaS (Blockchain as a Service) 플랫폼에 가져온 이점이다. 블록체인은 안전하고 탈중앙화되며 고효율적인 탈중앙화 컴퓨팅을 위한 강력한 새로운 방식을 제공하는 혁신 기술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의 다음 단계는 바로 웹3 애플리케이션, 스마트 콘트랙트, 블록체인의 통합이다.이 새로운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자와 기업들은 서틱이 제공하고, 알리바바 클라우드에 배포한 서비스와 도구를 이용해 코드 감사, 리스크 평가, 팀 신원 인증, 배경 조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서틱의 스마트 콘트랙트 보안 감사 서비스와 레이어(Layer) 1 블록체인 보안 감사 서비스는 이미 알리바바 클라우드에 도입됐다. 앞으로 모의 해킹과 서틱의 스카이넷 실사 도구도 도입할 예정이며, 알리바바 클라우드에 종합적인 엔드 투 엔드 보안 솔루션을 제공한다.서틱 공동 창립자 롱후이 구(Ronghui Gu) 교수는 “오랜 블록체인 보안 경험을 알리바바 클라우드 플랫폼에 가져오게 돼 매우 기쁘다. 5년 넘게 우리는 블록체인 기술의 힘을 믿어 왔고,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이런 비전에 동참하고 포괄적인 보안 접근 방식을 채택하는 것을 보니 정말 보람차게 느껴진다. 우리는 가능한 사용자들에게 안전한 블록체인 개발 및 배포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 인터내셔널 웹3 솔루션 책임자 레이먼드 샤오(Raymond Xiao)는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항상 고객에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블록체인 및 웹3 생태계에 대한 더 탁월한 서비스와 기술 지원 및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IT
    • 블록체인
    2023-05-16

지역뉴스 검색결과

  • 서울시의 숨은 관광자원 발굴 및 SNS 통해 홍보하는 ‘트립메이트’
    서울시는 서울과 지역의 숨은 관광자원을 발굴하고 소셜 미디어(SNS)를 통해 국내외로 홍보하는 서울시 2030 관광홍보단 ‘트립메이트(Tripmate)’가 본격 활동을 개시한다고 했다.2020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 4기째를 맞은 트립메이트는 영상 제작과 편집이 가능하고 SNS 활동에 능숙한 2030세대 30명으로 구성됐다. 4월 서류 심사와 면접 심사를 거쳐 약 4:1의 경쟁률을 뚫고 최종 선발됐다.올해 선발된 트립메이트 4기는 대학생 한정이었던 1~3기와 달리 2030세대의 대학생, 직장인, 주부 등 다양한 직업군으로 구성돼, 각계각층의 생생한 목소리로 관광 정보를 전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4기에는 러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외국인 5명이 포함돼 외국인의 시선으로 국내의 흥미로운 여행지와 관광 정보를 소개한다. 한국어를 포함해, 영어 및 자국어로 서울과 지방의 관광 콘텐츠를 게시할 예정이다.이들은 4월 27일 발대식 이후, 5월 7일 성황리에 종료된 ‘서울페스타 2023’에 참여해 개막식, 광화문 광장의 ‘서울 컬처 스퀘어’, ‘서울브릿지 맛-켓’, ‘한강 드론라이트쇼’ 등 축제 기간 개최된 다양한 행사를 SNS로 홍보했다.트립메이트는 서울뿐만 아니라,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한 지역 홍보 활동에도 힘쓴다. 이번 4기는 고령군, 계룡시, 수원시, 함평군 4개 지방자치단체의 팸투어에 초청받았다. 올 6월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유력한 경북 고령군의 지산동 고분군과 대가야 체험캠프 등 고령 곳곳을 취재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서울시와 우호교류 협약을 체결한 지자체를 중심으로 각 지역의 대표 행사부터 숨은 관광지를 취재·발굴한다.이들이 제작한 콘텐츠는 개인 SNS, 트립메이트 공식 SNS 및 서울시 홈페이지 등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시민들에게 소개돼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으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서울시 2030 관광홍보단 트립메이트 4기 서포터즈들의 활동과 각종 관광 정보는 트립메이트 공식 SNS 채널(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행하기 좋은 계절을 맞아, 국내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시민들이 유용한 관광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조성호 서울시 관광정책과장은 “올해 트립메이트는 직업, 국적이 다양하게 구성돼 독특하고 재밌는 관광 콘텐츠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트립메이트 SNS를 통해 서울과 지방의 많은 관광 정보를 얻어가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 지역뉴스
