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경제 검색결과
-
-
쿠콘 AI 기반 금융 서비스 및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지원
- 쿠콘(대표 김종현)이 AI 기반 차세대 금융 서비스 구축의 핵심 파트너가 되기 위해 나서고 있다. 웹케시그룹과 NH농협은행이 지난 2일 체결한 ‘생성형 AI 기반 미래형 뱅킹 서비스’ 구축 업무 협약에서 쿠콘은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호출하고 연동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제공하기로 했다. 협약을 계기로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도입될 AI 기반 뱅킹 서비스는 기존 금융업계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AI 에이전트가 탑재된 기업 자금 관리 서비스와 인터넷 뱅킹 시스템이 순차적으로 출시되면, 기업 고객은 복잡한 메뉴를 탐색할 필요 없이 ‘이번 달 급여 내역 보여줘’와 같은 자연어 명령만으로 모든 금융 업무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대화형 뱅킹 서비스는 기업 고객의 내부 업무 효율성과 사용자 경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AI 시스템이 얼마나 정확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느냐가 서비스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쿠콘이 AI 기반 인터넷 뱅킹 서비스에서 강점을 갖는 이유는 뱅킹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역량 때문이다. 계좌 거래내역, 카드 결제내역 같은 기본적인 금융 정보는 물론, 비대면 계좌개설과 온라인 대출신청에 필요한 신분증 정보, 소득 증빙, 자동차 및 부동산 담보물 정보까지 API로 연동해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미 국내 은행, 카드사, 증권사, 보험사 등 다수의 금융기관이 쿠콘의 API를 활용해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비대면 미성년 자녀 통장 개설, 모바일 대출 심사 업무 자동화, 온오프라인 매출관리 서비스, 보험상품 가입 간소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쿠콘 API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쿠콘은 단순한 데이터 API 제공을 넘어 계좌 간편결제, 가상계좌, 출금 및 입금이체, ATM 입출금 등 종합적인 페이먼트 서비스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국내 90여 개 금융기관과의 실시간 전용망과 페이먼트 사업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정적인 금융 시스템 구축을 돕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쿠콘은 200만개 이상의 오프라인 가맹점과 4만대 이상의 ATM 인프라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전반에서도 역할을 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현재 국내외 주요 스테이블코인 사업자들과 지급결제 및 유통 분야에서 전략적 제휴를 적극 논의 중이며 싱가포르, 일본,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핀테크 허브를 거점으로 글로벌 결제·정산 시장 진출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김종현 쿠콘 대표이사는 “AI 에이전트 뱅킹의 성공은 얼마나 정확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동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며 “쿠콘은 이미 검증된 데이터 API와 페이먼트 인프라를 통해 금융 혁신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웹케시그룹과 NH농협은행이 추진하는 AI 뱅킹 서비스 구축 과정에서 쿠콘의 기술과 인프라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에서도 오프라인 인프라와 금융기관 연결망이라는 독보적 자산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나가겠다”며 “AI 금융과 디지털 자산이라는 두 개의 성장 동력을 통해 차세대 금융 인프라의 표준을 제시하는 기업으로 발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경제
- 금융
-
쿠콘 AI 기반 금융 서비스 및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지원
-
-
고려대 캠퍼스타운 조성 추진단 ‘SB 스타트업 네트워킹 페스티벌’ 개최
- 고려대 캠퍼스타운 조성 추진단은 성북구-성북클러스터-현대백화점과 함께 2025년 SB 스타트업 네트워킹 페스티벌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2025 SB 스타트업 네트워킹 페스티벌은 청년 창업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관심 있는 지역 주민과 창업기업들이 참여했다. 참여자들은 △SB 캠퍼스타운 대학리그전 △SB 스타트업 체험부스 △시민참여 프로그램 △성북클러스터 소속 창업기업 간 네트워킹 등 다양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통해 창업 정보를 얻고 사업 성과를 공유했다. 또한 고려대 캠퍼스타운 조성 추진단은 성북구-성북클러스터-현대백화점 간 대학 창업과 지역 활성화를 위한 민·관·학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성북구 관내 4개 대학(성북클러스터)과 민간기업(현대백화점 미아점)이 협력한 최초 사례다. 업무협약식에는 이승로 성북구청장, 윤성택 고려대 연구부총장, 김형진 국민대 교학부총장·구자억 서경대 부총장, 장명희 한성대 교학부총장, 오형만 현대백화점 미아점장이 참석해 대학 및 지역 창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아울러 SB 캠퍼스타운 대학리그전에서는 고려대 캠퍼스타운 입주기업인 △AI 강사 에이전트 ‘아케오’를 개발한 ‘악어에듀’와 △AI 라벨링 기반 스마트 일회용컵 수거 쓰레기통 ‘컵끼리’를 선보인 ‘나와’가 고려대학교 입주기업 대표로 출전해 우승을 차지했다. 고려대 캠퍼스타운 조성 추진단은 민·관·학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와 업무협약을 통해 대학-청년 창업 활성화와 지역 활성화를 위한 공동사업 추진과 캠퍼스타운 입주기업 판로 개척을 지원하는데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북클러스터는 성북구와 성북구 관내 캠퍼스타운 사업을 추진하는 5개 대학(고려대·국민대· 서경대·한성대·동덕여대)이 협력해 추진하는 기구이다. 2022년부터 청년 창업 활성화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협력해 추진하고 있으며, 연 1회 성북구청과 관내 4개 대학이 참여하는 SB 스타트업 네트워킹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 한편 고려대학교는 2017년 국내 최초로 서울시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에 선정됐다. 서울시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은 ‘서울시-대학-자치구’가 협력해 진행하는 사업으로 대학과 지역이 함께 자원을 공유하고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해 살아 움직이는 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고려대 캠퍼스타운 사업은 2020년 국토교통부 사업으로 연장·확대되면서 대학과 지역이 청년을 키우고 청년과 대학과 지역을 살리는 ‘상생 빌리지’를 구축했다. 현재 G-local 대학타운형 안암 창업밸리 조성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고려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 추진단은 현재 학내 창업 지원 유관부서와의 연계 협력을 통해 청년 창업 기업의 발굴-육성-자립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 구축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 중이다.
