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Home >  IT
-
LG CNS, 네이버와 AI 기술 기반 광고 사업 제휴 협약
LG CNS(대표 현신균)가 네이버와 함께 온라인 쇼핑 광고 운영 최적화 서비스 강화에 나선다. LG CNS는 최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본사에서 네이버와 ‘AI 기술 기반 광고 사업 제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LG CNS 엔트루 최문근 전무와 네이버 광고세일즈/파트너십 한재영 전무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LG CNS 광고 운영 최적화 플랫폼 ‘MOP(Marketing Optimization Platform, 이하 MOP)’를 활용해 네이버 쇼핑 판매자의 광고 효율을 높이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양사는 판매자의 광고 성과 향상을 위해 알고리즘을 최적화하고, 광고 운영 플랫폼 기능을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네이버 쇼핑 판매자들은 네이버의 AI 기반 광고 솔루션 ‘애드부스트(ADVoost)’와 더불어 LG CNS의 ‘MOP’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광고 소재 선별부터 타겟팅 설정, 성과 최적화까지 자동화된 광고 운영이 가능하다. 양사는 각 사가 보유하고 있는 쇼핑 광고 최적화 기술 결합을 통해, 전문 광고 대행사를 활용하기 어렵고 예산이 적은 중소 상공인들도 손쉽게 광고 효과를 개선하고 매출 상승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MOP는 AI·수학적 최적화 기술을 활용해 24시간 자동으로 광고 운영을 지원하며, 사이트 검색광고, 쇼핑 검색광고와 같은 디지털 광고의 운영 성과를 최적화하는 플랫폼이다. 네이버 쇼핑 판매자가 MOP에 △광고 목표(매출·수익성 강화, 광고비 효율화 등) △광고 예산 △캠페인 기간 등을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광고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학적 최적화 기술로 최적의 광고 전략을 자동 추천한다. 동일한 광고비를 집행하더라도 소비자의 구매 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매자가 수박, 복숭아, 키위 등 다양한 과일을 판매할 경우 MOP가 △시간대별 판매량 △클릭률이 높은 광고 노출 위치 △경쟁사의 입찰가 변동 등을 종합 분석해 판매량이 적은 새벽 시간대에는 광고비를 줄이고 가장 잘 팔리는 시간대에는 제품 노출량을 늘리는 등 예산을 자동 조정한다. 또한 ‘여름’, ‘제철 음식’ 등 주요 광고 키워드를 추출해 판매 전환율이 높은 상품과 실시간으로 연결해 광고 성과를 극대화한다. LG CNS는 MOP 출시 2년 만에 2000여 개 기업 고객을 확보했으며, MOP를 통한 광고 집행 규모도 3000억원을 돌파하는 등 광고 최적화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전문 광고 대행사 100여 곳도 MOP를 도입해 고객의 광고 효과를 높이는 데 활용하고 있다. 실례로 A 카드사는 MOP 도입 후 온라인 카드 발급 실적이 12% 늘었고, B 유통기업은 광고 클릭 수가 44% 증가하고, 매출액이 42% 상승하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올리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MOP는 지난 2023년 한국광고총연합회가 주최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광고 시상식인 ‘대한민국 광고대상’에서 퍼포먼스 마케팅 부문 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LG CNS 엔트루 최문근 전무는 “AI·수학적 최적화 등 LG CNS만의 AX 기술력을 기반으로 네이버와 함께 최적의 광고 생태계를 조성하고, 중소 상공인을 포함한 다양한 광고주에게 차별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을 지속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스토리, IP 산업 트렌드와 미래 조명하는 오리진 서밋 개최
지식재산권(IP)을 위한 블록체인 인프라 ‘스토리’가 오는 23일 서울 성수 앤더슨씨에서 AI, 블록체인, IP 산업의 트렌드와 미래를 조명하는 ‘오리진 서밋 2025(Origin Summit 2025)’를 개최한다. 세계 IP 시장은 약 80조달러 규모로 성장하며 AI 기술 경쟁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자산으로 부상했지만, 정당한 보상 체계와 관리 시스템은 산업의 발전을 따라가지 못했다. 스토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프로그래머블 IP를 개발해 IP 창작자와 AI 기업 간의 협력을 확대하고, IP 금융화와 투명한 관리 체계 확립에 힘써왔다. 이번 오리진 서밋은 이러한 IP 시장의 미래 성장 동력을 심층적으로 조명하고, 스토리의 토큰화된 IP 기술 비전과 생태계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스토리는 이번 오리진 서밋 개최 소식과 함께 대한민국 IP를 세계에 알린 주역들이 대거 포함된 연사 라인업을 선공개했다. △블랙핑크의 총괄 프로듀서 테디가 창업한 ‘더블랙레이블’의 정경인 대표 △하이브 뮤직그룹 유동주 APAC 대표 △K팝 장르의 창시자로 평가받는 SM엔터테인먼트 이성수 CAO(Chief A&R Officer) △‘아기상어’를 제작한 더핑크퐁컴퍼니 이승규 공동창업자 △‘리니지의 아버지’라 불리는 송재경 넥슨 공동창업자 및 Verse8 고문이 연사 및 참석자로 나선다. 이외에도 △샌딥 친찰리(Sandeep Chinchali) 스토리 최고 AI 책임자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 총괄 사장 △에이미 올덴버그(Amy Oldenburg) 모건스탠리 투자운용 신흥시장 주식 총괄 △레이헤인 샤리프-애스커리(Rayhaneh Sharif-Askary) 그레이스케일 매니징 디렉터 △루카 네츠(Luca Netz) 퍼지펭귄(PENGU) 창업자 △얏 시우(Yat Siu) 애니모카 브랜즈 회장 등 글로벌 AI, 금융, 가상자산 리더들도 자리를 빛낼 예정이다. 스토리는 이 행사를 IP 경제 인사이트 허브로 전세계에서 연이어 개최할 예정이다. 그 첫번째 개최지로 서울을 선정하며, 문화, 자본, 기술의 융합이 펼쳐지는 한국을 무대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가능성이 공유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한국은 K팝과 K드라마의 세계적 성공으로 글로벌 IP 강국으로 떠올랐으며, 지난해 문화 IP 수출액은 136억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미국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챗GPT 유료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의 30%에 달하는 약 1560만명이 가상 자산에 투자하는 등 AI·웹3 채택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다. 삼성, LG, 현대, SK 등 기업들의 피지컬 AI와 로보틱스 분야에서 보이는 성과도 한국이 글로벌 혁신의 중심지임을 증명한다. 한편 스토리는 AI 훈련 데이터의 법적 투명성과 품질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 탈중앙 데이터 레이어 ‘포세이돈(Poseidon)’을 공개하며 글로벌 최대 벤처캐피털 앤스리슨 호로위츠(a16z)로부터 1500만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 또한 지난 7월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디지털 자산 운용사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이 스토리 신탁 상품을 출시해 기관 투자자들의 ‘$IP’ 접근성을 열었고, 이어 8월에는 나스닥 상장사 헤리티지 디스틸링(Heritage Distilling)이 3억6000만달러의 $IP 기반 디지털 자산 트레저리 전략을 발표하며 스토리 생태계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스토리의 $IP 토큰은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국내 주요 거래소를 비롯해 코인베이스(Coinbase), 오케이엑스(OKX), 바이비트(Bybit), 쿠코인(KuCoin) 등 해외 거래소에 공식 상장한 바 있다.
