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
-
아모레퍼시픽과 BASF, 피부 저속노화 관련한 항산화 자외선 차단 기술 개발
-
-
아모레퍼시픽은 자외선 차단 소재 기술을 선도하는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BASF)와 공동 연구를 통해, 피부 저속노화에 효과적인 항산화 자외선 차단 기술 ‘UV-R Pro’를 개발했다. 공동 기술 개발 협약식은 지난 13일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 본사에서 열렸다.
그동안 자외선 차단제의 광노화 예방에 관한 연구는 다각도로 진행돼 왔으나, 대부분 피부 표면에서의 자외선 차단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피부 깊숙이 침투할 수 있고, 진피층에 손상을 일으켜 피부 노화의 징후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UVA (장파장 자외선)에 대해 최근 그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R&I 센터는 피부 속으로 침투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를 늦추기 위해, UVA에 의해 피부 속에서 만들어지는 유해 물질인 자유라디컬(free radical, 활성산소류)에 주목했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에 특화된 항산화 시스템을 적용해, 자유라디컬 생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선케어 기술을 개발했다.
아모레퍼시픽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바스프의 RSF (Radical Skin Protection Factor) 측정 기술을 활용해 검증했다. 그리고 피부 보호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적 보완을 거듭한 결과, 더욱 진보한 항산화 자외선 차단 기술 ‘UV-R Pro’를 완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자외선 차단은 물론, 광노화의 근본 원인을 차단해 피부 저속노화 효능이 강화된 제품 개발 플랫폼 기술도 확보했다. 이번에 완성한 ‘UV-R Pro’ 기술은 오는 4월, 헤라 브랜드를 시작으로 다양한 선케어 제품에 적용할 계획이다.
아모레퍼시픽 R&I 센터장 서병휘 CTO는 “아모레퍼시픽은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와 지속적 협업을 통해, 전 세계 고객들에게 피부 저속 노화에 도움이 되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을 선택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글로벌 선케어 시장에서 상품 경쟁력을 만들어낼 것”이라며 “앞으로 광노화로 고민하는 전 세계 고객에게 보다 혁신적인 저속 노화 선케어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최선의 연구 노력을 이어가겠다”라는 의지를 밝혔다.
바스프 케어 케미컬 사업부문 퍼스널 케어 사업부 글로벌 총괄 아구스 지푸트라(Agus Ciputra) 수석 부사장은 “이번 아모레퍼시픽과의 협력은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중요한 공동 혁신 성과다. 양사는 이 모멘텀을 유지해 혁신적인 선케어 솔루션을 계속 도입하고, 글로벌 선케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
2025-03-14
-
-
아시아태평양 상위 100개 비게임 퍼블리셔 앱 수익 180억 달러
-
-
아시아 태평양 퍼블리셔의 비게임 앱 시장 상황은 어떨까? 이를 알아볼 수 있는 리포트가 나왔다.
센서타워(Sensor Tower)가 최근 몇 년간의 아시아 태평양 비게임 앱의 전 세계 다운로드 추세, 2024년 주요 아시아 태평양 비게임 앱의 수익 및 다운로드 순위, 그리고 한국, 중국 iOS, 일본, 동남아, 인도 등 주요 아태 지역에서의 비게임 앱 성과 등을 포함한 ‘2025년 아시아 태평양 퍼블리셔의 비게임 앱 시장 인사이트’ 리포트를 발표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전세계 비게임 앱은 빠른 성장을 거듭하여 2024년 수익은 25% 증가한 692억달러에 달했다. 2024년 인기 카테고리의 비게임 앱 수익은 전반적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엔터테인먼트 앱의 수익은 전년 대비 29% 증가한 195억달러를 기록했다.
2024년 아시아 태평양 상위 100개 비게임 퍼블리셔 앱 수익 합계는 전년 대비 25% 성장한 180억달러로, 지난 5년간의 높은 성장률을 이어갔다. 숏폼 동영상, 숏폼 드라마 등의 앱 성장에 힘입어 2024년 아시아 태평양 상위 100개 퍼블리셔의 비게임 앱 중 엔터테인먼트 앱 수익은 41% 증가했다. 2024년에는 AI 지원으로 사진 및 동영상 앱 수익이 78% 급증했다.
중국 시장을 제외한 2024년 전 세계 아태 퍼블리셔 앱의 수익 순위와 수익 성장 순위를 살펴보면 ‘틱톡’은 2024년에도 비게임 앱 1위 자리를 수성했다. 카카오의 ‘픽코마’와 라인의 ‘라인 망가’는 수익 순위에서 각각 2위, 3위를 달성하며 한국산 만화 앱의 활약을 보여줬다. 또한 다양한 숏폼 드라마 앱의 수익 증가를 엿볼 수 있었다.