-
- 경제
- 기업
-
고려대 캠퍼스타운 조성 추진단 ‘SB 스타트업 네트워킹 페스티벌’ 개최
-
-
리맨과 하이트진로 및 엔젤스헤이븐, 베트남 특수학교에 컴퓨터 교실 마련
- 리맨(REMANn) 베트남 법인은 하노이여성한인회와 회원들, 하이트진로 베트남 지사, 엔젤스헤이븐 베트남지부와 협력해 진행한 해피핸즈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22일, 베트남 하노이 외곽 동아잉 지역 동안현(Binh Minh)에 위치한 특수학교에 컴퓨터 교실이 마련됐다. 청각장애 아동들을 포함한 학생들이 처음으로 컴퓨터 수업을 받을 수 있게 된 이번 프로젝트는 베트남 내에 진출한 한국 기업, 한인 교민들, 비영리 단체가 자발적으로 참여한 ‘해피핸즈 프로젝트(Happy Hands Project)’의 결과다. 하노이 교민들과 하이트진로 베트남 지사는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 기기들을 기부했으며, NGO 엔젤스헤이븐 베트남지부는 학교와 기증자 간의 소통을 담당했다. 리맨은 기증된 기기의 수거, 수리 및 검수를 맡았고, 학교 내 컴퓨터 교실에 인터넷 설치 작업까지 함께 지원했다. 이날 기증된 중고 노트북 13대와 데스크탑 1대는, 컴퓨터가 없던 교실에 비로소 학생들과 함께 자리 잡았다. 현장에 설치된 기기들은 리맨 베트남의 기술 검수를 거쳐 교육용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재제조됐다. 기존에 컴퓨터가 없었던 교실에는 노트북과 책상이 채워졌고, 교사들은 정성껏 칠판에 자판 기호를 적으며 아이들에게 첫 수업을 시작했다. 현장에 함께한 관계자들은 오래전부터 꿈꿔오던 컴퓨터 교실을 직접 운영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감격을 전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외부 재정 지원 없이, 현지에 거주하는 하노이 교민 사회와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기부된 중고 노트북들은 정보 접근이 어려운 아동들에게 새로운 세상과 연결되는 창이 됐다. 리맨 베트남은 누군가에게 필요 없어진 자원이 꼭 필요한 곳에 전달되는 일이 계속 이어지길 바란다며, 이처럼 다양한 주체의 협력 모델을 통해 지속적인 변화가 일어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리맨(REMANn)은 2008년 1월 ‘한국컴퓨터재생센터’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곳이다. 현재 재제조(재생) 컴퓨터 판매를 넘어 IT 기기의 역물류(Reverse Logistics)와 데이터 보안 폐기 서비스까지 사업을 확대 중이다.
-
- 경제
- 기업
-
리맨과 하이트진로 및 엔젤스헤이븐, 베트남 특수학교에 컴퓨터 교실 마련
-
-
인말셋 마리타임 '넥서스웨이브' 1천 척 이상 선박 도입
- 인말셋 마리타임(Inmarsat Maritime)은 자사의 완전관리형 해상 통신 서비스인 ‘넥서스웨이브(NexusWave)’가 출시 6개월 만에 1000척 이상의 선박에 도입됐다고 발표했다. 수개월에 걸친 개발과 테스트를 거쳐 지난 반년간 시장에 본격 출시된 이 서비스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합하고 단일 제공업체가 관리하는 고속 통신 서비스를 원하는 글로벌 해운사들의 수요에 힘입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현재 일본의 ‘K’ 라인, 네덜란드의 안토니 페더(Anthony Veder), 일본의 미쓰이 OSK 라인(Mitsui O.S.K. Lines), 노르웨이의 솔방(Solvang), 살라움 라인(Sallaum Lines), Parlevliet & van der Plas 그룹 등 주요 선사들이 이미 넥서스웨이브를 도입해 선박을 ‘떠다니는 사무실’과 ‘집’으로 전환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넥서스웨이브는 GX (Global Xpress) Ka-밴드, 저궤도 위성(LEO), 연안 LTE, 견고한 L-밴드 서비스를 통합한 완전관리형 통신 솔루션으로, 인말셋만의 독자적인 네트워크 본딩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이 기술은 사용 애플리케이션이 여러 네트워크의 속도와 용량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개별 네트워크에만 의존하지 않고 일관된 품질을 보장하고 있다. 실제 선박 테스트에서는 최대 340Mbps의 다운로드 속도, 80Mbps의 업로드 속도를 기록했으며, 99.9% 이상의 네트워크 가용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특히 영상 통화 품질 역시 개별 네트워크 성능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됐으며, 네트워크 혼잡 지역에서도 동적 트래픽 라우팅을 통해 원활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무제한 데이터, 글로벌 커버리지, 그리고 엔터프라이즈급 사이버 보안을 기반으로 한다. 선원들은 선상에서도 웹 브라우징, 스트리밍, 게임, 영상통화, 메시징, 소셜 미디어 이용이 가능해 ‘육상과 다름없는 연결 환경’을 누릴 수 있다. 인말셋 마리타임의 벤 팔머(Ben Palmer) 사장은 “넥서스웨이브가 선박 1000척을 돌파했다는 건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며 “이 성과는 개발에 참여한 모든 이들의 헌신의 결과이자 연결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글로벌 해운사들의 수요를 반영하는 지표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넥서스웨이브는 선박을 사무실과 주거 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갖춘 솔루션으로, 해운사의 디지털 전략과 선원 복지 강화를 동시에 실현한다”며 “전 세계 커버리지, 무제한 데이터, 기업 수준의 사이버 보안 위에 신뢰할 수 있는 단일 파트너 시스템을 더해 완전한 해상 연결 신뢰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인말셋(Inmarsat)은 비아셋(Viasat)의 자회사로, 40년 이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해양 산업의 디지털화를 선도하고 있으며 선박 소유주 및 운영자에게 안정적인 연결성과 운영 효율성, 선원 복지 향상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Viasat은 ‘세상의 모든 사람과 사물은 연결될 수 있다’는 비전을 바탕으로 지상·해상·항공을 아우르는 글로벌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2023년 5월 Inmarsat을 인수했다.