-
해시드 ‘이스트포인트: 서울 2025’ 트럼프 행정부 핵심 관계자 참석
해시드가 글로벌 프라이빗 블록체인 콘퍼런스 ‘이스트포인트: 서울 2025’의 2차 연사 및 참석 기관 라인업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오는 9월 22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열리며, 해시드가 주최하는 대표적인 글로벌 블록체인 민간 콘퍼런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달 발표된 1차 라인업은 국내 정치권과 4대 시중은행 등 금융기관 중심이었다. 이번 2차 라인업은 트럼프 행정부 핵심 관계자를 비롯한 글로벌 규제 기관과 테더·서클 등 주요 글로벌 웹3 플레이어들이 주를 이룬다. 특히 해시드는 글로벌 정책과 금융을 잇는 네트워크 허브 역할을 강화한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번 라인업의 하이라이트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핵심 라인이다. 해리 정 백악관 부국장과 보 하인스 테더 미국전략고문이 ‘글로벌 정책 환경 변화와 국가 전략’을 주제로 심층 패널 토론을 펼친다. 이들은 미국의 정책 방향성과 글로벌 규제 지형 변화를 짚으며, 해시드가 마련한 무대에서 국제적 관점을 공유한다. 또한 캐롤라인 팜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 대행은 각국 규제 환경과 기관의 대응 전략을 직접 제시한다. 해시드는 이번 세션을 통해 글로벌 정책 변화를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세계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양분하며 글로벌 금융 시장의 대세로 떠오른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와 서클도 참석해 향후 전략을 내놓는다. 테더는 ‘프로그래머블 결제: 스테이블코인의 일상 결제 통합’ 세션을 통해 글로벌 결제 시스템 속 실사용 확대 전략을 공유하며, 서클은 기관 투자가를 위한 활용 방안을 집중 조명한다. 해시드는 이 과정을 통해 웹3 산업의 핵심 축이 되는 스테이블코인 논의를 국내에 직접 연결한다는 의미를 부여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라운드테이블 세션’이 비공개로 열린다. 각국 정책 리더와 글로벌 블록체인 창업자 및 전통 금융기관 고위 인사들이 5~6인 단위로 모여 공통의 관심사를 토대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한다. 해시드는 관찰자가 없는 구조 덕분에 솔직하고 전략적인 대화가 가능하다며, 웹3 업계의 글로벌 협업을 촉진하는 유일무이한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해시드 김서준 대표는 “현재 우리는 블록체인 기술과 디지털 자산의 본격적인 대중 확산을 앞두고 기술과 금융을 비롯해 문화와 정치가 융합하는 역사적인 변곡점에 서 있다”며 “이스트포인트가 웹3 리더들의 단순한 소통 공간을 넘어, 이 시대가 절실히 요구하는 새로운 디지털 금융 패러다임의 변화를 제시하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LG CNS의 기업용 에이전틱 AI 플랫폼 ‘에이전틱웍스’
LG CNS(대표 현신균)가 25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컨버전스홀에서 ‘AX 미디어데이’를 열고, 기업용 에이전틱(Agentic) AI 플랫폼 ‘에이전틱웍스(AgenticWorks)’와 업무 혁신 서비스 ‘에이엑스씽크(a:xink)’를 공개했다. LG CNS CEO 현신균 사장은 “에이전틱 AI는 단순 반복 업무를 넘어 업무 전 과정을 능동적으로 분석·조율하며 의사결정을 지원해 직원들이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기업의 업무 흐름을 혁신하고 산업과 경쟁의 판도를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라며 “현재 기업에 필요한 것은 단편적인 AI 에이전트 도입이 아니라, 전사적 관점에서 AI 에이전트와 기업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안전하고 지속 가능하게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이를 통해 기업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 사장은 “LG CNS는 국내 1등 AX 전문기업으로서 고객의 AI 전환 전 과정을 함께 만들어가며 빠른 혁신, 안전한 운영, 높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돕는 No.1 AX Enabler가 되겠다”며 “에이전틱 AI 시대에서는 AI와 시스템 통합(SI)을 모두 잘하는 LG CNS의 경쟁력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밝혔다. LG CNS가 선보인 ‘에이전틱웍스(AgenticWorks)’는 에이전틱 AI 서비스의 설계·구축·운영·관리 전 주기를 지원하는 국내 유일의 6종 모듈형 풀스택 플랫폼이다. 기업 전체 업무 흐름을 분석하고, 맞춤형 AI 에이전트들을 통합 관리해 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에이전틱웍스는 금융·공공 AX 사업에 선제 도입해 기술력과 보안성이 검증된 LG CNS의 ‘DAP GenAI 플랫폼’과 글로벌 AI 선도기업 코히어와의 기술 협력 기반으로 구축됐다. 이 플랫폼에서는 엑사원, LG CNS와 코히어가 공동 개발한 추론형 LLM 등 다양한 고성능 AI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LG CNS는 500여 개의 AX 프로젝트를 통해 축적한 산업별·밸류체인별 노하우 기반으로 전문성이 강화된 특화 AI 모델을 제공한다. 6종 모듈로 구성된 에이전틱웍스는 기업이 필요한 기능만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코딩 기반 ‘빌더(Builder)’와 노코드 개발 환경 ‘스튜디오(Studio)’를 동시에 제공해 개발자뿐만 아니라 일반 직원도 에이전틱 AI 서비스를 직접 구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에이전틱 AI 서비스 구축 전 사전 작업을 위한 문서 및 데이터 수집·정제 등 데이터 전처리를 돕는 ‘지식 저장소(Knowledge Lake)’ △에이전틱 AI의 핵심인 AI 에이전트와 기업 시스템 간 유기적인 연동을 지원하는 ‘허브(Hub)’ △산업별·밸류체인별로 AI 모델을 고도화하는 ‘리파이너(Refiner)’ △최적의 AI 모델을 자동 선택·호출하는 ‘라우터(Router)’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사 특화 에이전틱 AI 서비스를 개발해 적용할 경우, 대규모 채용 시 인사 시스템에 제출된 수만 건의 자기소개서, 인적성검사 데이터와 시스템상의 기존 인사 문서도 알아서 분석해 적합한 인재를 추천하며, 지원자별 면접 질문까지 자동 생성해 업무 생산성을 약 26% 개선할 수 있다. 재무 특화 에이전틱 AI도 적용 가능하다. 프로젝트별 사업비, 진행비 변동을 자동 감지하고 리포트를 제공해 사전 리스크를 관리해 준다. 또, 타사의 방대한 재무제표와 비교 분석, 요약 보고서를 작성해 사업 전략 수립도 지원한다. 이 플랫폼은 전사적자원관리(ERP), 고객관계관리(CRM) 등 기업 시스템 및 AI 에이전트를 빠르고 쉽게 연결할 수 있는 MCP(Model Context Protocol) 및 A2A(Agent to Agent)를 지원한다. 기업이 시스템과 AI 에이전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동 코드를 일일이 개발하거나 기존 시스템을 수정하지 않고도 에이전틱 AI 서비스 구축이 가능해 구축 기간과 연동 비용을 모두 줄일 수 있다. 보안성도 강화됐다. LG CNS는 기업 시스템과 AI 에이전트가 연결되는 다양한 지점에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자체 AI 보안솔루션 ‘시큐엑스퍼 AI’를 플랫폼에 탑재했다. 시큐엑스퍼 AI는 민감정보 유출 사전 필터링, 침해 위협 이상징후 탐지 및 자동화된 대응 체계 구축 등의 기능을 제공해 기업이 안전하게 에이전틱 AI 서비스를 만들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LG CNS는 국내를 시작으로 해외 시장에도 순차적으로 이 플랫폼을 제공할 계획이다. LG CNS는 임직원 공통 업무 혁신을 위한 국내 최다 7종의 업무 혁신 기능을 통합한 ‘에이엑스씽크(a:xink)’도 선보였다. 에이전틱웍스가 산업별·밸류체인별 맞춤형 에이전틱 AI 서비스 구축을 돕는 플랫폼이라면, 에이엑스씽크는 임직원의 공통 업무(일정·회의·메일·번역 등)를 에이전틱 AI로 즉시 전환해 활용하는 서비스다. 에이엑스씽크는 에이전틱웍스 플랫폼에 탑재돼 제공될 예정이다. 에이엑스씽크는 ‘AX(AI 전환)’, ‘EX(직원 경험)’, ‘Think(사고)’의 조합어로, 출근부터 퇴근까지 업무 전 과정에서 AI가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업무를 실행해 한층 진화된 직원 경험을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주요 기능은 중요 메일, 일정 및 처리해야 할 일 등을 요약해 음성으로 안내하는 데일리 브리핑, 브리핑 후 결재·승인 등 필요한 업무 처리, 메일 요약 후 회의 일정 자동 등록, 회의 실시간 통번역 후 회의록 작성·요약·공유 및 해야 할 일 등록, 사내외 지식 검색 기반 자동 보고서 작성 등이다. 또, 에이엑스씽크는 사용자의 업무 스타일, 우선순위 등을 분석해 개인화된 UI로 맞춤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늘 회의록 기반으로 다음 주 출장 품의 작성하고, 주간 보고에 추가해 줘”라고 자연어로 요청하면 에이전틱 AI가 스스로 알아서 결재, 자료관리 담당 에이전트에 각각 지시하고 그룹웨어, ERP 등 기업 시스템과 연계해 업무를 수행한다. LG CNS는 LG디스플레이에 에이엑스씽크를 단계적으로 적용 중이다. LG디스플레이는 에이엑스씽크를 통해 하루 평균 업무 생산성을 이전 대비 약 10% 향상시켰으며, 외부 유사 서비스 도입 대비 연간 100억원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를 얻었다. 향후 3년 내 업무 생산성을 30% 이상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이엑스씽크는 기능적 강점 외에도 기업에서 다양하게 원하는 요구 사항들에 대해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유연성·보안 강화를 위한 구축형 설치, 비용 효율성 등 다양한 장점을 함께 제공한다.
