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
-
SK, 미국 테라파워와 포괄적 사업협력으로 ‘넷제로’ 실행 속도 낸다
-
-
SK와 SK이노베이션이 차세대 소형모듈원자로(Small Modular Reactor, 이하 SMR) 기업과의 사업 협력을 통해 글로벌 탄소 감축을 위한 실행을 본격화한다.17일 SK에 따르면 장동현 SK 부회장과 김준 SK이노베이션 부회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SK서린사옥에서 크리스 르베크(Chris Levesque) 테라파워 CEO 등 주요 경영진과 만나 포괄적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SK는 테라파워의 차세대 SMR 기술 및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 역량과 SK의 사업 영역을 연계해 다양한 사업 협력 기회를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SK와 테라파워와의 공동 기술개발 협력, 국내외 진출 및 상용화 협력은 국내 원전 관련 기업의 SMR 핵심 기술 확보와 차세대 원전 운영 등 관련 산업 육성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원전 관련 신기술 확보는 물론, 원전 산업 생태계 전반의 활력 제고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테라파워는 2008년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설립했으며, 차세대 원자로의 한 유형인 소듐냉각고속로(Sodium-cooled Fast Reactor, 이하 SFR) 설계기술을 보유한 원전 업계의 혁신 기업이다. 테라파워의 SFR 기술인 Natrium™(나트륨)은 현재 가동 중인 3세대 원전에 비해 안전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한 단계 진일보한 4세대 원전 기술로, 미국 에너지부의 자금 지원으로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실증 사업을 진행 중이다.SK는 관계사들이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넷제로(Net-Zero) 추진을 결의한 후 지난해부터 지속해서 관련 영역의 사업 기회를 검토해왔다. 지난해 ‘2030년까지 전 세계 탄소 감축 목표량의 1% 감축에 기여한다’는 목표를 밝힌 SK는 ‘탄소 배출 없는 안전한 전력원’으로써 SMR의 경쟁력에 주목해왔다. 이번 MOU를 통해 탄소 감축을 향한 SK의 오랜 의지와 검토가 글로벌 선도 기업인 테라파워와의 다양한 사업 협력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차세대 SMR이란 기존 대형원전보다 발전 용량과 크기를 줄인 500메가와트(㎿)급 이하의 원전으로, 복잡한 안전장치 없이 자연 순환 방식의 피동형 냉각이 가능해 높은 안전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설계 및 건설 방식이 간소화돼 설치와 운영에 드는 비용도 줄일 수 있다. 이런 장점으로 인해 SMR은 장기적으로 탄소 중립을 해결할 유력한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특히 테라파워의 SFR 기술은 핵폐기물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핵연료 기술을 활용하는 것과 동시에 높은 안전성을 확보해 차세대 SMR 기술의 선두 주자로 평가받고 있다. 기존 대형원전에서 주로 사용되는 냉각재인 물과 달리, SFR 기술은 끓는점이 높아 폭발 위험이 거의 없는 액체 나트륨을 냉각재로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탄소 감축을 위해 에너지·운송·산업 등 전 영역에서 전기화가 급속히 진행돼 전기 수요가 급증하는 현실에서 SK는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면서 탄소배출이 거의 없는 SMR의 가능성에 주목해 왔다. 테라파워의 SFR은 MMS (Molten Salt Storage, 용융염 저장소)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 기능을 통해 높은 가동률을 유지하면서도 전력 수요에 따라 발전량을 조절해 공급할 수 있다. 기후 변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낮은 비용으로 안전하면서도 안정적인 전력 발생원을 구성한다는 ‘에너지 믹스’ 차원에서 SK가 테라파워의 기술을 높이 평가한 이유다.테라파워는 SMR 외에도 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인 악티늄-225(Ac-225) 생산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악티늄-225는 정상세포 손상 없이 암세포를 표적·파괴하는 표적 알파 치료제 원료 중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테라파워는 악티늄-225를 생산·판매해 이를 활용한 표적 알파 치료제 상용화를 앞당길 계획이다.