중국 시장을 제외한 2024년 전 세계 아태 퍼블리셔 앱의 다운로드 순위와 다운로드 성장 순위를 살펴보면 ‘테무’가 다운로드 2위와 다운로드 성장 1위 자리를 차지했다. 다운로드 성장 순위에서도 ‘드라마박스’와 ‘숏맥스’와 같은 숏폼 드라마 앱이 5위권에 들며 해당 카테고리의 성장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숏폼 드라마는 2024년 아시아 태평양 퍼블리셔의 비게임 앱 중 큰 성장을 보인 카테고리 중 하나였다. 숏폼 드라마 앱의 수익과 다운로드 수는 각각 14.1배, 8.6배 급증하며 14억7000만달러와 5억 건을 넘어섰다. 2024년 말 기준 숏폼 드라마 앱의 전 세계 누적 수익과 다운로드는 각각 15억9000만달러와 5억6000만 건을 기록했다.
‘드라마박스’의 전 세계 수익과 다운로드 수는 2024년에 각각 26배, 40배 급증하며 숏폼 드라마 앱 수익 순위, 다운로드 순위, 평균 월간 활성 사용자 수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숏맥스’의 2024년 전 세계 수익과 다운로드도 각각 28배, 39배 증가하며 다운로드와 평균 월간 활성 사용자 수 순위에서 2위에 올랐다.
이러한 추세는 2024년 중국 iOS 시장의 아태 퍼블리셔 비게임 앱 수익과 다운로드 순위에서도 확인됐다. 인기 숏폼 드라마를 출시한 ‘Hongguoduanju (红果短剧)’가 2024년 하반기에 다운로드 수가 빠르게 성장해 8월부터 ‘더우인(抖音)’을 추월하기 시작했다. 2024년 다운로드 수는 572% 급증하며 모바일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2위를 차지했다.
일본 시장 아태 퍼블리셔 비게임 앱 수익를 살펴보면 한국산 만화 앱인 ‘픽코마’와 ‘라인 망가’가 수익 순위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2024년 말까지 두 앱의 인앱구매 수익은 각각 32억달러와 29억달러에 육박했다.
한국에서는 ‘카카오페이지’가 수익 순위 1위에 올랐다. 2024년 말까지 전 세계 누적 수익은 4억달러를 기록했으며, 2024년 다운로드 당 평균 결제 금액은 95달러에 달했다. 스트리밍 동영상 플랫폼 ‘티빙’은 48% 증가한 약 7700만달러의 수익을 기록하며 수익 순위 2위에 올랐다.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앱 ‘테무’는 한국 시장에서 인상적인 다운로드 성장률을 보였는데, 2024년에 139% 급증하며 한국 시장 비게임 앱 다운로드 순위 1위를 차지했다.
한편 이번 리포트를 발표한 센서타워는 201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된 곳으로 모바일 비즈니스 여정의 모든 단계에서 심도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센서타워는 포켓 게이머 모바일 게임즈 어워즈 2022에서 ‘최고의 데이터/분석 툴’을 수상했다. 센서타워는 마켓 인텔리전스 플랫폼 data.ai(구 앱애니)를 인수하며 경쟁력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2025-03-14
-
-
퍼포먼스텐와 오토하이브, 협력 체계 구축하고 협업 추진
-
-
자동차 전문 매거진 ‘퍼포먼스텐’과 타이어 온라인 B2B 플랫폼 ‘오늘타이어’를 운영하는 ‘오토하이브’가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협업을 시작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퍼포먼스텐은 오토하이브가 개발 중인 신규 솔루션에 연계해 다양한 타이어 브랜드가 필요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협력할 계획이다.
오토하이브는 타이어 전문점과 정비업체가 보다 쉽게 제품을 구매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타이어 업계의 다양한 제품을 전문점에서 보다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돕는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양사는 또한 B2B 사업자의 요구를 반영한 결합 상품을 개발해 소상공인의 비즈니스 환경과 매장 운영을 최적화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기존 타이어 매장의 업무 효율성을 개선하고, 지속적인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방침이다.
한편 월간 퍼포먼스텐은 자동차 애프터마켓, 자동차 튜닝, 타이어, 브랜드휠 비즈니스 전문 매거진이다. 신차소개, 해외튜너, 타이어 신제품 정보, 타이어비즈니스, 브랜드휠, 타이어매장, 국내외 모터쇼, 모터스포츠, 정비기기, 국내 튜닝용품 및 제조사와 유통업에 대한 정보, 자동차 전문가 인터뷰가 수록되어 있다.
