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
-
현대로템 국내 첫 군용 다족보행로봇 개발 사업 수주, 2024년 시제품 육군에 납품 예정
-
-
현대로템이 국내 첫 군용 다족보행로봇 개발 사업을 수주했다고 11일 밝혔다. 현대로템은 10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엄동환 방위사업청장 주관으로 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와 대테러작전용 다족보행로봇 신속 연구개발사업 최초 협약식을 진행했다. 이날 협약식을 통해 현대로템은 2024년까지 대테러작전용 다족보행로봇을 개발하고 로봇 본체, 임무 장비 및 원격조종장치 등 시제품을 육군에 납품하게 된다. 이번 사업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진행되는 신속 연구개발사업이다. 이는 빠르게 변화하는 최근 기술 흐름에 맞게 첨단 기술이 적용된 무기체계를 2년 안에 신속히 개발해 시범 운용하는 사업이다. 앞으로 소요에 따라 간소화된 절차로 전력화까지 연계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대테러작전용 다족보행로봇은 4족 보행 로봇으로 야지의 험로 및 장애물 구간에서도 자유롭게 기동할 수 있으며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다. 이 로봇은 목적에 따라 △로봇팔 △원격 무장 통제장치 △섬광 폭음탄 및 최루가스 살포기 △체온 측정장치 등 다양한 임무 장비를 탈부착할 수 있어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대테러작전용 다족보행로봇은 위험한 작전에 사람을 대신해 투입돼 아군 인명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테러 상황을 비롯한 도시 지역 작전 시에는 선두에 투입돼 사전에 적을 식별하고 초기 대응에 나설 수 있으며 보병부대 작전 간에는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체온 측정장치를 부착하면 방역 작전에도 사용할 수 있다. 현대로템은 이번 사업에 국내 로봇 플랫폼 전문업체인 레인보우로보틱스와 협력한다. 현대로템이 체계 종합을 맡아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민수용 다족보행로봇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등 군용 개조 개발에 나선다. 앞서 현대로템은 4월 레인보우로보틱스와 ‘국방 로봇 분야 교류 및 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군용 다족보행로봇을 공동 개발하기로 한 바 있다. 이번 사업으로 현대로템은 다족형 플랫폼 핵심 기술을 고도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를 통해 아직 초기 단계인 국내 국방 로보틱스 분야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로보틱스, 무인체계 등 첨단 기술을 중심으로 재편 중인 미래 방산 시장에 대응할 기술 역량 강화에도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실제 현대로템은 로보틱스 및 무인체계 부문 기술력 확보를 목표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로보틱스 분야에서는 현대자동차와 협업해 상향 작업 보조용 VEX(Vest Exoskeleton), 중량물 운반 보조용 H-Fame 등 다양한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한 바 있다. 현대로템은 이런 웨어러블 로봇 제품군을 기반으로 지난해부터 한국전력공사와 전력 분야 공사작업자용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 중이며, 국내 최초로 농업용 웨어러블 로봇의 개발과 상용화도 추진하고 있다. 무인체계 분야에서도 지속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현대로템은 올 1월에는 자체 개발한 다목적 무인 차량의 군 시범 운용을 마치고 성공적으로 납품한 바 있으며, 2020년 전차·장갑차 등의 무인화 운용을 위한 기동전투체계 원격 무인화 기술 개발 과제를 수주해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현대로템은 대테러작전용 다족보행로봇 개발 사업 수주로 다족형 플랫폼 관련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관련 사업 기반을 강화할 것이라며, 연구개발 활동에 역량을 집중해 미래 제품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술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
2022-08-11
-
-
푸마, 유명 인사 및 젊은 운동가들과 패션업계 지속 가능성 해법 찾는 ‘콘퍼런스 오브 더 피플’ 개최
-
-