-
2022-05-17
-
-
KAUST, 사우디아라비아에 해외 5개 첨단기술 스타트업의 신기술 도입
-
-
킹압둘라과학기술대학교(이하 KAUST)가 ‘딥 테크(deep tech)’ 혁신을 위한 ‘스핀인(spin-in)’ 전략에 따라 해외의 첨단기술 스타트업을 사우디아라비아로 영입하는 프로그램인 ‘데스티네이션 딥 테크(Destination Deep Tech)’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발표했다.세엔텍(CeEntek), 호푸(Hopu), 인사인즈-랩스(Insignes-Labs), 파스칼(Pasqal), 프로티니아(Proteinea) 등 해외 스타트업들이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MENA)으로 첨단 기술을 확장한 성과를 인정받아 3개월간 진행하는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됐다.KAUST 이노베이션(KAUST Innovation)의 부사장인 케빈 컬린(Kevin Cullen) 박사는 “KAUST는 사우디 경제에서 딥 테크의 중심이다. 데스티네이션 딥 테크 프로그램을 통해 유능한 해외 스타트업을 KAUST와 사우디아라비아로 초대할 수 있어 기쁘다”고 밝혔다.프랑스의 파스칼은 하드웨어, 애플리케이션 등의 풀 스택 솔루션을 공급하는 유럽의 선도적인 양자 컴퓨팅 스타트업이다. 파스칼은 최종 사용자에게 양자 컴퓨팅의 혜택을 빠르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아람코(Aramco)와 MOU를 체결하는 등 사우디 지역에서 상업적 입지를 다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폴란드의 인사인즈-랩스는 박테리아, 조류, 균류 및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서 광범위한 물질을 보호하는 항균 첨가제를 개발한다. 회사는 현재 KAUST의 스타트업인 레드 씨 팜스(Red Sea Farms)와 시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대학과 협력을 강화하고 제품 출시를 위해 KAUST 기술 이전 영향 가속 펀드(Technology Transfer Impact Acceleration Fund)를 신청했다.이집트의 프로티니아는 단백질 설계 및 생산을 위해 AI, 딥 러닝 모델 및 생물학적 자동화의 힘을 활용하는 플랫폼 기술 기업이다. 최적화된 주요 단백질 제품의 상업화를 추진함으로써 인간의 건강, 양식 산업 및 지속 가능한 식품 기술 분야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싱가포르의 세엔텍은 건설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공급한다. 혁신적인 제조 공정을 통해 다양한 시장과 응용 분야에서 UHPC 2.0™ 콘크리트 솔루션을 지원한다.스페인의 호푸는 대기질 모니터링, 소음, 에너지 측정 등 분야에서 인더스트리 4.0 및 스마트 시티에 필요한 AI 기반 IoT 기기와 센서를 공급한다. KAUST 스마트(KAUST Smart) 및 KAUST 교수진과 협력해 KAUST 네트워크에 공기 질 센서를 배포하고 있다.더 넥스트 웹(TNW)은 데스티네이션 딥 테크 소속 부서로 기업과 정부가 스타트업 생태계와 더불어 혁신하고 최고의 인재를 프로그램에 채용하도록 돕는다.