    • 서울
    2023-05-10

종합 검색결과

  • 건국대 인문한국플러스 사업단, 모빌리티인문학 국내 학술대회 개최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원장 신인섭)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은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와 함께 ‘지구종말시대 탈지구적 상상력’을 주제로 모빌리티인문학 국내 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철학·문학·미술사 분야의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현시대의 화두인 4차 산업 혁명과 시공간의 모빌리티에 대해 고찰했다.1부는 ‘탈지구적 시공간과 포스트휴먼 조건’을 주제로 이화여대 신상규 교수와 뉴욕 메리스트대(NY Marist College) 유상근 교수가 발표했다. 신 교수는 루치아노 플로리디(Luciano Floridi)의 정보 철학을 기반으로, 급속한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따른 환경 변화가 가져온 인식론적 전환을 다뤘다. 유 교수는 영미권 SF의 역사 속 모빌리티 개념의 변용을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아우르며 한국 SF만의 독특한 시공간에서 모빌리티의 특징을 논했다.2부 ‘탈지구적 상상력과 예술’에서는 서울과학기술대 복도훈 교수가 2020년대 한국 리얼리즘 소설인 김영하의 ‘작별인사’와 최이수의 ‘두 번째의 달’에 담긴 멸종 담론과 그 시사점을 다뤘다. 또 국민대 김희영 교수는 4차 산업 혁명 모빌리티의 층위에서 비디오아트의 창시자 백남준의 ‘정주하는 유목민’ 개념의 의미와 미술사적 계보를 밝혔다.신인섭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철학·문학·미술, 특히 동시대의 김영하의 소설과 백남준의 미술 작품을 통해 4차 산업 혁명의 첨단 과학기술이 현 인류에게 가져온 모빌리티의 확장의 의미를 검토할 수 있는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은 국내 학술대회를 개최하며 모빌리티인문학의 영역에서 논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종합
    • 교육
    2023-06-02
  • 지놈앤컴퍼니 박한수 대표, 항암 효과 면역 조절제 발견 논문 ‘Advanced Science’ 게재
    지놈앤컴퍼니는 박한수 대표가 항암 효과가 있는 면역 조절 단백질의 기전 규명에 대한 연구 성과가 ‘Advanced Science’(IF 17.521)에 게재됐다고 24일 밝혔다.이번 연구는 박한수 대표와 삼성서울병원 이세훈 교수 연구팀, 광주과학기술원 연구팀이 미래창조과학부와 보건복지부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박 대표는 기존 면역항암제가 가진 낮은 반응률이라는 한계점 극복을 위해 신규 타깃 물질 발굴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이어가고 있다.이번 연구를 통해 항암 효과를 가진 면역 조절제인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ICAM-1’)을 발견했으며 이 단백질이 암 특이 T세포를 활성화한다는 기전을 규명해 주목받고 있다.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의 폐암 환자 생존 그래프를 ‘ICAM-1’ 발현량에 따라 분석해 발현이 높은 환자군에서 높은 생존율을 확인했고 면역 조절제 ‘ICAM-1’이 항암 효과와 연관돼 있다는 기전을 밝히고 입증했다.박한수 지놈앤컴퍼니 대표는 “이번 연구는 폐암 환자의 생존 그래프를 분석하여 항암 면역 조절제 ICAM-1을 발굴했고 더 나아가 sICAM-1이 T 세포의 암세포 사멸 기능을 활성화해 단독 투여 시뿐만 아니라 anti-PD-1과의 병용 투여 시에 보다 유의미한 항암 효과를 보였다”면서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면역 조절 단백질의 새로운 항암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한편 지놈앤컴퍼니는 글로벌 면역항암제 전문기업으로 GENA-104, GENA-119 등 신규 타깃을 발굴해 면역항암 치료제를 연구개발 중이다. 지놈앤컴퍼니는 자체 연구개발 플랫폼인GNOCLETM을 통해 신규 타깃 물질을 발굴하고 있으며 ‘GENA-104’는 연내 임상 1상 IND 신청을 할 계획이다.