스포츠 기업 푸마(PUMA)가 주최하는 ‘콘퍼런스 오브 더 피플(Conference of the People)’이 다음 달 6일 런던에서 열린다.여러 유명 인사와 젊은 운동가가 참여하는 콘퍼런스 오브 더 피플은 Z세대에 초점을 맞춰 패션 업계의 가장 시급한 문제인 지속 가능성에 대한 해법을 논하는 자리다.배우이자 모델 겸 운동가인 카라 델러빈(Cara Delevingne)과 작가이자 감독 겸 방송인인 레지 예이츠(Reggie Yates)가 콘퍼런스 사회를 맡았다. TV 진행자 겸 패럴림픽 메달리스트로서 대영 제국 훈장을 받은 아데 아데피탄(Ade Adepitan), 지속 가능한 패션 저널리스트 소피 벤슨(Sophie Benson), 보그 비즈니스(Vogue Business)의 지속 가능성 편집자 벨라 웹(Bella Webb)이 공개 토론회를 진행한다. 토론회를 통해 수명을 다한 제품과 쓰레기에 초점을 맞춰 더 지속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고 환경 우려를 관리하는 한편 생태계를 보호하고, 패션업계가 빠른 결과를 내기 위한 방안을 논할 계획이다.레지 예이츠는 “패션과 지속 가능성을 파헤치는 다큐멘터리를 수년간 찍어왔다”며 “다큐멘터리가 촉발한 대화는 영감을 불러일으켰다”고 말했다. 이어 “콘퍼런스 오브 더 피플이 해법을 도출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콘퍼런스 오브 더 피플의 목표는 오늘의 결정으로 내일을 열 수 있도록 젊은 세대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이다. 첫 토론회는 패션업계의 순환성을 높일 수 있는 해법과 쓰레기를 주제로 열린다. 푸마는 회사를 대표하는 스니커즈 ‘스웨이드(Suede)’의 생분해 버전을 테스트하는 RE:SUEDE 프로젝트에 관한 최신 소식도 전할 계획이다.소재 관련 토론회에서는 더 지속 가능한 솜, 폴리에스터, 기타 섬유 공급자를 통해 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줄 방안을 살펴본다. 또 생물 다양성 관련 토론회에서는 지속 가능성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혁신 신소재를 논할 계획이다.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보고서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환경 우려는 많은 젊은이에게 다루기 힘든 문제가 됐다. 토론 참석자들은 카라 델러빈과 함께 부정적인 에너지를 긍정적인 행동으로 바꾸는 방안을 모색하고, 패션업계가 힘을 모아 환경을 위한 긍정적인 결과를 신속히 낼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지속 가능한 라이프사이클 인플루언서인 모니카 파피(Monika Poppy)와 이지 마누엘(Izzy Manuel), 플록 투게더(Flock Together) 공동 설립자인 나딤 페레라(Nadeem Perera), 어스라이즈 스튜디오(Earthrise Studios)를 공동 설립한 잭 해리스(Jack Harries)와 앨리스 에이디(Alice Aedy) 등 Z 세대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토론회를 빛낼 예정이다.콘퍼런스 오브 더 피플은 초대 손님 225명을 맞아 런던에서 9월 6일 오후 12시 30분(영국 서머타임)(중앙유럽 표준시 오후 1시 30분, 미국중부 표준시 오전 6시 30분)에 시작된다. 콘퍼런스는 무료로 생중계된다.
-
2022-08-11
-
-
더존비즈온, 개인 위주 전자문서중계 넘어 기업 시장까지 확대 진출
-
-
더존비즈온(대표 김용우)이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서비스 범위를 기존 PC 기반에서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를 포함하는 멀티 플랫폼 환경으로 확장한다.더존비즈온은 이를 위해 2013년 공인전자문서중계자로 지정된 후 차세대 전자문서중계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신규 설비를 갖추고. 정부 심사를 완료했다고 11일 밝혔다.공인전자문서중계자는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에 따라 타인을 위한 전자 문서를 유통할 수 있는 자격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지정을 받는다. 공인전자문서중계자의 유통 플랫폼을 거쳐 유통된 전자문서는 오프라인 문서와 동일하게 유통 사실에 대한 법적 효력을 갖게 돼 관공서와 금융권 등을 중심으로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더존비즈온은 이번 인증을 계기로 기존의 개인 위주 전자문서중계 시장을 넘어 기업 특화 서비스 분야 경쟁력을 바탕으로 개인 및 기업 시장까지 확대 진출할 계획이다. 더존비즈온은 보유한 기존 전자세금계산서, 공인전자문서센터 등과 연계해 전자문서의 송·수신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서비스를 통해 시너지를 낼 계획이다.비즈니스 플랫폼 위하고(WEHAGO) 기반의 전자문서중계 플랫폼 ‘WEHAGO 전자문서’를 선보인다. 기존 PC 기반 샵 메일(#메일)로 한정됐던 서비스를 모바일 메신저 등 멀티 플랫폼으로 확장한 전자문서 통합 송·수신 서비스다.WEHAGO 전자문서는 간단한 본인 인증만으로 언제 어디서든 PC와 모바일을 통해 각종 전자문서를 손쉽게 주고받을 수 있다. 특히 다중 플랫폼 발송은 물론, 전자계약 등 개인 및 기업 모두에게 공인전자문서를 발송할 수 있는 차별화한 기능을 제공한다. 공인전자문서보관센터를 활용해 원본 문서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확장 서비스도 마련했다.또 개인용 통합 서비스 플랫폼 ‘나하고(NAHAGO)’에서도 모든 기업 재직자를 위해 전자문서 서비스를 통합해 제공한다. NAHAGO는 중소기업·소상공인 등이 개정 근로기준법이 요구하는 임금(급여)명세서 의무 교부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근무 시간·급여 관리 서비스, 출퇴근 관리 기능 및 회사 생활에 필수적인 다양한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직장인용 앱이다.더존비즈온 송호철 플랫폼사업부문 대표는 “더존비즈온의 전자문서 서비스는 국가공인 전자문서유통사업자와 국가공인 전자문서보관센터 지위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며 “WEHAGO 서비스를 사용하는 기업 및 NAHAGO 서비스를 이용하는 재직자에게 필요한 안전하고 편리한 전자문서 서비스 보급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2022-08-11