-
2022-05-17
-
-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고그린 Go Green 2022’ 국내 결선 결과 발표
-
-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한국지사 대표 김경록)가 전 세계 엔지니어링 및 비즈니스 분야 대학생 및 대학원생 대상으로 진행한 글로벌 공모전 ‘고그린(Go Green 2022)’의 국내 결선 결과를 17일 발표했다.올해로 개최 12주년을 맞은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글로벌 공모전 ‘고그린(Go Gree)’은 전 세계 엔지니어링 및 비즈니스 분야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대담한 아이디어 및 혁신적인 솔루션을 찾기 위해 마련된 아이디어 공모전이다.공모 결과 총 52건의 아이디어가 접수됐고, 치열한 경쟁을 통해 최종 1팀이 국내 결선에 올랐다. 최종 심사는 김경록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대표 및 임원진으로 이뤄진 심사평가단이 참가 학생의 영문 프레젠테이션(PT)을 듣고, 아이디어를 검토해 진행됐다. 심사 기준은 △고객에 대한 이해 △혁신성 △실현 가능성 △친환경 영향력(Green impact) △인재상 부합도 등이다.대상은 ‘친환경 화장품 용기’를 주제로 아이디어를 구현한 고다현(연세대학교 4학년), 김민규(연세대학교 2학년), 박준규(연세대학교 2학년)가 선정됐다.대상을 받은 PUMPLE팀은 강철 스프링과 고무, 실리콘 O-링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 재활용이 불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펌프 프레임을 생분해성플라스틱(PLA) 활용해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만드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슈나이더 일렉트릭은 결과물의 아이디어를 넘어 제품을 구현해 아이디어를 증명한 점이 심사위원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국내 우승자로 선정된 PUMPLE팀에게는 상금 500만원과 슈나이더 일렉트릭 전문가의 멘토링이 제공된다.김경록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대표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12년간 고그린을 통해 미래 인재들이 대담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안하고, 이를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로 성장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도 뛰어난 역량을 갖춘 인재들이 참여해 뜻깊다”며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글로벌 공모전인 고그린 이외에도 미래 인재들의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지원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2022-05-17
-
-
장안대학교, 나가사키외국어대학과 학술 및 교육교류 협정 체결
-
-
장안대학교(총장 김태일) 국제교류원이 5월 11일 교내 대학본부 겸 학술정보관 520호에서 일본 나가사키외국어대학과 학생과 교원의 상호 교류를 위한 학술 및 교육교류 협정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이번 교육 및 학술교류 협정은 코로나19로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김태일 장안대학교 총장, 강복화 교무처장, 김종국 학생지원처장, 장원섭 국제교류원장, 조주희 연구원 등과 히메노 준이치 나가사키외국어대학 총장, 도미타 다카쓰구 부총장, 박영규 국제교류센터 센터장, 최은경 한국어전공 교수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장안대학교와 나가사키외국어대학은 이번 협정을 통해 유학생 교환과 어학 및 문화연수 등의 단기 집중 강좌를 진행하고 교원 파견과 학술 교류를 위한 세부적인 실무 계획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학생과 교원의 활발한 교류와 학술 및 교육에 관한 정보 교환, 공동 연구와 교육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운영하기로 했다.히메노 준이치 나가사키외국어대학 총장은 “장안대학교의 다양한 학부와 학과에 대해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며 “양교의 학생들이 이번 협정을 통해 단기 프로그램과 편입학이 가능하게 됐고, 이를 계기로 학생들이 다양한 역량을 갖추길 희망한다”고 소감을 전했다.김태일 장안대학교 총장은 “장안대학교와 나가사키외국어대학은 미래지향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교류해 우수한 인재를 발굴하고, 세계 시민으로 동반성장하는 데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며 “교원들이 다양하고 창의적인 학술 활동을 통해 미래 사회에 기여하는 대학을 만들어 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2022-05-17