    • 종합
    • 교육
    2023-05-24
  • 7개 개발도상국 공무원, 사이버한국외대 워크숍 통해 한국의 우수 행정제도 학습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장지호)는 지난 20일 개발도상국 공무원들이 정책 역량 강화 워크숍 및 시설 견학을 위해 방문했다고 밝혔다.행정안전부 소속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의 ‘2023년 개발도상국 지방행정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이집트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7개국 14명의 공무원들은 먼저 사이버한국외대의 Full-HD 스튜디오를 방문, 첨단 장비를 이용해 강의 콘텐츠 제작 과정을 체험했다. 이들은 온라인 교육 콘텐츠의 제작과 운영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디지털전환 전략과 관련해 자국에 적용 가능한 정책 아이디어를 모색하는 기회 또한 가질 수 있었다.스튜디오 견학을 마친 후 공무원들은 사이버한국외대 지방 행정·의회학과장 최창수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워크숍에 참여했다. 워크숍을 통해 이들은 우리나라의 정부혁신, 우수 행정제도와 사례에 대해 학습하는 한편 각국의 정책사례에 대해 공유하고 의견을 주고받는 토론의 시간을 통해 정책역량 강화 및 상호 간 발전을 도모했다.최창수 교수는 “대면 연수가 재개돼 다시금 각국의 공무원들을 모시고 워크숍을 진행하니 감회가 새롭다”며 “이를 통해 각국의 발전은 물론 우리나라와의 우호협력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종합
    • 교육
    2023-05-23
  • 롤스로이스, 울트라팬 기술 시험기에 대한 첫 번째 테스트 성공
    롤스로이스는 영국 더비에 있는 자사의 시설에서 울트라팬 기술 시험기에 대한 첫 번째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첫 번째 테스트는 100%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SAF)를 사용해 수행됐다. 롤스로이스는 항공 엔진 제조업체로서 54년 만에 처음으로 새로운 엔진 아키텍처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민관 협력을 통한 성과를 달성했다. 울트라팬은 이미 서비스 중인 세계에서 가장 효율적인 대형 항공 엔진인 트렌트 XWB(Trent XWB)보다 10% 더 뛰어난 효율성을 제공한다. 단기적으로는 울트라팬 개발 프로그램의 기술을 현재의 트렌트 엔진으로 이전해 고객들이 훨씬 더 뛰어난 가용성과 신뢰성 및 효율성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2만5000lb 및 11만lb 추력까지 확장 가능한 울트라팬 기술을 통해 2030년대에 출시될 신형 협동체(Narrowbody) 및 광동체(Widebody) 항공기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롤스로이스의 투판 에르긴빌직 CEO는 “울트라팬 시험기는 항공 업계의 판도를 새롭게 변화시킬 것이다. 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현재 테스트 중인 기술들은 현재는 물론 미래의 엔진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이번 발표는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우리는 엔진 효율성을 단계적으로 발전시키면서 다시 한번 역사적인 이정표를 수립했다. 보다 효율적인 가스 터빈 엔진과 지속가능한 항공연료를 결합함으로써 업계 목표인 2050년까지 탄소중립 비행을 달성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목표에 더 가까워졌다”며 “항공 여행의 탈탄소화를 촉진시키는 핵심은 협업이며 특히 울트라팬 프로그램은 정부와 산업계가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협력해 달성한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테스트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스마트한 실내 항공 엔진 테스트 시설인 테스트베드 80에서 진행됐다. 이번 테스트에 사용된 식용유와 같은 폐기물 기반 지속가능한 공급 원료에서 파생된 100% 지속가능한 항공연료는 에어 비피가 제공했다. 시험기 테스트는 ATI 및 이노베이트 UK를 통한 영국 정부의 지원과 EU의 클린 스카이 프로그램, 독일의 LuFo 및 브란덴부르크주의 지원으로 다년간 진행된 연구 작업의 성과이다. 