-
쿠콘, 크립토 연계 결제 서비스에 출금이체 인프라 제공
쿠콘(대표 김종현)이 PG·VAN 사업자인 다우데이타와 코빗 간 가상자산 연계 결제 서비스에 출금이체 인프라를 제공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업을 통해 다우데이타와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주요 가상자산을 기존 결제망과 연동한 새로운 결제 서비스를 구축했다. 이로써 코빗 이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가상자산을 매도해 얻은 금액으로 일반 가맹점에서 실시간 결제할 수 있게 됐다. 이 과정에서 쿠콘은 코빗 고객이 가상자산을 매도하면 가상자산 지갑과 연동된 고객 계좌에서 결제 금액을 출금해 결제대행사인 다우데이타로 실시간 이체하고, 해당 금액이 결제에 사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거래소와 결제망을 연결하는 금융 브릿지로서 자금 흐름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기술적 기반을 제공한 것이다. 해당 서비스는 오는 8월 말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쿠콘의 출금이체 서비스는 물품 대금이나 정기 서비스 이용료 등 각종 수납 대금을 실시간으로 대량 처리할 수 있는 금융 VAN 솔루션이다. 고객 계좌 출금부터 기업 계좌 입금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인터넷 은행을 포함한 국내 모든 은행과 증권사 계좌를 한 번에 연결할 수 있어 기업의 금융기관별 개별 연계 부담을 크게 완화했다. 쿠콘은 현재 △당근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등 주요 핀테크 서비스에 펌뱅킹 API와 인증 API 등 핵심 인프라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국내 90여 개 은행, 카드사, 증권사와 실시간 전용망으로 연결된 안정적인 금융망을 기반으로 △출금이체 △간편결제 △가상계좌 △ATM 입출금 △예금주 조회 등 다양한 페이먼트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업계에서는 쿠콘이 장기간 구축해온 강력한 API 역량이 향후 스테이블코인 도입 확산과 함께 중요한 경쟁력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디지털 결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플랫폼 간 데이터 연동과 거래 처리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쿠콘의 안정적이고 확장성 높은 솔루션은 시장 내 입지를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 김종현 쿠콘 대표는 “이번 다우데이타와 코빗의 가상자산 연계 결제 서비스에 쿠콘의 출금이체 서비스가 활용된 것은 우리가 구축해온 안정적인 금융 네트워크의 가치를 입증하는 사례”라며 “가상자산과 기존 금융 시스템을 안전하게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을 통해 디지털 결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또한 “향후 스테이블코인 도입과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대비해 더욱 혁신적이고 안정적인 결제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것”이라며 “쿠콘이 국내 디지털 금융 혁신의 핵심 인프라 기업으로서 역할을 한층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 설계 기술력 갖춘 수호아이오, 무역센터 테스트베드 실증사업 진행
수호아이오(대표 박지수)가 한국무역협회와 코엑스 MICE클러스터 위원회가 주관하는 ‘2025년 무역센터 테스트베드 실증사업’의 기업으로 선정됐다. 최근 스테이블코인 육성책이 확산되고 디지털자산기본법 발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수호아이오는 스테이블코인과 목적 기반 화폐(PBM, Purpose Bound Money) 기술을 실제 구현해 낸 기업으로서 정책적 변화를 선도할 역량을 인정받았다. 수호아이오가 제안한 실증 사업은 그랜드코리아레저(GKL) 세븐럭카지노를 대상으로 한 △AI 에이전트 기반 고객별 맞춤형 마케팅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 설계 △목적 기반 화폐(PBM) 기반의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관광 바우처 설계다. GKL의 실증 사업에 수호아이오가 후보로 선정된 것은 스테이블코인과 PBM 기반 민관 협력 생태계 형성의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수호아이오는 한국은행 CBDC 프로젝트에서 PBM 및 예금 토큰 기반 스마트 계약 검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자체 개발한 ‘터치스톤(Touchstone)’ 인프라를 통해 목적 제한형 디지털 자산의 투명하고 안전한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난 8월 1일 한국조폐공사와 ‘디지털 전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외국인 관광객 대상 디지털 신원 인증 및 PBM 결제 플랫폼 공동 개발에 나서는 등 공공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력과 사업 역량을 입증받고 있다. 아울러 컨센시스(ConsenSys)의 투자를 받은 블록체인 보안 전문기업으로서 3조원 이상의 자산을 검증한 블록체인 보안 감사 역량과 C2CC(Chain-2-Chain Communication) 크로스체인 프로토콜 등 차별화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추진과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 허용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실제 PBM과 스테이블코인 기술 구현 경험을 갖춘 수호아이오가 관련 정책 수립과 시장 표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수호아이오의 ‘터치스톤’ 인프라는 모든 거래의 실시간 기록 및 변조 방지, 정산과 증빙 작업의 자동화를 통해 공공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향후 디지털자산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지수 수호아이오 대표는 “이번 실증사업 선정은 우리의 스테이블코인과 PBM 기술력이 인정받은 결과”라며 “중앙은행 CBDC 프로젝트에서 검증된 PBM 기술을 리테일 업계에 적용해 디지털 자산 기반의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수호아이오(SOOHO.IO)는 2019년 설립된 블록체인 금융 기술 전문기업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감사, 크로스체인 브릿지 개발, 블록체인 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은행 CBDC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PBM과 스테이블코인 기술의 실용성을 입증한 국내 대표 블록체인 기업이다. 주력 제품으로는 금융기관을 위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인프라인 ‘터치스톤’, 그리고 목적 기반 화폐(PBM) 개발 플랫폼 ‘퍼플레이스(Purplace)’를 제공하며 프로그래머블 디지털 화폐의 실제 구현을 선도하고 있다. 수호아이오는 이더리움 공동창업자 조셉 루빈이 설립한 블록체인 기업 컨센시스(ConsenSys)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기업이다. 삼성SDS, SK C&C(현 SK AX), 금융보안원 등 유수의 기업 및 기관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2022년에는 글로벌 리서치기관 가트너(Gartner)가 선정한 블록체인 금융 분야 주요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
-
LG CNS, 네이버와 AI 기술 기반 광고 사업 제휴 협약
- LG CNS(대표 현신균)가 네이버와 함께 온라인 쇼핑 광고 운영 최적화 서비스 강화에 나선다. LG CNS는 최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본사에서 네이버와 ‘AI 기술 기반 광고 사업 제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LG CNS 엔트루 최문근 전무와 네이버 광고세일즈/파트너십 한재영 전무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LG CNS 광고 운영 최적화 플랫폼 ‘MOP(Marketing Optimization Platform, 이하 MOP)’를 활용해 네이버 쇼핑 판매자의 광고 효율을 높이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양사는 판매자의 광고 성과 향상을 위해 알고리즘을 최적화하고, 광고 운영 플랫폼 기능을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네이버 쇼핑 판매자들은 네이버의 AI 기반 광고 솔루션 ‘애드부스트(ADVoost)’와 더불어 LG CNS의 ‘MOP’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광고 소재 선별부터 타겟팅 설정, 성과 최적화까지 자동화된 광고 운영이 가능하다. 양사는 각 사가 보유하고 있는 쇼핑 광고 최적화 기술 결합을 통해, 전문 광고 대행사를 활용하기 어렵고 예산이 적은 중소 상공인들도 손쉽게 광고 효과를 개선하고 매출 상승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MOP는 AI·수학적 최적화 기술을 활용해 24시간 자동으로 광고 운영을 지원하며, 사이트 검색광고, 쇼핑 검색광고와 같은 디지털 광고의 운영 성과를 최적화하는 플랫폼이다. 네이버 쇼핑 판매자가 MOP에 △광고 목표(매출·수익성 강화, 광고비 효율화 등) △광고 예산 △캠페인 기간 등을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광고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학적 최적화 기술로 최적의 광고 전략을 자동 추천한다. 동일한 광고비를 집행하더라도 소비자의 구매 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매자가 수박, 복숭아, 키위 등 다양한 과일을 판매할 경우 MOP가 △시간대별 판매량 △클릭률이 높은 광고 노출 위치 △경쟁사의 입찰가 변동 등을 종합 분석해 판매량이 적은 새벽 시간대에는 광고비를 줄이고 가장 잘 팔리는 시간대에는 제품 노출량을 늘리는 등 예산을 자동 조정한다. 또한 ‘여름’, ‘제철 음식’ 등 주요 광고 키워드를 추출해 판매 전환율이 높은 상품과 실시간으로 연결해 광고 성과를 극대화한다. LG CNS는 MOP 출시 2년 만에 2000여 개 기업 고객을 확보했으며, MOP를 통한 광고 집행 규모도 3000억원을 돌파하는 등 광고 최적화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전문 광고 대행사 100여 곳도 MOP를 도입해 고객의 광고 효과를 높이는 데 활용하고 있다. 실례로 A 카드사는 MOP 도입 후 온라인 카드 발급 실적이 12% 늘었고, B 유통기업은 광고 클릭 수가 44% 증가하고, 매출액이 42% 상승하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올리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MOP는 지난 2023년 한국광고총연합회가 주최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광고 시상식인 ‘대한민국 광고대상’에서 퍼포먼스 마케팅 부문 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LG CNS 엔트루 최문근 전무는 “AI·수학적 최적화 등 LG CNS만의 AX 기술력을 기반으로 네이버와 함께 최적의 광고 생태계를 조성하고, 중소 상공인을 포함한 다양한 광고주에게 차별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을 지속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IT
-
LG CNS, 네이버와 AI 기술 기반 광고 사업 제휴 협약
-
-
스토리, IP 산업 트렌드와 미래 조명하는 오리진 서밋 개최
- 지식재산권(IP)을 위한 블록체인 인프라 ‘스토리’가 오는 23일 서울 성수 앤더슨씨에서 AI, 블록체인, IP 산업의 트렌드와 미래를 조명하는 ‘오리진 서밋 2025(Origin Summit 2025)’를 개최한다. 세계 IP 시장은 약 80조달러 규모로 성장하며 AI 기술 경쟁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자산으로 부상했지만, 정당한 보상 체계와 관리 시스템은 산업의 발전을 따라가지 못했다. 스토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프로그래머블 IP를 개발해 IP 창작자와 AI 기업 간의 협력을 확대하고, IP 금융화와 투명한 관리 체계 확립에 힘써왔다. 이번 오리진 서밋은 이러한 IP 시장의 미래 성장 동력을 심층적으로 조명하고, 스토리의 토큰화된 IP 기술 비전과 생태계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스토리는 이번 오리진 서밋 개최 소식과 함께 대한민국 IP를 세계에 알린 주역들이 대거 포함된 연사 라인업을 선공개했다. △블랙핑크의 총괄 프로듀서 테디가 창업한 ‘더블랙레이블’의 정경인 대표 △하이브 뮤직그룹 유동주 APAC 대표 △K팝 장르의 창시자로 평가받는 SM엔터테인먼트 이성수 CAO(Chief A&R Officer) △‘아기상어’를 제작한 더핑크퐁컴퍼니 이승규 공동창업자 △‘리니지의 아버지’라 불리는 송재경 넥슨 공동창업자 및 Verse8 고문이 연사 및 참석자로 나선다. 이외에도 △샌딥 친찰리(Sandeep Chinchali) 스토리 최고 AI 책임자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 총괄 사장 △에이미 올덴버그(Amy Oldenburg) 모건스탠리 투자운용 신흥시장 주식 총괄 △레이헤인 샤리프-애스커리(Rayhaneh Sharif-Askary) 그레이스케일 매니징 디렉터 △루카 네츠(Luca Netz) 퍼지펭귄(PENGU) 창업자 △얏 시우(Yat Siu) 애니모카 브랜즈 회장 등 글로벌 AI, 금융, 가상자산 리더들도 자리를 빛낼 예정이다. 스토리는 이 행사를 IP 경제 인사이트 허브로 전세계에서 연이어 개최할 예정이다. 그 첫번째 개최지로 서울을 선정하며, 문화, 자본, 기술의 융합이 펼쳐지는 한국을 무대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가능성이 공유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한국은 K팝과 K드라마의 세계적 성공으로 글로벌 IP 강국으로 떠올랐으며, 지난해 문화 IP 수출액은 136억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미국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챗GPT 유료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의 30%에 달하는 약 1560만명이 가상 자산에 투자하는 등 AI·웹3 채택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다. 삼성, LG, 현대, SK 등 기업들의 피지컬 AI와 로보틱스 분야에서 보이는 성과도 한국이 글로벌 혁신의 중심지임을 증명한다. 한편 스토리는 AI 훈련 데이터의 법적 투명성과 품질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 탈중앙 데이터 레이어 ‘포세이돈(Poseidon)’을 공개하며 글로벌 최대 벤처캐피털 앤스리슨 호로위츠(a16z)로부터 1500만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 또한 지난 7월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디지털 자산 운용사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이 스토리 신탁 상품을 출시해 기관 투자자들의 ‘$IP’ 접근성을 열었고, 이어 8월에는 나스닥 상장사 헤리티지 디스틸링(Heritage Distilling)이 3억6000만달러의 $IP 기반 디지털 자산 트레저리 전략을 발표하며 스토리 생태계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스토리의 $IP 토큰은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국내 주요 거래소를 비롯해 코인베이스(Coinbase), 오케이엑스(OKX), 바이비트(Bybit), 쿠코인(KuCoin) 등 해외 거래소에 공식 상장한 바 있다.