-
2025-03-14
-
-
대한전선 영국 내셔널그리드와 HVDC케이블 시스템 프레임워크 계약 체결
-
-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영국의 주요 전력 송배전 기업인 내셔널그리드(National Grid UK Limited)와 ‘HVDC (초고압직류송전) 케이블 시스템’ 프레임워크(Framework)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대한전선의 유럽 시장 확대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내셔널그리드는 공급 부족이 예상되는 HVDC 시장에서의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HVDC 케이블 시스템과 변압기 두 분야에 대한 프레임워크 계약을 추진했다. 총 사업 규모는 약 590억파운드(한화 110조원)에 달하며, 향후 약 8년 동안 15개 이상의 해저 및 지중 HVDC 프로젝트가 진행될 전망이다.
대한전선은 내셔널그리드와 케이블 시스템 분야에서의 프레임워크 계약을 체결하며, 약 213억파운드(한화 40조원) 규모의 사업 참여 기회를 확보했다. 유럽, 일본 등 글로벌 톱티어(Top-Tier) 6개 기업과 계약을 진행한 것으로, 대한전선은 2025년부터 최장 8년간 내셔널그리드가 추진하는 525kV, 320kV급의 HVDC 케이블 시스템 프로젝트 입찰에 참여하게 된다.
프레임워크 계약은 정해진 기간 동안 일정한 조건 하에 서비스나 물품을 제공하기로 합의하는 장기 계약으로, 구매자와 공급자 간의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협업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송종민 부회장은 이번 계약을 기념하기 위해 지난 달 직접 영국 런던 소재의 내셔널그리드 본사를 찾아 주요 관계자들과 만남을 갖고, 향후 사업에 대한 계획을 논의했다.
송종민 부회장은 이번 계약에 대해 “미래 핵심 전력 기술로 주목받는 HVDC 케이블 시스템의 기술 경쟁력을, 선진 전력 시장인 유럽에서 인정받은 매우 뜻 깊은 계약”이라고 밝히며 “앞으로도 HVDC 케이블 시스템의 품질 신뢰성을 높이고 기술 역량 강화에 힘써 유럽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의 사업 기회를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장거리 전력 전송의 핵심 기술인 HVDC 케이블 시스템은 재생에너지와 슈퍼그리드(국가 간 전력망 연결)의 확대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제품에 대한 기술력 뿐 아니라, 생산 설비 확보를 위한 막대한 자금이 요구돼 글로벌 소수의 기업만이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대한전선은 국내 최초로 500kV 전류형 및 525kV 전압형(3000SQ, 허용온도 90℃) HVDC 지중케이블 시스템을 개발하고 국제 공인 인증을 취득했으며, 지난해 9월에는 미국에서 320kV 전압형 HVDC 케이블을 처음으로 수주하며 사업을 본격화했다.
HVDC 해저케이블의 생산을 위한 해저케이블 2공장 건설도 순조롭게 추진 중이다. 대한전선은 지난해 11월 공장 건설 부지를 충남 당진으로 확정하면서 청사진을 구체화했다. 2027년 가동을 목표로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가동 즉시 HVDC 해저케이블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
2025-03-14
-
-
베렉스 3차 고조파 피드백 이용 효율 개선한 전력증폭기 기술 특허 등록
-
-
베렉스(대표 장명상)는 ‘3차 고조파 피드백을 이용하여 전력 효율을 개선한 전력증폭기(출원번호 10-2022-0159307)’ 기술을 국내 특허 등록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허 기술은 IoT Front End Module에서 필수적인 TX RF 전력 증폭기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F급 전력 증폭기 대비 약 20% 이상 향상된 전력 효율을 제공하며, 입력 전류 소비를 줄이면서도 높은 출력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이 기술은 기존의 고조파 필터를 사용한 증폭기 구조를 보다 최적화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의 F급 전력증폭기에서 사용되던 고조파 필터들을 보다 능동적으로 사용하는 형태며, 3차 고조파 피드백 회로와 트랜지스터의 CGS를 이용해 증폭된 신호를 최적의 파형으로 변환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여 전력증폭기의 성능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베렉스는 이동통신용 화합물 반도체를 기획·개발·생산·판매하는 전문 벤처 기업으로 2004년 출범했으며 통신 기지국에서 활용하는 무선통신 반도체(RFIC) 분야 특허를 다수 확보해 기술력으로 낮은 인지도를 극복하고 사업 영역을 넓혀오고 있다.
2007년 이후 매년 수익을 창출해 무차입 경영을 실시하고 있다. 2008년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100% 자회사 BeRex, Inc.를 설립해 미국 레이더 위성통신장비 시장에 진입했으며 2019년에는 캘리포니아 소재 옥토테크(Octotech)를 인수해 IoT용 반도체를 개발·생산·판매하고 있다.
현재는 화합물 반도체 외에 실리콘-게르마늄(SiGe) 반도체, 실리콘 절연막(Silicon-on-Insulator) 반도체 기술을 이용해 제품 및 시장 다변화를 하고 있다.
베렉스는 서울, 미국 산타클라라와 산타 아나 3곳에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19개 제품군과 177개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 22개국 수출 및 530명의 고객을 확보한 상태다.
-
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