영국 산업무역부 장관인 케미 바데노크는 “이 최첨단 기술은 영국의 항공우주 산업에 대한 투자 유치를 확대해 경제 성장을 지원하는 동시에, 미래의 친환경 항공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영국 정부는 ATI 프로그램을 통해 울트라팬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롤스로이스와 같은 제조업체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세계 항공우주 시장에서 영국의 점유율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ATI의 CEO인 게리 엘리엇은 “롤스로이스의 울트라팬 프로그램은 항공기 엔진의 연비 측면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뤘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된 기술은 환경에 대한 영향은 줄이면서도 엔진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크게 향상시켰다”며 “이 프로그램은 세계 시장에서 영국의 선도적 입지를 더욱 강화하는 것은 물론, 영국의 항공기 엔진 산업의 미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기술 시험기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롤스로이스 팀에게 축하를 전한다”고 말했다. 클린 에비에션의 수석 디렉터인 악셀 크레인은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항공의 미래로 나아가는데 중요한 이정표를 수립한 롤스로이스 팀에게 축하를 전한다. 클린 스카이 2 프로그램의 대표적 프로젝트인 울트라팬 기술 시험기는 우리의 여정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는 혁신과 협업의 성과이다. 클린 에비에이션은 헤븐 프로젝트를 통해 이 아키텍처를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울트라팬은 2014년 처음 개념이 공개된 이후 10년에 걸쳐 제작됐다. 울트라팬은 현재 약 4200대가 서비스 중인 롤스로이스의 대형 민간항공 엔진 내에 지금까지 업계에서 생산된 적 없는 크기의 기어 설계가 통합되는 것으로 완전히 새로운 설계 아키텍처이다.
    • 종합
    • 해외
    2023-05-23
  • KOTRA, 한류로 K제품 수요 증가한 오세아니아 시장에 중소기업 진출 발판 제공
    KOTRA(사장 유정열)가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오세아니아 시장 진출을 나섰다. 한류로 인해 K-뷰티·K-푸드 등 한국 프리미엄 소비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시장 확대의 적기라고 판단해 진출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이를 위해 KOTRA는 롯데와 함께 지난 18일부터 21일가지 호주 시드니에서 ‘2023 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 in 오세아니아’를 개최했다. 엑스포에서 KOTRA는 한국 제품에 관심 있는 호주와 뉴질랜드 바이어 150개사를 유치해 한국의 소비재 중소기업 100개사와 이틀간 595건의 현장상담을 진행했고 6200만달러의 상담 실적을 거뒀다. ‘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는 2016년부터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을 위해 롯데에서 마케팅 및 해외시장 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상생 프로그램이다. KOTRA는 롯데와 2017년부터 협업을 이어오며 대중소 동반 해외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있다. 오세아니아 시장은 한류에 대한 인지도가 상승함에 따라 한국 제품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중이다. 특히 K-푸드 중 김스낵, 전통주, 감귤타르트 등의 제품은 현지인들의 입맛을 사로잡아 최근 바이어들의 관심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조사기관 IBIS에 따르면, 호주의 소비재 시장은 향후 5년간 2200억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할 예정이며, 세계 최고 임금수준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의 높은 구매력이 이를 뒷받침할 것으로 전망된다. 안성준 KOTRA 소비재바이오실장은 “2022년 한-호주 교역규모가 전년 대비 49% 성장해 한국이 호주의 3대 교역국으로 올라서는 등 양국 교역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KOTRA는 한국 소비재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현지 온·오프라인 유통망 입점 지원 등 더욱 다양한 형태의 지원 사업을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시드니항 야외광장에서는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즉석 사진 부스, 포토월 설치 등을 통해 ‘2030년 부산세계박람회’를 홍보했다. 이때 우수상품 판촉전, K-POP 커버댄스, K-푸드 쿠킹쇼 등 한류 문화공연을 선보여 방문객과 주요 기업들의 눈길을 끌었다.