-
- IT
- 블록체인
-
스토리, IP 산업 트렌드와 미래 조명하는 오리진 서밋 개최
-
-
해시드 ‘이스트포인트: 서울 2025’ 트럼프 행정부 핵심 관계자 참석
- 해시드가 글로벌 프라이빗 블록체인 콘퍼런스 ‘이스트포인트: 서울 2025’의 2차 연사 및 참석 기관 라인업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오는 9월 22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열리며, 해시드가 주최하는 대표적인 글로벌 블록체인 민간 콘퍼런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달 발표된 1차 라인업은 국내 정치권과 4대 시중은행 등 금융기관 중심이었다. 이번 2차 라인업은 트럼프 행정부 핵심 관계자를 비롯한 글로벌 규제 기관과 테더·서클 등 주요 글로벌 웹3 플레이어들이 주를 이룬다. 특히 해시드는 글로벌 정책과 금융을 잇는 네트워크 허브 역할을 강화한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번 라인업의 하이라이트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핵심 라인이다. 해리 정 백악관 부국장과 보 하인스 테더 미국전략고문이 ‘글로벌 정책 환경 변화와 국가 전략’을 주제로 심층 패널 토론을 펼친다. 이들은 미국의 정책 방향성과 글로벌 규제 지형 변화를 짚으며, 해시드가 마련한 무대에서 국제적 관점을 공유한다. 또한 캐롤라인 팜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 대행은 각국 규제 환경과 기관의 대응 전략을 직접 제시한다. 해시드는 이번 세션을 통해 글로벌 정책 변화를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세계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양분하며 글로벌 금융 시장의 대세로 떠오른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와 서클도 참석해 향후 전략을 내놓는다. 테더는 ‘프로그래머블 결제: 스테이블코인의 일상 결제 통합’ 세션을 통해 글로벌 결제 시스템 속 실사용 확대 전략을 공유하며, 서클은 기관 투자가를 위한 활용 방안을 집중 조명한다. 해시드는 이 과정을 통해 웹3 산업의 핵심 축이 되는 스테이블코인 논의를 국내에 직접 연결한다는 의미를 부여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라운드테이블 세션’이 비공개로 열린다. 각국 정책 리더와 글로벌 블록체인 창업자 및 전통 금융기관 고위 인사들이 5~6인 단위로 모여 공통의 관심사를 토대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한다. 해시드는 관찰자가 없는 구조 덕분에 솔직하고 전략적인 대화가 가능하다며, 웹3 업계의 글로벌 협업을 촉진하는 유일무이한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해시드 김서준 대표는 “현재 우리는 블록체인 기술과 디지털 자산의 본격적인 대중 확산을 앞두고 기술과 금융을 비롯해 문화와 정치가 융합하는 역사적인 변곡점에 서 있다”며 “이스트포인트가 웹3 리더들의 단순한 소통 공간을 넘어, 이 시대가 절실히 요구하는 새로운 디지털 금융 패러다임의 변화를 제시하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 IT
- 블록체인
-
해시드 ‘이스트포인트: 서울 2025’ 트럼프 행정부 핵심 관계자 참석
-
-
LG CNS의 기업용 에이전틱 AI 플랫폼 ‘에이전틱웍스’
- LG CNS(대표 현신균)가 25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컨버전스홀에서 ‘AX 미디어데이’를 열고, 기업용 에이전틱(Agentic) AI 플랫폼 ‘에이전틱웍스(AgenticWorks)’와 업무 혁신 서비스 ‘에이엑스씽크(a:xink)’를 공개했다. LG CNS CEO 현신균 사장은 “에이전틱 AI는 단순 반복 업무를 넘어 업무 전 과정을 능동적으로 분석·조율하며 의사결정을 지원해 직원들이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기업의 업무 흐름을 혁신하고 산업과 경쟁의 판도를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라며 “현재 기업에 필요한 것은 단편적인 AI 에이전트 도입이 아니라, 전사적 관점에서 AI 에이전트와 기업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안전하고 지속 가능하게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이를 통해 기업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 사장은 “LG CNS는 국내 1등 AX 전문기업으로서 고객의 AI 전환 전 과정을 함께 만들어가며 빠른 혁신, 안전한 운영, 높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돕는 No.1 AX Enabler가 되겠다”며 “에이전틱 AI 시대에서는 AI와 시스템 통합(SI)을 모두 잘하는 LG CNS의 경쟁력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밝혔다. LG CNS가 선보인 ‘에이전틱웍스(AgenticWorks)’는 에이전틱 AI 서비스의 설계·구축·운영·관리 전 주기를 지원하는 국내 유일의 6종 모듈형 풀스택 플랫폼이다. 기업 전체 업무 흐름을 분석하고, 맞춤형 AI 에이전트들을 통합 관리해 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에이전틱웍스는 금융·공공 AX 사업에 선제 도입해 기술력과 보안성이 검증된 LG CNS의 ‘DAP GenAI 플랫폼’과 글로벌 AI 선도기업 코히어와의 기술 협력 기반으로 구축됐다. 이 플랫폼에서는 엑사원, LG CNS와 코히어가 공동 개발한 추론형 LLM 등 다양한 고성능 AI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LG CNS는 500여 개의 AX 프로젝트를 통해 축적한 산업별·밸류체인별 노하우 기반으로 전문성이 강화된 특화 AI 모델을 제공한다. 6종 모듈로 구성된 에이전틱웍스는 기업이 필요한 기능만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코딩 기반 ‘빌더(Builder)’와 노코드 개발 환경 ‘스튜디오(Studio)’를 동시에 제공해 개발자뿐만 아니라 일반 직원도 에이전틱 AI 서비스를 직접 구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에이전틱 AI 서비스 구축 전 사전 작업을 위한 문서 및 데이터 수집·정제 등 데이터 전처리를 돕는 ‘지식 저장소(Knowledge Lake)’ △에이전틱 AI의 핵심인 AI 에이전트와 기업 시스템 간 유기적인 연동을 지원하는 ‘허브(Hub)’ △산업별·밸류체인별로 AI 모델을 고도화하는 ‘리파이너(Refiner)’ △최적의 AI 모델을 자동 선택·호출하는 ‘라우터(Router)’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사 특화 에이전틱 AI 서비스를 개발해 적용할 경우, 대규모 채용 시 인사 시스템에 제출된 수만 건의 자기소개서, 인적성검사 데이터와 시스템상의 기존 인사 문서도 알아서 분석해 적합한 인재를 추천하며, 지원자별 면접 질문까지 자동 생성해 업무 생산성을 약 26% 개선할 수 있다. 재무 특화 에이전틱 AI도 적용 가능하다. 프로젝트별 사업비, 진행비 변동을 자동 감지하고 리포트를 제공해 사전 리스크를 관리해 준다. 또, 타사의 방대한 재무제표와 비교 분석, 요약 보고서를 작성해 사업 전략 수립도 지원한다. 이 플랫폼은 전사적자원관리(ERP), 고객관계관리(CRM) 등 기업 시스템 및 AI 에이전트를 빠르고 쉽게 연결할 수 있는 MCP(Model Context Protocol) 및 A2A(Agent to Agent)를 지원한다. 기업이 시스템과 AI 에이전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동 코드를 일일이 개발하거나 기존 시스템을 수정하지 않고도 에이전틱 AI 서비스 구축이 가능해 구축 기간과 연동 비용을 모두 줄일 수 있다. 보안성도 강화됐다. LG CNS는 기업 시스템과 AI 에이전트가 연결되는 다양한 지점에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자체 AI 보안솔루션 ‘시큐엑스퍼 AI’를 플랫폼에 탑재했다. 시큐엑스퍼 AI는 민감정보 유출 사전 필터링, 침해 위협 이상징후 탐지 및 자동화된 대응 체계 구축 등의 기능을 제공해 기업이 안전하게 에이전틱 AI 서비스를 만들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LG CNS는 국내를 시작으로 해외 시장에도 순차적으로 이 플랫폼을 제공할 계획이다. LG CNS는 임직원 공통 업무 혁신을 위한 국내 최다 7종의 업무 혁신 기능을 통합한 ‘에이엑스씽크(a:xink)’도 선보였다. 에이전틱웍스가 산업별·밸류체인별 맞춤형 에이전틱 AI 서비스 구축을 돕는 플랫폼이라면, 에이엑스씽크는 임직원의 공통 업무(일정·회의·메일·번역 등)를 에이전틱 AI로 즉시 전환해 활용하는 서비스다. 에이엑스씽크는 에이전틱웍스 플랫폼에 탑재돼 제공될 예정이다. 에이엑스씽크는 ‘AX(AI 전환)’, ‘EX(직원 경험)’, ‘Think(사고)’의 조합어로, 출근부터 퇴근까지 업무 전 과정에서 AI가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업무를 실행해 한층 진화된 직원 경험을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주요 기능은 중요 메일, 일정 및 처리해야 할 일 등을 요약해 음성으로 안내하는 데일리 브리핑, 브리핑 후 결재·승인 등 필요한 업무 처리, 메일 요약 후 회의 일정 자동 등록, 회의 실시간 통번역 후 회의록 작성·요약·공유 및 해야 할 일 등록, 사내외 지식 검색 기반 자동 보고서 작성 등이다. 또, 에이엑스씽크는 사용자의 업무 스타일, 우선순위 등을 분석해 개인화된 UI로 맞춤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늘 회의록 기반으로 다음 주 출장 품의 작성하고, 주간 보고에 추가해 줘”라고 자연어로 요청하면 에이전틱 AI가 스스로 알아서 결재, 자료관리 담당 에이전트에 각각 지시하고 그룹웨어, ERP 등 기업 시스템과 연계해 업무를 수행한다. LG CNS는 LG디스플레이에 에이엑스씽크를 단계적으로 적용 중이다. LG디스플레이는 에이엑스씽크를 통해 하루 평균 업무 생산성을 이전 대비 약 10% 향상시켰으며, 외부 유사 서비스 도입 대비 연간 100억원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를 얻었다. 향후 3년 내 업무 생산성을 30% 이상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이엑스씽크는 기능적 강점 외에도 기업에서 다양하게 원하는 요구 사항들에 대해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유연성·보안 강화를 위한 구축형 설치, 비용 효율성 등 다양한 장점을 함께 제공한다.