-
- 경제
- 기업
-
인말셋 마리타임 '넥서스웨이브' 1천 척 이상 선박 도입
-
-
우리은행 삼성카드와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이 지난 1일 우리은행 본점에서 삼성카드와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날 업무 협약식에는 정진완 우리은행장, 김이태 삼성카드 대표이사 사장을 비롯해 양사의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해 시너지를 발휘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번 협약으로 우리은행과 삼성카드는 각 사가 보유한 금융 인프라와 역량을 바탕으로, △제휴카드 출시 △양사 채널을 활용한 상품 판매 △제휴 마케팅·프로모션 강화 등으로 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삼성카드는 업권을 선도하는 우리은행과의 협업으로 차별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며, 성공적 시너지 모델을 이뤄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카드업계를 선도하는 삼성카드와의 협업을 통해 제휴카드 출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것이며, 양사의 강점을 결합해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금융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설명했다.
-
- 경제
- 금융
-
우리은행 삼성카드와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
-
금호타이어 ESG 경영 성과와 전략 담은 보고서 발간
- 금호타이어(대표 정일택)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성과와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ESRS(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유럽지속가능성보고표준) 이중 중대성 가이드라인에 기반해 사회·환경 및 재무 영향을 고려한 이중 중대성 평가를 진행했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8개의 중대 이슈를 도출하고 관련 ESG 경영 전략과 관리 지표를 설정해 대응 활동을 수립 및 이행함으로써 ESG 내재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 특히 이번 보고서의 ESG 스포트라이트 섹션에서는 △2045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전환 가속화 △순환 경제 구축 및 기여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 성과를 강조했다. 주요 환경(E) 성과로 △7개 사업장 태양광 설비 구축 △RE11 달성 △천진 사업장 RE50 달성 △ISO 50001(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등 재생에너지 확대와 탄소 감축을 위한 노력이 있었다. 사회(S) 부문에서는 △안전자문위원회 신설 △정보보호위원회 신설 △2030 여성 리더 목표 수립 △해외사업장 첫 인권 영향 평가 실시 △안전관리(LTIFR, 근로 손실 재해율) 목표 수립 등 안전 및 인권 관리 체계를 강화했다. 거버넌스(G) 부문에서는 △이사회 평가 실시 △주주총회 집중일 이외 개최 △ESG 정책집 개정 등의 성과를 담았다. 금호타이어 대표이사 정일택 사장은 “기업의 생존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ESG 경영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ESG 경영을 실천해 신뢰받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금호타이어는 2024년 에코바디스(Ecovadis) 평가에서 상위 5%에 부여하는 골드 메달(Gold Medal)을 획득한 데 이어 S&P Global에서 발간하는 Sustainability Yearbook(지속가능성 연례보고서) 멤버로 선정되기도 했다.
-
- 경제
- 기업
-
금호타이어 ESG 경영 성과와 전략 담은 보고서 발간
-
-
HMM 스페인 알헤시라스 컨테이너 터미널 확장 개발한다
- HMM(대표이사 사장 최원혁)은 현재 운영하고 있는 스페인 알헤시라스 컨테이너 터미널(TTIA)을 확장 개발한다고 2일 밝혔다. HMM은 TTIA를 통해 지난달 30일 스페인 알헤시라스 항만청에 TTIA 남측 부지 1단계 개발을 추진한다는 투자 의향서를 제출했다. 투자 금액은 1억5000만유로(한화 약 2400억원)이다. 이는 의향서 제출을 위한 산출 금액으로 향후 변동 가능하다. HMM은 이 중 3500만유로(약 56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나머지 금액은 2대 주주인 CMA CGM과 외부 차입을 통해 조달할 예정이다. TTIA는 총면적 30만㎡에 연간 처리량 160만 TEU의 현대식 반자동화 터미널로, 이번 1단계 확장 개발을 통해 2028년까지 총면적 46만㎡에, 연간 처리량 210만 TEU로 확대할 계획이다. 향후 2단계 개발까지 완료되면 연간 280만 TEU를 처리할 수 있는데, 원활한 개발을 위해 터미널 운영 기간을 기존 2043년에서 2065년까지 22년 연장한다. HMM은 알헤시라스 터미널은 남유럽의 주요 환적 허브이자 스페인의 수출입 관문으로 터미널 수익 창출은 물론 유럽 노선 경쟁력 강화에 큰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향후에도 해외 터미널을 적극적으로 투자,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MM은 2017년 TTIA 지분 100%를 인수했으며, 2020년 전략적 제휴를 위해 프랑스 선사 CMA CGM에 지분 50%-1주를 매각했다.