    • 종합
    • 해외
    2023-05-22
  • LS그룹 계열 슈페리어 에식스, 국내 사모펀드 통해 2천억 규모 프리IPO 성공
    LS그룹 계열의 미국 전선회사 슈페리어 에식스(Superior Essex, 이하 SPSX)가 국내 사모펀드(PEF)를 통해 약 2000억원(약 1억5000만달러) 규모의 프리IPO(상장 전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통신케이블 사업 역량의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다.SPSX는 23일, 통신케이블을 생산하는 자회사 SEABL(Superior Essex ABL)에 투자할 기관 전용 사모펀드 운용사인 SK증권 계열의 SKS크레딧과 본 계약을 체결하고 은행 등 기관투자자들이 참여하는 펀드 결성을 마무리할 계획이다.이번 프리IPO로 평가받은 SEABL의 기업가치는 약 1조원(약 7억5000만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SPSX는 확보한 재원을 차입금 상환과 사업 확대를 위한 투자 등에 활용하고, SEABL을 더욱 성장시켜 향후 미국 뉴욕 또는 한국 증시 등에 상장을 추진할 예정이다.SPSX는 최근 유럽과 북미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교육, 의료 등 민간 부문의 5G 자체특화망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통신케이블 사업의 성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SPSX는 LS그룹이 2008년 인수한 매출 기준 권선 세계 1위, 통신선 북미 4위의 업체이며, 지난해 매출액은 약 4조원(30억2000만달러)으로 2021년 약 3.7조원(28억1300만달러) 대비 7% 성장하는 등 양호한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 중국, 독일, 이탈리아 등 3대륙 10여 개국에 진출해 있으며, 본사는 조지아주 애틀란타시에 있다.한편 북미 지역은 LS그룹 비전2030 달성을 위한 주요 거점 국가 중 하나로 LS전선은 자회사인 LS전선아시아를 통해 통신케이블인 UTP케이블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LS일렉트릭은 미국 내 배터리 공장 건설에 필요한 전력 솔루션을 제공하며 관련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 경제
    • 기업
    2023-05-19
  • 건국대, 과기부 지원 사업 선정돼 메타버스 융합대학원 운영
    건국대학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인재 양성사업에 선정돼 메타버스 융합대학원을 운영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건국대는 1년 차 5억원, 2년 차부터 연간 10억원씩 6년간 55억원을 지원받는다.올해 건국대는 일반대학원에 메타버스융합학과를 개설하고 가을학기 신입생을 모집하고 있다. 문화·콘텐츠, 예술·디자인, 컴퓨터공학을 아우르는 다학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산학 연계 사업을 통해 기술 수요 변화에 대응 가능한 융합 인재를 양성한다.입학생은 전원 장학금을 지원받으며, 메타버스 공간과 경험, 지능 등을 융합한 연구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연구 주제는 학생이 주도적으로 발굴해 지도교수와 구체화하고 이를 연구진 및 기업과 매칭할 수 있도록 돕는 학생주도 창의 자율 연구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교육 과정은 인턴십-취업 연계 마이크로디그리로 구성해 메타버스, XR 영상 및 AR/VR 공연 등 전문 기업에서의 실습과 인턴십으로 실제 산업 현장도 경험할 수 있다.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네덜란드 대학과 협력해 메타버스 리빙랩도 진행한다.이번 사업 연구책임자인 김형석 건국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건국대는 가상·증강 현실과 콘텐츠, 공학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최고의 교수진을 보유하고 메타버스 기반 창업과 산업 기술을 선도하는 대학”이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필요한 최적의 교육·연구 인프라를 지원하고 기업과의 장기 프로젝트를 통해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함양할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건국대가 이번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의해 선정된 메타버스 융합대학원은 메타버스 등 ICT 유망기술 분야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을 목표로 한다. 지난해에는 한국과학기술원과 서강대, 올해는 건국대를 시작으로 성균관대, 세종대가 메타버스 융합대학원으로 선정됐다.