-
- IT
-
LG CNS의 기업용 에이전틱 AI 플랫폼 ‘에이전틱웍스’
-
-
쿠콘, 크립토 연계 결제 서비스에 출금이체 인프라 제공
- 쿠콘(대표 김종현)이 PG·VAN 사업자인 다우데이타와 코빗 간 가상자산 연계 결제 서비스에 출금이체 인프라를 제공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업을 통해 다우데이타와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주요 가상자산을 기존 결제망과 연동한 새로운 결제 서비스를 구축했다. 이로써 코빗 이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가상자산을 매도해 얻은 금액으로 일반 가맹점에서 실시간 결제할 수 있게 됐다. 이 과정에서 쿠콘은 코빗 고객이 가상자산을 매도하면 가상자산 지갑과 연동된 고객 계좌에서 결제 금액을 출금해 결제대행사인 다우데이타로 실시간 이체하고, 해당 금액이 결제에 사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거래소와 결제망을 연결하는 금융 브릿지로서 자금 흐름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기술적 기반을 제공한 것이다. 해당 서비스는 오는 8월 말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쿠콘의 출금이체 서비스는 물품 대금이나 정기 서비스 이용료 등 각종 수납 대금을 실시간으로 대량 처리할 수 있는 금융 VAN 솔루션이다. 고객 계좌 출금부터 기업 계좌 입금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인터넷 은행을 포함한 국내 모든 은행과 증권사 계좌를 한 번에 연결할 수 있어 기업의 금융기관별 개별 연계 부담을 크게 완화했다. 쿠콘은 현재 △당근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등 주요 핀테크 서비스에 펌뱅킹 API와 인증 API 등 핵심 인프라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국내 90여 개 은행, 카드사, 증권사와 실시간 전용망으로 연결된 안정적인 금융망을 기반으로 △출금이체 △간편결제 △가상계좌 △ATM 입출금 △예금주 조회 등 다양한 페이먼트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업계에서는 쿠콘이 장기간 구축해온 강력한 API 역량이 향후 스테이블코인 도입 확산과 함께 중요한 경쟁력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디지털 결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플랫폼 간 데이터 연동과 거래 처리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쿠콘의 안정적이고 확장성 높은 솔루션은 시장 내 입지를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 김종현 쿠콘 대표는 “이번 다우데이타와 코빗의 가상자산 연계 결제 서비스에 쿠콘의 출금이체 서비스가 활용된 것은 우리가 구축해온 안정적인 금융 네트워크의 가치를 입증하는 사례”라며 “가상자산과 기존 금융 시스템을 안전하게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을 통해 디지털 결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또한 “향후 스테이블코인 도입과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대비해 더욱 혁신적이고 안정적인 결제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것”이라며 “쿠콘이 국내 디지털 금융 혁신의 핵심 인프라 기업으로서 역할을 한층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IT
- 블록체인
-
쿠콘, 크립토 연계 결제 서비스에 출금이체 인프라 제공
-
-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 설계 기술력 갖춘 수호아이오, 무역센터 테스트베드 실증사업 진행
- 수호아이오(대표 박지수)가 한국무역협회와 코엑스 MICE클러스터 위원회가 주관하는 ‘2025년 무역센터 테스트베드 실증사업’의 기업으로 선정됐다. 최근 스테이블코인 육성책이 확산되고 디지털자산기본법 발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수호아이오는 스테이블코인과 목적 기반 화폐(PBM, Purpose Bound Money) 기술을 실제 구현해 낸 기업으로서 정책적 변화를 선도할 역량을 인정받았다. 수호아이오가 제안한 실증 사업은 그랜드코리아레저(GKL) 세븐럭카지노를 대상으로 한 △AI 에이전트 기반 고객별 맞춤형 마케팅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 설계 △목적 기반 화폐(PBM) 기반의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관광 바우처 설계다. GKL의 실증 사업에 수호아이오가 후보로 선정된 것은 스테이블코인과 PBM 기반 민관 협력 생태계 형성의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수호아이오는 한국은행 CBDC 프로젝트에서 PBM 및 예금 토큰 기반 스마트 계약 검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자체 개발한 ‘터치스톤(Touchstone)’ 인프라를 통해 목적 제한형 디지털 자산의 투명하고 안전한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난 8월 1일 한국조폐공사와 ‘디지털 전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외국인 관광객 대상 디지털 신원 인증 및 PBM 결제 플랫폼 공동 개발에 나서는 등 공공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력과 사업 역량을 입증받고 있다. 아울러 컨센시스(ConsenSys)의 투자를 받은 블록체인 보안 전문기업으로서 3조원 이상의 자산을 검증한 블록체인 보안 감사 역량과 C2CC(Chain-2-Chain Communication) 크로스체인 프로토콜 등 차별화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추진과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 허용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실제 PBM과 스테이블코인 기술 구현 경험을 갖춘 수호아이오가 관련 정책 수립과 시장 표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수호아이오의 ‘터치스톤’ 인프라는 모든 거래의 실시간 기록 및 변조 방지, 정산과 증빙 작업의 자동화를 통해 공공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향후 디지털자산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지수 수호아이오 대표는 “이번 실증사업 선정은 우리의 스테이블코인과 PBM 기술력이 인정받은 결과”라며 “중앙은행 CBDC 프로젝트에서 검증된 PBM 기술을 리테일 업계에 적용해 디지털 자산 기반의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수호아이오(SOOHO.IO)는 2019년 설립된 블록체인 금융 기술 전문기업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감사, 크로스체인 브릿지 개발, 블록체인 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은행 CBDC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PBM과 스테이블코인 기술의 실용성을 입증한 국내 대표 블록체인 기업이다. 주력 제품으로는 금융기관을 위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인프라인 ‘터치스톤’, 그리고 목적 기반 화폐(PBM) 개발 플랫폼 ‘퍼플레이스(Purplace)’를 제공하며 프로그래머블 디지털 화폐의 실제 구현을 선도하고 있다. 수호아이오는 이더리움 공동창업자 조셉 루빈이 설립한 블록체인 기업 컨센시스(ConsenSys)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기업이다. 삼성SDS, SK C&C(현 SK AX), 금융보안원 등 유수의 기업 및 기관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2022년에는 글로벌 리서치기관 가트너(Gartner)가 선정한 블록체인 금융 분야 주요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
- IT
- 블록체인