-
- 경제
- 기업
-
HMM 스페인 알헤시라스 컨테이너 터미널 확장 개발한다
-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QR 기부 캠페인 이어가는 롯데정밀화학
- 롯데정밀화학은 1일, 지속가능경영 QR 기부 캠페인과 함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성과를 담은 2024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롯데정밀화학은 2023년부터 국내 최초로 시행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QR 기부 캠페인을 3년째 이어간다. 누구든지 롯데정밀화학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QR코드를 스캔하면, 기부금이 조성되고 롯데정밀화학이 미얀마 지진 재해 구호 기부를 진행하는 것이다. 2023년에는 튀르키예 지진 피해 구호에 2024년에는 몽골 사막화 피해 지역에 나무를 심는 활동에 롯데정밀화학의 기부금이 사용됐다. 특히 이번 보고서에는 ESG 경영 성과로 △신재생에너지 도입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환경E) △영남지역 산림 복원을 위한 울산 최초 스마트 묘목장 구축(사회S) △부패방지 및 규범준수 경영시스템 ISO 370001 37301 취득(지배구조G) 등을 수록했다. 또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수렴을 확대해 이중 중대성 평가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선정된 8대 중대이슈에 대한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해 나가고 있다. 한편, 롯데정밀화학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2016년부터 선제적으로 지속가능 경영 보고서를 발간해왔으며 글로벌 최고 권위의 보고서 대회인 美 ARC 어워즈에서 2023년 대상(Grand award), 2024년 금상(Gold award)을 받는 등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ESG 성과를 공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ESG평가에서 상위 등급을 받고 있다. 주요 결과로는2024년 한국ESG기준원 종합 A등급, 2025년 서스틴베스트 A등급,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A등급, 에코바디스(EcoVadis) 플래티넘(상위 1% 수준) 등이 있다. 롯데정밀화학 정승원 대표는 “2016년부터 업계에서 선도적으로 지속가능 경영 보고서를 발간해왔고 2023년 업계 최초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QR 기부 캠페인을 시작하는 등 투명하고 효율적인 ESG 성과 공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해외 보고서 대회 수상과 국내외 ESG 평가 등급 상향 등 성과를 인정받았고, 앞으로도 지속가능경영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경제
- 기업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QR 기부 캠페인 이어가는 롯데정밀화학
-
-
젝시믹스 몽골에 3호 매장 세우며 확장 본격화
- 젝시믹스(XEXYMIX 대표 이수연)는 지난 4월 수도 울란바토르에 2호점 오픈에 이어 몽골에 3호 매장을 오픈하며 현지 시장 확장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3호점은 울란바토르 시내 남쪽 타라 센터(Tara center)로, 국립체육경기장과 내셔널 파크 등이 위치한 곳이다. 편의시설 및 다양한 상업시설이 있으며, 맞은편에는 아파트와 학교 등이 밀집해 인구 집중도가 상당하다. 젝시믹스는 니스렐 후레 에비뉴를 중심으로 1호 매장인 자이산 스타 백화점과 2호 매장인 이마트 칭기스점, 금번 3호 매장까지 상권과 주택 밀집 지역에 위치해 모객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3호점에는 한류에 대해 높은 수용도를 가지고 있는 몽골 고객들의 니즈를 수용해 블랙 라벨 시그니처 360N 등 국내 인기 제품들을 중심으로 선보인다. 2021년부터 몽골 진출을 본격화했던 젝시믹스는 그동안 다양한 인플루언서들과의 협업과 이벤트, 기획전 등을 진행하며, 현지에서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자 노력했다. 최근에는 SNS 채널을 활용한 고객 소통에도 집중하며, 안정적인 판매채널을 구축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젝시믹스는 몽골에서도 애슬레저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는 만큼 현지 시장 선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젝시믹스를 통해 현지 소비자들에게 K애슬레저의 경험을 축적시키는 데 주력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경제
- 기업
-
젝시믹스 몽골에 3호 매장 세우며 확장 본격화
-
-
WSC Sports 한국 진출하며 아태 지역 시장 확장 나서
- AI 기반 스포츠 콘텐츠 자동화 기업인 WSC Sports가 서울 오피스 설립과 함께 오성택 씨를 한국 사업 책임자로 선임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결정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확장과 글로벌 혁신 스포츠 미디어 생태계와의 협력을 강화하려는 WSC Sports의 전략적 의지를 나타낸다. WSC Sports는 혁신적인 AI 기술을 활용해 스포츠 경기의 비디오 콘텐츠 제작 및 배포 과정을 자동화한다. 이를 통해 리그, 구단, 방송사 등 스포츠 권리 보유자들은 방대한 양의 경기 영상에서 팬들이 원하는 개인 맞춤형 하이라이트 콘텐츠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에 대규모로 배포할 수 있다. 이 기술은 팬들의 참여를 극대화하고 새로운 팬층을 확보하며, 동시에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 현재 전 세계 530개 이상의 주요 스포츠 리그, 팀, 방송사가 WSC Sports의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한국 팬들 역시 WSC Sports 기술로 제작된 NBA, 라리가, PGA 투어, J리그, ESPN 등의 콘텐츠를 이미 수백만 회 이상 시청하며 접하고 있다. 한국 스포츠 팬들의 높은 수준의 혁신적인 팬 경험에 대한 기대와 미래지향적인 콘텐츠 수요에 발맞춰 WSC Sports는 AI 기반 콘텐츠 자동화 기술의 국내 활용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 오피스는 이스라엘 텔아비브 본사를 비롯해 뉴욕, 시드니, 도쿄, 베이징, 런던, 방콕과 함께 WSC Sports의 글로벌 거점으로 합류하게 됐다. 한국 사업을 책임지게 된 오성택 책임자는 25년 이상 미디어 시장에서 세일즈 및 사업 개발 분야의 풍부한 경험을 쌓아왔다. 타불라 코리아(Taboola Korea) 재직 시 시장 점유율 성장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아이스하키 스포츠 매니저로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을 받기도 했다. 또한 MLB 및 UEFA와 같은 세계적인 스포츠 기관과의 디지털 콘텐츠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 스포츠 미디어 산업 발전에 기여한 바 있다. 향후 국내 주요 방송사, 리그, OTT 플랫폼과의 협력을 통해 WSC Sports 기술 도입 및 국내 사업 성장을 주도할 예정이다. 오성택 한국 사업 책임자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한국 스포츠 미디어 시장의 중요한 시점에 WSC Sports에 합류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국내 방송사와 리그들이 콘텐츠 확장과 팬 참여 증대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WSC Sports의 혁신적인 기술과 글로벌 시장 경험은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 확신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다니엘 시크만(Daniel Shichman) WSC Sports CEO는 “서울 오피스 개설과 오성택 한국 사업 책임자의 합류를 통해 한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게 돼 기대가 매우 크다. 그의 뛰어난 리더십과 깊이 있는 시장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파트너들이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확장하고 팬들에게 더욱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경제
- 기업
-
WSC Sports 한국 진출하며 아태 지역 시장 확장 나서
사회 검색결과
-
-
의원급 수가 인상률 1.7%에 대한 의사들 반응은?