-
-
호매실장애인종합복지관 ‘함께 바라봄 참 좋은 장애인 픽토그램 공모전’ 진행
-
-
호매실장애인종합복지관이 개관 7주년 및 제42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참 좋은 장애인 픽토그램 공모전을 진행했다고 17일 밝혔다.이번 장애인 픽토그램 공모전은 제42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장애인을 향한 선입견을 버리고, 새로운 시각을 제고하기 위해 진행했다.또한 두바이에서 장애 아동들과 함께 인식 변화를 위해 실제 장애인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직업을 형상화한 스티커를 덧붙이는 캠페인과 뉴욕 디자이너 사라 헨드렌이 역동적인 형상으로 바꿔 ISO의 장애인 표시를 바꾸게 된 캠페인을 모티브 했다.그 결과, 4월 11일부터 4월 29일까지 접수한 참 좋은 장애인 픽토그램 공모전의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공모전은 1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21점 작품이 접수된 가운데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능력과 다양한 가능성, 새로운 시각의 장애인 픽토그램을 염두에 두고 종합적으로 심사를 거쳐 8개의 수상작을 선정했다.1등으로는 머리를 아름답게 가꾸는 헤어디자이너가 될 수 있다는 작품이 선정됐다. 2등으로는 시각장애인도 후각을 활용한 소믈리에라는 직업을 얻을 수 있다는 작품과 과학 지식을 탐구하는 과학자가 될 수 있다는 작품이 결정됐다. 3등으로는 환자의 건강을 위해 도와주는 간호사, 휠체어 달리기와 배구 경기 모습의 작품과 5G 시대만큼 기술이 발전하면서 장애인을 바라보는 시각도 변화하는 세상을 나타낸 작품이 선정됐다.수상자는 “장애인 픽토그램의 휠체어 모양을 이용해 장애인이 보호받아야만 하는 대상이 아닌, 다양한 직업군을 갖고 생산적인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을 나타냈는데, 이렇게 뜻깊은 공모전에서 수상까지 해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안은경 호매실장애인종합복지관장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인식을 바꾸면 장애인 픽토그램이 다양한 모습으로 바뀔 수 있듯 작은 변화가 생각의 변화로 더 나아가 편견을 바꾸는 힘이 되도록 지속적인 인식 개선에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2022-05-17
-
-
“다산 정약용 선생의 애민사상과 실사구시 정신 되새겨야”
-
-
다산문화예술진흥원(원장 이효상)은 17일 경기도 남양주 정약용도서관에서 ‘다산정신을 오늘에 되살린다’는 주제로 ‘다산 정약용 포럼’을 가졌다.
포럼에서 이효상 원장은 “이번 시간을 통해 다산 정약용 선생의 애민사상과 실사구시 정신을 되새기고 근대 문화를 계승하며 발전시키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개회사를 했고 이어서 다산연구소 박석무 이사장의 강연이 시작됐다.
박 이사장은 현대인들이 다산의 효제 사상과 용기 및 베푸는 정신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이사장은 “효 개념이 약화된 이때 우리는 다산의 효제 사상을 본받아야 올바른 정신으로 사회를 변화시켜야 한다. 또한 우리는 다산의 용기를 배워야 한다. 다산은 자신을 죽이라는 상소가 계속 올라왔기에 죽음의 공포를 갖고 살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기를 잃지 않았다. 현대인들에게도 이런 용기가 필요하다”면서 “이외에도 다산의 베푸는 정신을 배워 더불어 살며 모두 함께 잘 사는 나라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포럼에는 각계의 다양한 인사들이 참석해 발전을 기원했다. 주광덕 전 국회의원, 원병일 남양주시의원, 엄창섭 고려대 교수, 손병덕 파독근로자복지재단 이사장, 민경조 퇴계원 산대놀이 보존회장, 박창작 배드민턴협회 회장, 대보토건 서상철 대표, 전윤배 창조 엔터테인먼트 대표, 고명안 국민대 교수, 반성숙 평내동주민자치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조광한 남양주시장은 축전을 보내 축하했다.
한편 다산문화예술진흥원은 2005년 ‘한국예술문화원’으로 출발했고 2016년 ‘근대문화진흥원’, 2018년 ‘다산문화예술진흥원’으로 개칭했다. 동 단체는 다산 정신을 계승 및 확산시키고 현 시대에 맞게 되살려 한류 브랜드화를 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정약용 포럼’과 ‘정약용 아카데미’를 진행하고 있다.
-
2022-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