-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 설계 기술력 갖춘 수호아이오, 무역센터 테스트베드 실증사업 진행
실시간 IT 기사
-
-
크린셀, 전원공급 필요 없는 미세전류 흐르는 ‘스마트잉크’ 개발
- 크린셀(대표 박홍욱)은 전원공급이 필요 없이 미세전류가 흐르는 ‘스마트잉크’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크린셀 박홍욱 대표가 독자적으로 연구 개발(발명특허 등록 3건)한 스마트잉크는 미세전류가 흐르는 무전원 방식으로, 다양한 소재 표면에 인쇄한 후 △땀 △소변 △상처 삼출물 △소독용 식염수 △화장품 △제약 등에 포함된 소량의 전해질 환경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발생한 전위차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이 필요없는 미세전류가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원천기술이다.미세전류는 1000마이크로암페어 이하의 전류를 의미한다. 건강한 사람의 인체에는 수십 마이크로 암페어의 생체전기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잉크 제품을 이용해 지속적인 전기 화학적 반응으로 발생하는 생체전기와 유사한 미세전류로 인체에 공급해 상처 회복에 필요한 유전자가 생성됐음을 관찰했다.이번 개발품은 항균 및 소취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팩 △헤어팩 △가발이너라이너 △패치류 △퍼프류 △패치류 등의 ‘코스메틱 분야’ △드레싱류 △병원 소모품 등의 ‘메디컬 분야’ △의류(레깅스·수영복) △운동화 등의 ‘스포츠용품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크린셀 박홍욱 대표는 “향후 일정은 마케팅 파트너 제휴, 적용 분야별 발명특허 등록(3건) 사용업체 제휴, 해외 마케팅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
- IT
-
크린셀, 전원공급 필요 없는 미세전류 흐르는 ‘스마트잉크’ 개발
-
-
휴페이엑스, 코래드스와 NFT 파일럿 프로젝트 SLATE-1 공개
- 블록체인 기업 휴페이엑스(HUPAYX)가 종합광고회사 코래드스(KORADs)와 손잡고 국내 최초로 드라마센터의 사용권을 디지털 자산화한 슬레이트-1(Slate-1)을 출시, 화이트리스트 접수를 시작했다. 화이트 리스팅이란,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한 사전 신청 및 등록 절차이다슬레이트-1은 코래드스가 운영 중인 드라마센터(촬영 세트장)에 대한 사용권을 토큰화해 대체불가능토큰(NFT)으로 공급하는 프로젝트로, 휴페이엑스가 출시를 준비 중인 실물 기반 NFT 플랫폼 트라이스(Trice)의 파일럿 사업이다. 휴페이엑스는 NFT 기획, 생태계 설계 및 기술 개발, 기술 지원에 참여한다.슬레이트-1 멤버십은 두 가지 컬렉션으로 총 3차에 걸쳐 6000개가 발매되며, 촬영장 누적 사용량에 따라 레드, 퍼플, 블랙 등 3가지 등급으로 운영된다. 슬레이트-1 멤버십 보유자에게는 등급 및 회원 자격에 따라 드라마센터 세트장 사용권, 후원 및 투표 등 커뮤니티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토큰 부여, 스크리닝 행사 및 쇼케이스 초청 등의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촬영장을 사용할 일이 없는 일반 회원들은 회원권 구매를 통해 후원, 홍보 활동 등 커뮤니티 운영에 참여해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일반인 회원들도 영상 제작자와의 활발한 소통을 통해 콘텐츠 제작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휴페이엑스는 버티컬 미디어 시대에 영상 및 콘텐츠 시장은 소비자와 제작자 간의 경계가 모호해진 상황으로, 소비자 참여와 후원, 광고 등 새로운 생태계를 시험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했으며, K-콘텐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겠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프로젝트 사전 등록(화이트리스트) 신청 및 프로젝트 소개는 공식 홈페이지와 프로젝트 공식 SNS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IT
- 블록체인
-
휴페이엑스, 코래드스와 NFT 파일럿 프로젝트 SLATE-1 공개
-
-
아나로그디바이스, 건물 자동화 네트워크 디지털화 위한 ‘롱 리치 이더넷 솔루션’ 발표
- 아나로그디바이스가 건물 자동화 네트워크용으로 설계된 완전한 10BASE-T1L 이더넷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10BASE-T1L 이더넷 솔루션은 연결된 디지털 자동화 장비를 사용하면 난방 환기 및 공조(HVAC) 기능에서부터 쾌적한 실내 환경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건물을 관리할 수 있다.새로운 ADIN2111은 컨트롤러, 센서, 액추에이터에 롱 리치 이더넷(Long Reach Ethernet) 연결 기능을 추가해 보다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건물 관리 역량을 제공한다. 전력 사용이 제한적인 소형 에지 장치용으로 이상적인 ADIN2111은 개별 구현 방식보다 전력 소모를 최대 50%을 절감하고, PCB 공간을 최대 75% 줄일 수 있다.ADIN2111은 건물 내에 기존에 구축된 단일 연선 케이블링 인프라를 활용해 라인(line) 및 링(ring)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향상된 진단 기능은 제공된 링크 품질 및 고장 위치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활용해 문제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시운전, 설치, 시스템 다운타임을 줄인다. IEEE 802.3cg 표준을 준수하는 이 솔루션은 1.7km 이상의 케이블링을 통해 이더넷 연결을 구현하고, Modbus/TCP, BACnet/IP 및 KNX와 같은 소프트 실시간 프로토콜과 링 이중화(ring redundancy)를 지원한다.
-
- IT
-
아나로그디바이스, 건물 자동화 네트워크 디지털화 위한 ‘롱 리치 이더넷 솔루션’ 발표
-
-
메타버스 플랫폼 360헥사월드, ‘서울 NFT 4차 콘테스트’ 전개
- 데이터킹의 메타버스 플랫폼 360헥사월드가 5월부터 메타버스 서울 NFT 4차 이벤트를 전개한다고 28일 밝혔다.서울 NFT 4차 이벤트 주제는 생활 편의 시설로 360헥사월드의 저작 도구인 360헥사스튜디오를 사용해서 카페, 마트, 편의점, 식당, 영화관 등 생활 편의 시설을 3D 픽셀로 모사하면 된다. 이중 우수작 10편을 선별해 글로벌 NFT 마켓플레이스에 판매할 수 있는 민팅을 지원한다.360헥사월드는 4월까지 서울을 대표하는 광화문 등의 랜드마크 건물과 놀이공원 프로젝트 공모전을 진행해 총 1200개의 응모작을 받았다. 이중 46개 작품을 우수작으로 선정해 이더리움 기반의 NFT 발행을 진행했다.발행된 NFT는 다국적 NFT 마켓플레이스인 오픈씨(opensea)을 통해 판매되고 있으며 누구나 구매하도록 개방돼 있다.◇생산과 소비가 이뤄지는 메타버스360헥사월드는 콘텐츠의 생산과 소비가 함께 이뤄지는 C2E (Creation to earn)서비스다. 누구나 3D 픽셀 콘텐츠를 생산하고 360헥사월드 내 마켓플레이스에서 판매하거나 외부 NFT 마켓플레이스에서도 판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누구나 손쉽게 3D 픽셀 형태의 NFT (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를 창작하고, 판매를 연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메타버스형 탈중앙화 디지털 경제사용자가 단순히 콘텐츠를 즐기는 소비자의 역할만 하는 중앙집중식 게임과는 달리, 360헥사월드의 메타버스는 생산과 소비가 함께 이뤄진다. 소비자가 생산 주체가 되는 탈중앙화된 디지털 경제 세계다. 특히 디지털에 친숙한 젊은이들의 열망을 콘텐츠 창작 저작 도구 기반으로 NFT에 반영했다.◇아바타를 활용한 버추얼 투어360헥사월드는 3차원 가상 공간을 내가 선택한 아바타로 산책할 수 있으며 자동차, 오토바이를 타거나, 귀여운 펫을 데리고 산책할 수 있는 게임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아바타는 원하는 신발, 옷 등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으며, 친구들과 함께 게임을 즐기거나 햄버거를 구매하고 은행을 갈 수 있다. 가장 메타버스다운 기능은 내가 제작한 집으로 걸어가거나 친구를 초대할 수 있는 공간 체험 서비스다.◇NFT 메타버스 갤러리 연결 입체적인 전시 환경 제공데이터킹은 전시 템플릿을 이용해 간단한 클릭 몇 번만으로 메타버스 NFT 버추얼 갤러리를 만들 수 있는 서비스인 360엑스콘(360xcon)을 Metaverse exhibition Builder에 동시 제공하고 있다.사용자가 온라인 전시를 편집할 수 있는 360헥사스튜디오 에디터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웹사이트 제작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는 사람들도 고품질의 메타버스 갤러리 온라인 전시 콘텐츠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기존의 다른 온라인 전시 솔루션이 화살표 등을 클릭해야 이동하는 단순한 형태였다면, 360엑스콘은 남녀 아바타가 전시장을 사람처럼 움직이면서 관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이를 통해 360헥사월드에서 만든 NFT를 360엑스콘 메타버스 갤러리에 입체적으로 전시해 구매자를 만날 수 있다.