- 의사들은 의원급 수가 인상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이를 알아볼 수 있는 자료가 나왔다. 5만4000여 명의 개원의 중심의 의사 커뮤니티 ‘닥플’을 운영하는 이노케어플러스는 지난 6월 2일부터 8일까지 2026년 수가 협상 결과 관련 설문조사 ‘닥플 오피니언’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에는 총 102명의 개원의가 참여했으며, 최근 발표된 2026년 의원급 수가 인상률 1.7%에 대한 의료현장의 체감 반응과 평가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됐다. 응답자의 85%가 ‘의원급 수가 인상률이 너무 낮다’고 응답했으며, 평가 기준으로는 ‘물가 상승률과 비교해 낮다’고 답한 비율이 76%로 가장 높았다. 수가가 인상됐음에도 실제 진료 수익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6%에 불과했다. 또한 83%의 의사는 ‘이번 협상안이 의료 현실을 반영하지 못했다’고 평가했으며, 가장 아쉬운 점으로는 ‘의원급 인상률 자체가 너무 낮다(34%)’, ‘수가가 물가 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한다(23%)’, ‘정부와 협회 모두 신뢰가 가지 않는다(17%)’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긍정적인 평가 항목으로는 ‘큰 파행 없이 모든 유형이 협상 타결에 성공한 점(41%)’이 가장 높았으며, 일부 응답자들은 ‘구조 개편 기조가 유지된 점’이나 ‘추가 재정이 투입된 점’ 등도 꼽았다.
-
- 사회
-
의원급 수가 인상률 1.7%에 대한 의사들 반응은?
IT 검색결과
-
-
스트래티지, AI 기반 BI 최신 트렌드와 주요 기업 활용 사례 공개
- 스트래티지 코리아(지사장 정경후)가 '생성형 BI와 에이전트 AI 시대로의 혁신'을 주제로 ‘Strategy World Seoul 2025’ 컨퍼런스를 열고 AI 기반 BI의 최신 트렌드와 전략은 물론, 롯데백화점, SK브로드밴드 등 업계 선두 조직들의 데이터 활용 사례를 공개했다. 컨퍼런스에서 SK브로드밴드 Btv큐레이션팀 심효섭 매니저는 데이터 플랫폼 제공자가 아닌 사용자의 입장에서 데이터 활용의 어려움을 짚어보고 대시보드를 활용해 데이터 활용의 문턱을 낮출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소개했으며, 롯데백화점 디지털부문 데이터플랫폼 박주동 팀장은 기술의 첨단성보다는 ‘실질적인 활용성’에 포커스를 두고 분석 툴을 어떻게 구현했는지 발표했다. 박주동 팀장은 실무 부서가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AI 기반 분석 환경 구축 사례를 공유했으며 유통업계 최초로 생성형 BI 플랫폼 ‘Strategy One’을 도입해 운영 한 달 만에 고객 분석 업무에 드는 시간을 최대 70%까지 단축한 성과를 공개했다. 이는 주사업자인 롯데이노베이트가 수행했고 스트래티지 파트너사로는 잘레시아가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이러한 성과로 인해 롯데백화점은 AI+BI 전략을 과감하게 도입해 데이터 기반 혁신을 이룩한 고객에게 스트래티지가 수여하는 ‘Strategy AI+BI Visionary Award’를 수상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스트래티지의 차세대 기술도 새롭게 공개됐다. Auto 2.0은 스트래티지의 시맨틱 레이어(Semantic Layer)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AI 인텔리전스 에이전트로, 기업의 의사결정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Mosaic는 업계 최초로 AI 기반의 유니버설 인텔리전스 레이어를 제공, 다양한 분석툴이 단일 데이터 모델을 사용할 수 있게 통합해 데이터 활용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기술로 주목받았다. 또한 이번 행사에는 스트래티지의 골드 파트너사인 모코코와 잘레시아가 참가했다. 모코코 김상종 부장은 Strategy SDK를 활용한 맞춤형 분석 환경 구축 사례에 대해 발표하며 실제 프로젝트에서 맞춤형 분석 환경을 어떻게 설계하고 구현했는지 소개했고, 잘레시아 홍성화 상무는 AI 분석 프로젝트를 시작하려고 고려하는 기업을 위해 현장에서 겪은 시행착오와 실전 팁을 공유하며 성공적인 AI 기반 프로젝트를 위한 실전 가이드를 소개했다. 한편 스트래티지는 비트코인을 주요 재무 자산으로 채택한 상장 기업으로, 주식 및 채권 발행, 비즈니스 운영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을 활용해 전략적으로 비트코인을 축적하고 있으며, 이를 디지털 자본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또한 AI 기반 엔터프라이즈 분석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Intelligence Everywhere’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기업의 데이터 분석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비트코인과 AI 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혁신을 탐색하며 디지털 자산 성장과 데이터 분석 역량을 동시에 강화해 나가고 있다.