    • 종합
    • 교육
    2023-05-19
  • SK와 하나금융그룹 계열 기업들, 금융소외계층 위한 사업 추진 위해 맞손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과 SK브로드밴드, 11번가 등 ICT 패밀리 3사와 하나은행, 하나증권, 하나카드 등 하나금융그룹 계열 3사는 서울 중구 소재 하나은행 본사에서 ‘통신·금융·미디어·유통 데이터 결합 신사업 추진 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6개 사는 이날 협약식에서 업종 간 고객 데이터 가명결합을 통해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차세대 신용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통신-금융이 결합된 데이터 기반의 신규상품 개발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력은 각 사의 데이터를 개인신용평가에 추가해 활용함으로써 금융거래 이력이 부족한 고객(씬 파일러·Thin filer)들의 금융 복지 향상에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주부·은퇴자 등 금융거래가 없는 고객들도 신용평가가 가능해져 맞춤형 중금리 대출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나금융그룹은 차세대 신용평가 모형 개발이 완료되면, 이를 개인 대출 심사과정에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6개 사는 차세대 신용평가 모형 개발을 위해 이동통신과 금융 및 온라인 정보 등을 가명정보 결합 방식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가명정보 결합이란 서로 다른 정보처리자가 공통으로 보유 중인 정보를 가명처리해 결합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개인정보를 가명처리한 뒤 결합해 더욱 가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SK ICT 패밀리와 하나금융그룹은 이 밖에도 데이터 결합을 통해 각 사의 기존 통신·금융 상품을 고도화하고, 고객 맞춤형 상품 타겟팅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데이터 기반의 신규 상품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황보현우 하나은행 데이터본부장은 “데이터 결합은 디지털 전환 시대를 이끌어 가는 피할 수 없는 키워드로 다양한 업종 간의 데이터 결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 장홍성 AdTech CO장은 “ESG 경영은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키워드이며, 이번 가명정보 결합을 통한 신사업 추진은 데이터를 통해서 ESG 경영을 실천하는 또 하나의 통신과 금융 협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경제
    • 기업
    2023-05-16
  • 대웅제약과 입셀,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용한 ‘인공적혈구’ 개발 나선다
    대웅제약(대표 이창재·전승호)은 12일 국내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기업 입셀(대표 주지현)과 ‘인공적혈구’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개발 협약을 맺었다고 15일 밝혔다.인공적혈구란 혈액 내에서 세포에 산소를 배달하는 역할을 하는 적혈구의 기능을 대체한 물질이다. 최근 코로나19와 같은 다양한 감염질환의 발생, 저출산·고령화 사회 진입 등에 따라 혈액수급 불균형이 커지고 있다. 이에 헌혈에만 의존되는 기존 혈액 공급 시스템은 곧 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인공적혈구 및 인공혈소판 등의 개발을 통해 국가 차원의 안정적인 혈액 공급 대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대웅제약과 입셀은 이번 협약을 통해서 인공적혈구 세포주 및 공정 개발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hiPSC)’를 이용해 인공적혈구 개발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 및 생산기술 고도화를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hiPSC란 인체 기관 중 원하는 모든 신체 조직 및 장기 등으로 분화가 가능한 세포로, 조직의 재생과 세포치료를 통해 다양한 중증 및 난치성 질환 치료의 열쇠가 될 것으로 주목 받고 있다.입셀(YiPSCELL)은 주지현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가 2017년 설립한 뒤, 임상면역학(Clinical immunology)과 줄기세포(Stem cell)를 기반으로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와 치료제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생명공학 기업이다.