-
-
서울대-서울시립대 연구팀, 친환경 내연 기관차 위한 새로운 촉매 시스템 개발
-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화학생물공학부 김도희 교수 연구팀과 서울시립대 화학공학과 유종석 교수 연구팀이 현대자동차와 산학 공동 연구를 통해 가솔린 자동차 시동 초기 저온 단계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 배기가스의 획기적 감소를 위한 팔라듐(Pd)-산화세륨(CeO2) 촉매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켐 카탈리시스(Chem Catalysis)’에 8월 10일 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논문명은 ‘Toward gasoline vehicles with zero harmful emissions by storing NO at Pd nanoparticle-CeO2 interface during the cold-start period’이다. 켐 카탈리시스는 셀(Cell), 줄(Joule) 등 세계적인 수준의 톱 저널을 발행하는 출판사 셀 프레스(Cell Press)가 발행하는 켐(Chem) 저널의 신생 자매지다.자동차 엔진에서는 고온에서 질소(N2)와 산소(O2)가 반응해 질소산화물(NO, NO2)이 생성된다.질소산화물은 광화학 스모그와 산성비, 미세 먼지의 원인이 되는 대표적인 환경 오염 물질이다. 인체에 유입되면 피부 조직과 호흡기를 자극해 치명적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그 배출량을 규제하고 있다.특히 최근에는 대기 중 질소산화물이 미세 먼지 생성의 주원인으로 보고되면서 질소산화물 배출 규제는 점점 강화되고 있다.삼원촉매(TWC·Three-Way Catalyst)는 가솔린 차량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인 일산화탄소(CO)와 탄화수소(HC)를 산화시키며, 질소산화물을 환원시키는 촉매이다. 한 컨버터에서 세 가지 유해 성분을 동시에 줄이므로 삼원촉매라고 불린다.삼원촉매는 모든 배출 환경에 사용할 수 없고 공연비(air to fuel ratio, A/F)를 이론 공연비인 14.7 부근으로 맞춰야 정상 작동할 수 있다. 하지만 이론 공연비를 맞추더라도 온도가 약 300℃ 이상 돼야 정화 작용을 시작하며, 400~800℃ 범위에서 정화효 율이 높다.최근 고연비, 친환경, 비용 절감을 목표로 엔진 크기를 줄이는 다운사이징이 트렌드가 되면서 터보 차저를 장착한 가솔린 모델들이 보편화됐다. 이에 따라 배기가스 온도가 낮아지고 초기 시동 단계에서 삼원촉매가 작동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 길어졌다.이런 저온 냉 시동(cold-start) 동안에는 삼원촉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고 배기가스 내 질소산화물이 정화되지 못해 그대로 배출된다. 점차 강화되는 질소산화물 배출 규제를 맞추기 위해서는 이런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이에 유종석 교수 및 김도희 교수 연구팀은 팔라듐-산화세륨 촉매를 활용해 가솔린 엔진에서 배출된 질소산화물을 자동차의 냉 시동 구간에서 잠시 저장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팔라듐-산화세륨 계면에서의 특수한 상호작용으로 생기는 산소 공극(oxygen vacancy)이 질소산화물을 강하게 흡착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또 어떤 공연비 조건으로 시동을 걸 때 가장 질소산화물을 잘 저감할 수 있는지를 파악해 엔진 조절과 촉매 기능을 모두 활용해 효과적으로 냉 시동 구간에서 질소산화물을 제어할 수 있는 촉매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김도희 교수는 “해당 기술은 가솔린 차량 배기가스를 촉매 기술만을 이용해 후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냉 시동 구간에서 엔진 조절을 함께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실제 엔진에서 이를 검증했다는데 매우 의미 있는 산학 협력 결과”라고 설명했다.유종석 교수는 “전기 자동차의 점유율이 빠르게 증가하고는 있지만, 내연 기관차의 단종이 생각하는 것만큼 빨리 오지 않을 것이란 예측도 늘고 있다”며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촉매 기술을 활용하면 점차 강화되는 배기가스 규제에 기존 내연 기관으로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이어 “이번 연구는 새로운 촉매 시스템을 실험적으로 구현한 것에 머무르지 않고 양자 계산을 활용해 촉매 시스템의 작용 원리를 근본적으로 규명한 것에 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양자 계산과 같은 계산과학 기법을 활용하면 새로운 촉매 소재를 합리적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3년간에 걸쳐 현대자동차와 국내 유수 대학들의 산학 공동 연구로 진행된 ‘미래 자동차 친환경 혁신 촉매 기술 개발 공동연구실’의 연구 성과다. 연구는 현대자동차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선도연구센터사업(고려대학교 초저에너지자동차 초저배출사업단)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
2022-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