-
- IT
-
스트래티지, AI 기반 BI 최신 트렌드와 주요 기업 활용 사례 공개
-
-
해시드, Web3 미래 논의하는 ‘EastPoint:Seoul 2025’ 개최
- 해시드가 주최하는 ‘이스트포인트:서울 2025(EastPoint:Seoul 2025)’가 오는 9월 22일 서울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 웹3 산업 리더들과 국내외 정책 입안자, 기업 및 주요 기관들이 함께 모여 웹3 산업의 현황과 미래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스트포인트’는 한국을 디지털자산 산업의 중심지이자 전통 금융과 디지털자산의 글로벌 허브로 발전시키기 위한 프라이빗 웹3 콘퍼런스로, 참석자는 사전 초청을 통해서만 입장할 수 있다. 올해 행사에는 글로벌 블록체인 및 디지털자산 관련 주요 프로젝트와 대기업, 기관 투자자, 정책 관계자들이 대거 초청된다. 행사는 △라운드테이블(Roundtable) △B2B 매치메이킹(B2B Matchmaking) △지식 공유(Knowledge Sharing) △소셜 개더링(Social Gathering) 등 네 가지 주요 세션으로 구성된다. 핵심 프로그램인 ‘라운드테이블’은 초청된 참석자들이 직접 비공개 환경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자리이며, ‘B2B 매치메이킹’은 참석자 간의 실질적인 협업을 촉진하는 1대1 미팅 형식으로 진행된다. ‘지식 공유’ 세션에서는 디지털자산 인프라, 토큰증권(STO) 및 실물자산 토큰화(RWA), AI와 디지털자산의 결합, 스테이블코인, 규제 친화적 탈중앙화 금융(Compliant DeFi) 등의 최신 이슈들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소셜 개더링’은 스피커 디너와 네트워킹 라운지 등을 통해 참석자들이 보다 편안하게 교류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해시드 김서준 대표는 “이스트포인트는 콘퍼런스를 넘어 글로벌 마켓의 정책 결정자와 시장 리더들이 규제와 기술의 접점을 함께 설계해 나가는 장이 될 것”이라며 “한국이 기관 디지털자산 시장의 전략적 관문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대화와 파트너십 탄생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
- IT
- 블록체인
-
해시드, Web3 미래 논의하는 ‘EastPoint:Seoul 2025’ 개최
-
-
도브러너 글로벌 정보 보안 컴플라이언스 기준인 ‘SOC 2 Type II’ 득
- 도브러너(대표 안성민)가 글로벌 정보 보안 컴플라이언스 기준인 ‘SOC 2 Type II’와 ‘HIPAA(미국 의료정보보호법)’ 인증을 모두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도브러너가 고객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글로벌 수준의 보안 체계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먼저 도브러너는 지난 4월 기업 데이터 보호 및 정보 보안 관리 체계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SOC 2 Type II 인증을 취득했다. SOC 2 Type II는 미국 공인회계사협회(AICPA)가 제정한 기준으로 일정 기간 보안 통제가 실제로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가장 높은 단계의 인증이다. 이어 최근에는 HIPAA 인증을 획득하며, 헬스케어 및 의료 산업 분야에서도 글로벌 수준의 보안 역량을 입증했다. HIPAA는 의료 정보 및 개인 건강 데이터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인증으로 원격의료 앱이나 건강 관리 서비스 등 의료 분야 파트너와의 협업에 필수적인 기준이다. 이번 인증을 위해 도브러너는 클라우드 기반 보안 컴플라이언스 플랫폼 Sprinto와 협력했다. Sprinto는 실시간 보안 통제 모니터링과 자동 증적 수집 기능을 제공하며, 감사 대응 과정을 간소화해 인증 획득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도브러너는 이번 인증을 기반으로 엔터프라이즈, 의료, 대기업 고객과의 협업 확대를 추진하며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보안 투자를 이어갈 계획이다. 한편 도브러너는 DRM, 워터마킹, 앱 보안 기술을 통합한 클라우드 기반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SaaS 기업이다. 전 세계 60여 개국, 400여 개 고객사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티빙, 네이버, AMC네트워크 등 다양한 기업이 도브러너의 콘텐츠 보안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
- IT
-
도브러너 글로벌 정보 보안 컴플라이언스 기준인 ‘SOC 2 Type II’ 득
-
-
VFGS 개발사 ‘미타운’ IBK기업은행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선정
- 미타운(대표 전상빈)이 IBK기업은행의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IBK창공(創工) 구로’ 14기에 선정됐다. 미타운은 자체 개발한 VFGS(View Flexible Gaussian Splatting) 기반의 초실감형 3D 뉴럴렌더링 기술을 통해 전문 3D 디자이너 없이도 실제 제품을 고품질 3D 콘텐츠로 자동 변환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섬유패션 산업을 중심으로 이커머스 시장의 디지털 전환을 혁신하고 있다. 특히 미타운의 ‘EVOVA 3D 쇼룸’ 서비스는 인공지능(AI) 기반 자동화 기술로 용을 절감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실제품을 다각도에서 촬영하면 단 몇 시간 내에 인터랙티브한 3D 상품 페이지를 자동 생성하는 기능이 핵심이며, 현재 국내 주요 패션 브랜드를 고객사로 확보하고 다수의 유통 대기업과 협업을 진행 중이다. 해당 기술은 최근 CES 2025에서 패션테크 부문 혁신상을 수상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지난해 서비스 출시 후 B2B 공급건 2000건 이상을 빠르게 달성하며 연말 초기 투자 유치에 성공했고, 중소벤처기업부 TIPS 프로그램에 선정,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해 R&D 역량을 강화하며 AI 사업 기반을 본격 확장하고 있다. 