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우수한 유도만능줄기세포 기술력을 가진 입셀과 함께 인공적혈구 개발 파트너로 진행하는 공동연구에 기대가 크다”며 “양사간 연구를 통해 도출된 기술을 활용해 안정적인 인공적혈구 공급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주지현 입셀 대표는 “국가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헬스케어 그룹으로서 제약산업을 선도하는 대웅제약과 인공적혈구 개발을 함께하게 돼 기쁘다”며 “입셀이 가지고 있는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플랫폼 기술과 역량을 기반으로 대웅제약과 긴밀히 협력해 국가 차원의 적혈구 수급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경제
    • 기업
    2023-05-15
  • 국제경쟁력연구원, 18일 세계 423개 주요 대학 혁신 랭킹 발표
    세계 423개 주요 대학의 혁신 수준을 평가하는 ‘2023 세계 혁신대학 랭킹(WURI 2023)’이 5월 17일(한국시간 5월 18일) 발표된다. 국제경쟁력연구원은 미국 플로리다주 주립 대학인 플로리다걸프코스트 대학(Florida Gulf Coast University)에서 5월 15일부터 17일까지 개최되는 제3차 한자대학동맹(Hanseatic League of Universities, HLU) 연차 컨퍼런스에서 ‘WURI 2023’을 발표한다고 밝혔다.전통적인 대학을 평가하는 세계 양대 평가 기관인 영국의 QS (Quacquarelli Symonds)와 THE (Times Higher Education)는 과거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대학을 평가한다. 이와 달리 혁신적인 대학을 평가하기 위해 2019년 최초로 한국에서 만들어진 ‘WURI 랭킹’은 미래 지향적인 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혁신 프로젝트를 수집해서 평가한다. ‘WURI’는 World University Rankings for Innovation의 약자로, 혁신을 선도하는 세계 대학들을 평가한다는 뜻이다.WURI 랭킹은 한국의 국제경쟁력연구원이 주관하고, 세계 4개 기관이 공동으로 주최한다. 주최 기관은 세계 120여 개 대학이 회원으로 참여하는 한자대학동맹(Hanseatic League of Universities), 스위스 산업정책연구원(The Institute for Industrial Policy Studies Switzerland), 스위스 제네바 소재 유엔 기관인 유엔훈련조사연구소(UN Institute for Training and Research, UNITAR), 스위스 루가노 소재 프랭클린 대학의 테일러 연구소(Tailor Institute)다. 1800여 미국 대학이 참여하는 미국대학연맹(The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and Universities)을 비롯한 다수의 세계 대학 연맹이 WURI 랭킹 산정 작업에 참여하고, 경인방송이 후원한다. WURI 랭킹은 2020년 6월 WURI 컨퍼런스에서 처음으로 발표됐고, 올해 출범 4년 차를 맞이했다.WURI 랭킹은 ‘글로벌 100대 대학 순위(Global Top 100)’와 ‘산업적용(Industrial Application)’, ‘기업가정신(Entrepreneurial Spirit)’, ‘윤리 가치(Ethical Value)’, ‘학생의 이동성과 개방성(Student Mobility and Openness)’, ‘위기관리(Crisis Management)’, ‘4차산업혁명(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등 여섯 개 부문별 50위 순위로 구분해 총 일곱 가지 랭킹을 발표한다.WURI 랭킹은 매년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새로운 지표 또는 방법론을 추가해 오는 역동성을 보여 왔는데, 올해에는 GP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를 대학 평가에 적용해 랭킹 산출의 신뢰도와 효율성을 높였다.위의 여섯 개 부문의 평가에 참가한 대학은 총 423개이며, 평가한 사례는 총 1189개로 지난해 참여한 대학 309개와 사례 796개에 비해 각각 36.9%와 49.3% 성장했다. 또 북미, 남미,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세계 모든 지역의 대학들이 참여하고 있다.제3차 한자대학동맹 컨퍼런스 기간 5월 16일에는 WURI 랭킹의 6개 카테고리별 우수 사례들을 해당 대학 총장과 책임자들이 발표하고 토론하는 워크숍이 열린다. 5월 17일 미국 동부 표준시 오후 8시 40분(한국 시간 5월 18일 오전 9시 40분)에는 ‘2023년 혁신대학 WURI 랭킹’이 공개될 예정이다.컨퍼런스에서는 플로리다걸프코스트 대학의 마틴 총장이 축사를 하고, 제2대 한자대학동맹 회장인 조동성 서울대 명예교수가 기조연설을 하며, 국제경쟁력연구원 이사장인 문휘창 서울대 명예교수가 WURI 랭킹을 발표한다.
    • 종합
    • 교육
    2023-05-15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