-
- IT
- 블록체인
-
메타버스 플랫폼 360헥사월드, ‘서울 NFT 4차 콘테스트’ 전개
-
-
해시드 블록체인 NFT ‘다바’, 미국 가상 자산 거래소에서 한정 판매
- 해시드 스튜디오 언오픈드(UNOPND, 대표 이찬기)는 미국 가상 자산 거래소 크립토닷컴과 협약을 맺고 한국 시각으로 5월 4일 오후 10시 자사의 대체 불가능 토큰(NFT) 프로젝트인 ‘DAVA’(다바) 프로젝트의 신규 패키지를 크립토닷컴에서 단독 판매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패키지는 50개 한정으로 판매된다.언오픈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크립토 VC(벤처 캐피털) 해시드의 자회사다. DAVA는 언오픈드가 직접 서비스하는 NFT 프로젝트로, 가상 세계인 메타버스에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아바타 NFT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2021년 11월에 론칭한 다바는 퍼블릭 세일에서 판매 전체 물량을 모두 팔아 눈길을 끌었다. 다바는 다른 아바타 프로필 NFT와 달리 여러 파츠 의상을 자유롭게 입히고 꾸밀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이번에 판매되는 The Sandbox Mystery Box(더 샌드박스 미스터리 박스) 패키지는 세계적인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 ‘더 샌드박스’와 컬래버를 통해 만들어진 한정 패키지다. 더 샌드박스는 최근 국내 주요 콘텐츠 기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주목받았다.이번에 구매할 수 있는 패키지에는 다바의 기본 아바타인 DAVA Humanoid 1개와 더 샌드박스의 복셀 웨어러블 아이템 4종이 포함된다. 해당 패키지는 골드 박스와 실버 박스로 나뉘어 있으며, 골드 박스에서 실버 박스보다 높은 등급의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골드 박스는 10개, 실버 박스는 40개가 판매될 예정이다.언오픈드 다바 팀 이광호 리더는 “다바의 이번 크립토닷컴과의 협약은 여러 해외 커뮤니티 이용자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을 포함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이용자들이 메타버스에서 사용하고 싶은 아바타와 다양한 아이템을 판매해 다바를 더 알리고 신규 유저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이번 더 샌드박스 미스터리 박스 한정 패키지는 크립토닷컴 NFT 거래소에서만 구매할 수 있다. 국내 NFT 프로젝트의 크립토닷컴 NFT 거래소를 통한 패키지 단독 판매는 이번이 처음이며, 해외 이용자들에게 홍보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세일 일자는 한국 시각으로 5월 4일 오후 10시다. 경매 형태로 시작되며 시작가는 골드 박스는 400달러, 실버 박스는 200달러다. 패키지 상품이 아닌 일반 다바와 아이템은 오픈씨 등 NFT 마켓에서 구매할 수 있다.
-
- IT
- 블록체인
-
해시드 블록체인 NFT ‘다바’, 미국 가상 자산 거래소에서 한정 판매
-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증강 현실, 가상 현실, 360° 공간 오디오 요소 통합하는 몰입형 기술 집중 탐구
- 다양한 반도체 및 전자부품을 공급하며 업계를 선도하는 신제품 소개(NPI) 유통 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수상 경력에 빛나는 Empowering Innovation Together™ (협업을 통한 혁신) 프로그램의 두 번째 에피소드를 발표했다.이번 에피소드에서는 증강 현실(AR), 가상 현실(VR) 및 360° 공간 오디오의 요소를 통합하는 몰입형 기술과 확장 현실(XR)의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탐구한다. 새로운 ‘Then, Now and Next (그때, 지금, 그리고 다음)’ 비디오, 기사, 인포그래픽, ‘Tech Between Us (인간을 잇는 기술)’ 팟캐스트의 신규 에피소드를 포함해 다양한 독점 콘텐츠를 선보이는 마우저는 확장된 몰입형 기술이 물리적 세계에서 어떻게 새로운 경험을 구축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글렌 스미스(Glenn Smith)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사장 겸 CEO는 “IoT, 스마트 기기 및 5G의 발전으로 우리 주변의 세상은 물리적인 것에서 현실적이고 몰입감 있는 균형 잡힌 확장 현실로 진화했다”며 “마우저는 EIT 시리즈의 최신 에피소드를 통해 몰입형 기술을 집중 조명하고, 이 기술이 소비자에서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탐구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마우저의 레이몬드 인(Raymond Yin) 기술 콘텐츠 디렉터가 주도하는 ‘The Tech Between Us (인간을 잇는 기술)’ 팟캐스트의 신규 에피소드에서는 마크 세이지(Mark Sage) AREA (Augmented Reality for Enterprise Alliance) 전무(Executive Director)가 참여해 기술의 역할 증대와 글로벌 사업 부문에서의 적용에 대해 논한다.세이지는 “몰입형 기술은 점점 더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 같은 기술이 제공하는 이점은 놀랍다”며 “레이몬드와 함께 주변 환경이나 주변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변화하는 기술에 대해 논의할 수 있어 기쁘다”고 밝혔다.앞서 언급된 팟캐스트 에피소드와 함께 이번 시리즈의 두 번째 기사에서는 이 같은 기술 환경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을 공유하며, 그 시작점과 미래의 모습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몰입형 기술 콘텐츠는 마우저의 소중한 글로벌 제조사 파트너 암페놀 커뮤니케이션 솔루션즈(Amphenol Communications Solutions), 아나로그디바이스(ADI), 인텔®(Intel®),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Microchip Technology) 및 TDK가 후원한다.2015년에 처음 시작한 마우저의 Empowering Innovation Together (협업을 통한 혁신) 프로그램은 업계에서 가장 인정받는 전자 부품 마케팅 프로그램 중 하나다. 2022 EIT 시리즈의 다음 에피소드에서는 보안,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사설 5G 네트워크 및 자율 모바일 로봇을 위한 설계를 탐구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다양한 신제품 개발에 주목하며, 시장을 이끌어가는데 필요한 기술 개발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마우저의 다른 소식은 페이스북과 트위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마우저에 대한 자세한 소식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IT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증강 현실, 가상 현실, 360° 공간 오디오 요소 통합하는 몰입형 기술 집중 탐구
-
-
콜드체인 데이터 관리 솔루션 윌로그, QR 코드 데이터 압축·보안 신기술 개발
- 콜드체인 데이터 관리 솔루션 스타트업 윌로그(배성훈, 윤지현 각자 대표)가 QR 코드의 데이터를 압축하고, 보안을 강화하는 지능형 가변길이 제어 알고리즘(Intelligent-Variable Length Control, iVLC) 개발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앞으로 해당 신기술은 윌로그의 콜드체인 데이터 관리 솔루션에서 온도, 습도, 조도, 충격 등의 변수 데이터를 수집하는 자체 개발 OTQ (One Time QR-code) 디바이스에 적용될 예정이다.이번 연구 개발에 성공한 지능형 가변길이 제어 알고리즘(iVLC)은 QR 코드의 데이터를 스마트하게 압축하고, 보안 수준을 고도화하는 기술이다.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해 데이터의 최대 길이를 판단하고 압축, 일반적인 QR 코드에 담을 수 있는 데이터(숫자 7089자)보다 최대 4배의 데이터를 표현하도록 용량을 최소화한다. 또한 4단계 데이터 보안을 적용해 마치 QR 코드를 4장 겹친 효과를 얻는 기술이다.윌로그의 콜드체인 데이터 관리 솔루션은 의약품, 화학물, 식품 등 콜드체인이 필요한 물품을 운송할 때 출고 시점부터 반품까지 물류 전 과정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자체 개발한 OTQ 디바이스로 수집하고, 해당 데이터를 QR 코드로 나타낸다.개발된 신기술은 윌로그가 제공하는 콜드체인 데이터 관리 솔루션의 핵심인 데이터 수집 OTQ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현재 하나의 QR 코드에 표현될 수 있는 온도 정보는 300개인데, 기술 적용 시 시스템 검증과 3단계 암호화를 거쳐 최대 1400개의 온도 데이터를 담을 수 있게 된다. 즉 QR 코드 하나에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양이 약 4배로 늘어난다.또 4단계 보안 기술도 적용해 보안 수준도 기존 대비 4배로 강화된다.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코드화된 문자로 2번, 압축 코드로 1번 총 3번에 걸쳐 변환하고, 마지막 난수 검증까지 이뤄진다.김정모 윌로그 CTO는 “윌로그는 콜드체인 데이터 관리 분야의 독자적인 기술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 및 신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끊임없는 기술 고도화로 앞으로도 계속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윌로그는 2월 QR 코드 기반의 물류 상태 모니터링 솔루션에 대한 특허를 획득한 바 있으며, 현재 디자인 특허, 기술 특허, PCT, 상표권 등 총 17개의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다.