미타운 전상빈 대표는 “이번 IBK창공 선정을 계기로 제조, 미디어, 바이오, 금융 등 다양한 산업군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당사의 3D 뉴럴 렌더링 기술 서비스를 SaaS 플랫폼 형태로 확장하고, 글로벌 유통사와의 파트너십을 강화해 유럽 및 북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타운은 CES 2025, VIVA Tech(프랑스) 등 글로벌 테크 전시회에서 차세대 3D UX 및 콘텐츠 기술로 세계 유수의 뷰티·패션 기업 관계자들로부터 주목받고 있으며, 3D 경험에 익숙한 알파세대와 차세대 소비층을 겨냥한 새로운 커머스 플랫폼도 준비 중이다. 미타운의 기술들과 서비스는 메타버스 랩 지원사업을 포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주요 정부 부처의 지원을 통해 개발됐다.
-
- IT
-
VFGS 개발사 ‘미타운’ IBK기업은행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선정
-
-
나무소프트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공급 기업 선정
- 나무소프트(대표 우종현)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는 ‘2025년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의 공식 공급기업으로 선정됐다. 이 사업은 전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보보호 컨설팅, 보안제품, 클라우드 기반 보안서비스(SECaaS) 등을 지원해, 지역 산업의 정보보호 내재화와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나무소프트는 이번 사업을 통해 멀웨어 및 랜섬웨어 예방 솔루션 ‘파일링박스 메가2 v2’를 어플라이언스 형태로 공급한다. 파일링박스 메가2 v2는 국제 CC인증과 GS인증 1등급을 모두 획득한 국산 보안 제품으로 국내외로부터 안정성과 신뢰성을 인정받은 제품이다. 파일링박스 메가2 v2는 국제표준 기술인 X.1220(스토리지 프로텍션) 기술을 활용해 멀웨어 및 랜섬웨어의 공격으로부터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솔루션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레벨 스토리지 프로텍션 기술은 사전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요청에만 실제 파일을 제공하고 그 외에 요청에는 읽기 전용 가짜 파일을 제공함으로써 공격을 우회, 실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원천 차단한다. 이번 사업을 통해 보안 솔루션을 구축하는 기업은 소프트웨어만 따로 구매하고 별도로 운용을 위한 하드웨어를 마련해야 했던 기존 방식과 달리, 하드웨어 일체형(어플라이언스) 형태로 납품 및 구축이 진행돼 관리가 훨씬 간편해질 전망이다. 별도의 복잡한 설치 과정이나 IT 전문 인력이 없어도 쉽게 도입할 수 있어 중소기업의 보안 도입·운영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평가다. 한편 나무소프트는 2004년 설립된 보안 소프트웨어 연구 개발 전문 기업이다. 국제표준 기술 ITU-T X.1220을 개발했으며 스토리지 보호 솔루션 ‘파일링박스’ 제품군을 기업 및 기관에 공급하고 있다. 파일링박스의 원천 기술인 스토리지 프로텍션 기술은 랜섬웨어 공격이나 데이터 탈취 공격을 스토리지 관점에서 보호하는 기술로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등 주요국에 특허 등록됐다. 이는 국제표준화기구인 ITU-T에서 X.1220으로 국제표준 제정된 기술이다. 나무소프트는 스토리지 프로텍션 기술을 국내 및 해외에 전문적으로 보급 확산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에 자회사 파일링클라우드(FilngCloud)를 설립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
- IT
-
나무소프트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공급 기업 선정
-
-
위안소프트 대한체육회에 동영상 스트리밍 솔루션 공급
- 위안소프트(대표 안치성)가 대한체육회(KSOC)의 ‘미디어 서버 고도화 사업’에 자사의 동영상 스트리밍 솔루션인 위안미디어를 성공적으로 공급했다고 밝혔다. 대한체육회는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생활체육 활성화, 전문체육 발전, 국제 스포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운영되는 대한민국 대표 체육 단체이며, 이번 사업은 대한체육회의 동영상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안정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번 사업을 통해 대한체육회는 서버당 최대 300명까지 동시에 고화질 영상을 스트리밍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영상 변환 속도는 최대 8~9배 향상돼 서비스의 안정성과 효율성이 크게 높아졌다. 위안미디어는 HTML5 기반 고성능 미디어 서버 솔루션으로 LIVE/VOD를 모두 지원하는 비디오 플레이어, 스트리머, 트랜스코더, 미디어 매니저, 비디오 포탈까지 동영상 플랫폼 구축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설치 즉시 서비스할 수 있을 정도로 완성도가 높다. 위안소프트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국방부, 보건복지부, 경찰청, 국민연금공단, 서울대학교 등과 같이 대기업, 공공기관, 대학교 등 대규모 구축사례와 다양한 고객 레퍼런스를 자랑한다. 또한 위안미디어는 ‘조달청 우수조달물품’ 선정된 국가에서 인정받은 소프트웨어 제품이며, GS 1등급 인증과 국내·외 300여 고객에 의해 품질이 검증됐다. 한편 위안소프트는 비정형 멀티미디어 분야의 기술 노하우, 업무 지식, 사업 경험을 토대로 컨설팅, 제품 개발, 유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미디어 플랫폼 전문 기업이다.