-
- IT
-
콜드체인 데이터 관리 솔루션 윌로그, QR 코드 데이터 압축·보안 신기술 개발
-
-
OGQ-메타몬, NFT 프로젝트 공동개발 나선다
- 소셜크리에이터 마켓 오지큐(공동대표이사 신철호, 이희우)(이하 OGQ)가 커머스형 PFP (Profile Picture, 소셜 미디어용 프로필 사진)-NFT 메타몬과 NFT 사업 확대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14일 OGQ 본사에서는 OGQ 이희우 대표와 메타몬 김명수 대표를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해 업무 협약식을 가졌다.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NFT (Non Fungible Token, 대체 불가 토큰)의 기획, 개발, 마케팅까지 전방위적인 부분에서 상호 협업해 나갈 방침이다.OGQ는 보유하고 있는 스톡 라이센싱, IP 커머스, NFT 마켓플레이스 등을 활용해 NFT 콘텐츠 및 서비스를 기획하고 메타몬은 NFT 프로젝트 기획, 민팅 및 토큰 개발, 마케팅, 커뮤니티 운영, 로드맵 실행 지원 등의 노하우를 제공한다.OGQ는 크리에이터가 창작한 이미지, 동영상, 폰트, 스티커, 음원은 물론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3D에셋 콘텐츠를 사고팔 수 있는 크리에이터 저작권 콘텐츠 마켓이다. 특히 최근에는 크리에이터 IP를 NFT 생태계로 확장하기 위해 다양한 NFT·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등과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메타몬은 2월 국내 최초로 제품에 NFT를 적용한 커머스형 PFP-NFT 프로젝트를 오픈했다. 또한 14일에는 NFT 전문 포탈 커뮤니티인 ‘올메타(ALLMETA)’를 론칭하며 NFT 사업을 본격 확장해 나가고 있다.메타몬 김명수 대표는 “다양한 콘텐츠 IP와 기술,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는 OGQ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게 돼 기쁘다”며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두 기업간 상생은 물론 크리에이터 시장과 NFT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프로젝트를 함께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OGQ 이희우 대표는 “한국에서도 BAYC와 같은 국가대표급 NFT 프로젝트가 나올 때가 됐다. PFP에 경험 있는 메타몬과 OGQ의 IP 플랫폼 역량을 모아 성공적인 NFT 프로젝트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 IT
- 블록체인
-
OGQ-메타몬, NFT 프로젝트 공동개발 나선다
-
-
듀얼 마이너스, 가상화폐 채굴 장비에 흡열 기능 탑재
- 듀얼 마이너스(Dual miners)는 자사의 가상화폐 채굴 리그에 광범위한 흡열 기능을 탑재했다고 밝혔다.듀얼 마이너스는 Dual Miner의 채굴 칩인 FM9800-XD112는 혁신적인 하드웨어 설계를 통해 최소 수준의 에너지를 사용하고도 높은 해시래이트를 기록한다고 주장한다. 듀얼 마이너스 측에 따르면 Dual Miners Enhance Energy Saver 시스템은 다른 시스템과 비교해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솔루션 개발자에 따르면, 각 머신은 △냉각 시스템 △7나노미터 칩 △소음 제거 메커니즘 △규제를 준수하는 전력 공급 가동 습도 환경 △무선 네트워크 연결(Wi-Fi) 혹은 Ethernet 연결 기능을 탑재했다. 세계적으로 알려진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기술로 이뤄진 시스템에 탑재된 알고리듬 덕분에 사용자는 약간의 지연을 감수한다면 Bitcoin (BTC), Litecoin (LTC), Monero (XMR), Ethereum (ETH)을 비롯해 다수의 암호화폐를 채굴할 수 있다.
-
- IT
- 블록체인
-
듀얼 마이너스, 가상화폐 채굴 장비에 흡열 기능 탑재
-
-
비트웨어, 혁신 위험 해소하는 FPGA 기반 솔루션 출시 기간 단축하는 ‘파트너 프로그램’ 발표
- 엣지 및 클라우드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엔터프라이즈급 가속기의 대표적 공급사인 몰렉스는 계열사 비트웨어(BittWare)가 고성능 데이터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의 고객 상대 배포를 간소화하고 효율화하기 위한 새로운 파트너 프로그램을 발표했다.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의 크기, 복잡성, 성능이 향상하면서 기업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맞춤형 IP (지적재산)와 보드 수준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 자원을 투입하고 있다. 새로운 비트웨어 파트너 프로그램은 비트웨어의 검증된 FPGA 가속기 기술을 사용하는 FPGA 기반 활성화 IP와 완벽한 솔루션으로 구성되는 생태계를 촉진, 제품 출시 및 기술 개발과 관련한 주요 장애물들을 제거한다.비트웨어의 영업 및 마케팅을 총괄하는 크레이그 페트리(Craig Petrie) 부사장은 “비트웨어는 FPGA 설계 엔지니어들이 검증된 IP 코어, 도구, 프레임워크 및 솔루션으로 구성되는 강력한 생태계를 중앙화된 소스에서 활용하도록 파트너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며 “우리는 이를 통해 혁신적인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의 위험을 줄이고, 상업화를 가속해 FPGA 설계 프로세스의 결정적인 간극을 해소할 수 있는 독보적인 입지에 있다”고 말했다.◇협업과 혁신을 위한 생태계새로운 파트너 프로그램은 업계 선도적이며 새롭게 부상하는 IP 공급사들의 강력한 솔루션과 비트웨어의 컴퓨팅, 네트워크, 스토리지, 센서 처리 가속기 기술을 결합하고 있다. FPGA 설계 프로세스의 주요 구성 요소를 결합해 엔지니어링 및 프로그래밍 요건을 줄임으로써 고객이 자신들의 소중한 자원을 독창적 역량을 개발하는 데 집중하도록 한다. 고객은 설계 프로세스에서 보다 일찍 협업해 인공 지능, 머신 러닝 추론, 데이터베이스 가속, 연산 스토리지, 5G, 계측 및 보안 같은 강력한 차세대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처음 선정된 10개 파트너는 명실상부한 대표 기업과 혁신적인 신생 기업으로 이뤄져 다음과 같은 범주의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한다.◇컴퓨팅·인텔(Intel): 비트웨어는 Intel Agilex FPGA 기술과 oneAPI 툴킷을 이용해 고성능 컴퓨팅(HPC)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간소화·엣지코틱스(EdgeCortix): 에지 AI 중심의 팹리스 반도체 기업으로서 소프트웨어 우선 접근법을 이용해 업계 선도적인 효율과 낮은 대기 시간을 AI 추론에 제공하는 데 주력·메그 컴퓨팅(Megh Computing): 실시간 AI 기반 동영상 분석 솔루션을 제공◇네트워크·아토믹 룰스(Atomic Rules) : 데이터센터부터 에지까지 미션 크리티컬한 엔터프라이즈급 IP 코어와 솔루션을 제공·에닉스(Enyx): 금융, 통신, HPC 산업용 초저 지연 FPGA 지원 기술과 솔루션을 개발·그루프(Grovf): FPGA칩을 사용해 애플리케이션 가속 및 네트워크 오프로드 솔루션을 개발·시아마 시스템스(Siama Systems): 5G RAN, MEC, 데이터센터용 이더넷/IP 네트워크 인프라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자이페라(Xiphera): FPGA용으로 설계된 안전하고 효율적인 암호화 IP 코어를 개발◇스토리지·에이디티콤(Eideticom): 클라우드, HPC, 엔터프라이즈 데이터센터용 연산 스토리지 솔루션을 개발·인텔리프롭(IntelliProp): 스토리지 산업을 위한 IP 코어, ASIC 설계, 인증 서비스를 제공◇파트너 피드백엣지코틱스의 창립자 겸 CEO인 사크야싱아 다스굽타(Sakyasingha Dasgupta)는 “새로운 비트웨어 파트너 프로그램으로 엣지코틱스의 Dynamic Neural Accelerator IP가 가진 장점을 Intel Agilex FPGA에 적용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이것은 AI 가속 시장의 여러 측면에서 판도를 바꾸는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비트웨어와 협업으로 서버에서부터 에지 박스에 이르기까지 완벽한 솔루션을 제공, 성능을 개선하면서 CPU나 GPU를 즉시 교체할 수 있게 됐다. 최종 고객 관점에서 보면, 이 솔루션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PyTorch, TensorFlow, ONNX 같은 표준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솔루션을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한다”며 “성능 관점에서 보면, 우리의 솔루션은 FPGA 기반 솔루션에 비해 7배 높은 성능으로 고해상 스트리밍 데이터의 추론 대기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메그 컴퓨팅의 CEO인 프라바트 굽타(Prabhat K. Gupta)는 “비트웨어의 FPGA 파트너 프로그램에 참여해 자랑스럽다”며 “메그는 AI를 기반으로 완전히 사용자 지정이 가능한 교차 플랫폼 동영상 분석 솔루션(VAS)을 제공한다. VAS 제품군은 스마트 빌딩 및 스마트 팩토리의 보안 위험을 줄이고 운영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 사례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어 “Intel FPGA 기반의 비트웨어 카드가 제공하는 가속화 기능은 최저 TCO로 최고의 성능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인텔리프롭의 CEO인 히렌 파텔(Hiren Patel)은 “인텔리프롭은 비트웨어 파트너 프로그램 참여로 강력한 비트웨어 하드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신속한 출시, 생산에 즉시 활용하는 IP, 그리고 레퍼런스 디자인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스토리지 및 메모리 시장에 가치를 더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이어 “IntelliProp NVMe 브리지 플랫폼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에 압축, 암호화 또는 기타 인라인 컴퓨팅 기능을 구현하려는 고객에게 엄청난 혜택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새로운 비트웨어 파트너 프로그램의 회원사는 첨단 컴퓨팅, 네트워크, 스토리지 솔루션을 설치할 때 비트웨어의 엔터프라이즈급 가속기를 기본 솔루션으로 선택했다. 파트너 기업의 보고에 따르면, 기존에 1년 이상 걸리던 개발 기간이 이런 강력한 협업 덕분에 3개월 이하로 단축되는 등 다양한 장점이 생기고 있다. 성능, 품질, 신뢰성, 상호 운용성이 검증돼 고객은 보다 안심할 수 있게 됐다.비트웨어 파트너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비트웨어 웹사이트를 참조하면 된다.
-
- IT
-
비트웨어, 혁신 위험 해소하는 FPGA 기반 솔루션 출시 기간 단축하는 ‘파트너 프로그램’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