-
- IT
-
위안소프트 대한체육회에 동영상 스트리밍 솔루션 공급
-
-
WIZ.AI와 Agora, 기업용 AI 에이전트 대규모 제공 예정
- 실시간 소통 및 대화형 AI 기술 분야 기업 아고라(Agora)가 WIZ.AI와 파트너십을 체결해 기업용 AI 에이전트 솔루션을 시장에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WIZ.AI는 아고라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현지 언어 지원과 맥락 이해 기능을 바탕으로 인간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업용 AI 에이전트를 대규모로 제공할 예정이다. WIZ.AI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은행, 보험, 통신 산업을 대상으로 6년 이상 현지화된 음성 AI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며 각 기업의 비즈니스 요구에 맞춘 시나리오 기반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WIZ.AI의 역량에 아고라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SDK와 대화형 AI 엔진을 결합하여 최초 고객 접점부터 데이터 분석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종합 소통 솔루션을 구현한다. 토니 자오(Tony Zhao) 아고라 CEO 겸 공동 창립자는 “이번 파트너십은 지능적이고 확장 가능하며 다국어를 지원하는 AI 에이전트 솔루션을 기업에 제공하기 위한 아고라의 노력을 보여준다”면서 “양사는 협업을 통해 전 세계 무대에서 실시간, 감성 지능형, 고가용성 AI 커뮤니케이션의 경계를 함께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WIZ.AI의 사장 겸 공동 창립자 제니퍼 장(Jennifer Zhang)은 “아고라의 초저지연 인프라와 AI 대화 흐름에 최적화된 기술은 당사의 첨단 AI 에이전트와 완벽한 조합을 이룬다”면서 “양사의 협업을 통해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고 전 세계적으로 기업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국어 AI 에이전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아고라의 대화형 AI 엔진은 개발자가 어떤 대형 언어 모델(LLM)에서든 자연스럽고 실시간으로 작동하는 음성 에이전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에이전트는 아고라의 강력한 실시간 통신(RTC) 인프라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초저지연 응답과 지능적인 대화 중단 처리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거나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도 더욱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어 나갈 수 있다고 한다. 한편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WIZ.AI는 음성 AI 사업을 하는 기업으로, 기업이 고객과의 소통을 자동화하고 개인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아고라는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개발자들이 간편하고 강력한 API를 통해 실시간 대화형 AI, 음성, 영상, 인터랙티브 라이브 스트리밍, 채팅 기능을 애플리케이션과 IoT 기기에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 IT
-
WIZ.AI와 Agora, 기업용 AI 에이전트 대규모 제공 예정
-
-
비트코인 트래저리 기업 파라택시스 홀딩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인수
- 파라택시스 홀딩스(Parataxis Holdings LLC)가 파라택시스 코리아 펀드 1호와 기타 계열사들을 통해 코스닥 상장사인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에 대해 25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고 지배 지분을 인수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사명이 ‘파라택시스 코리아’로 변경되며 코스닥 상장 지위는 그대로 유지된다. 본 거래는 회사 주주들의 승인을 포함한 종결 조건을 충족해야 최종 마무리된다. 본 거래는 디지털 자산 투자 경험이 풍부한 기관 투자자들이 주도하는 비트코인(BTC) 트레저리(treasury) 플랫폼이 한국 주식 시장에 공식 출범하는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거래의 일환으로 파라택시스 홀딩스의 창립자 겸 CEO이자, PCM의 공동창립자 겸 CEO인 에드워드 진(Edward Chin)이 파라택시스 코리아 이사회에 합류한다. PCM의 파트너인 앤드류 김(Andrew Kim)은 새롭게 출범하는 파라택시스 코리아의 CEO를 맡고 이사회에 참여한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공동창립자는 핵심 바이오텍 사업을 계속 이끌며 이사회 멤버로 활동할 예정이다. 앤드류 김은 “미국의 스트래티지(Strategy)나 일본 메타플래닛(Metaplanet)과 같은 기업들을 통해 BTC 재무 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점에 영감을 받았으며, 이 분야에 대한 기관의 관심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한국을 BTC 도입 진화 과정에서 중요한 시장으로 인식하고 있다. 건전한 기업 거버넌스와 엄격한 자본 운영 원칙을 기반으로 기관 투자자들의 BTC 접근을 지원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밝혔다. 에드워드 진 파라택시스 홀딩스 창립자 겸 CEO는 “기관 투자 기준에 부합하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국 최초의 BTC 트레저리 기업을 설립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글로벌 차원에서 BTC가 갖는 전략적 가치와 한정된 공급량을 고려할 때, 파라택시스 코리아와 같은 기업을 설립하고 BTC 재무자산을 축적해 나가는 일은 장기적으로 주주들은 물론 한국 시장에도 이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거래의 완료와 함께 파라택시스 홀딩스는 동일한 전략을 가진 또 다른 펀드 결성을 마무리하고 있으며 추가 펀드 조성도 진행 중이다. 파라택시스 홀딩스는 오는 8월 예정된 주주총회 이후 본 거래에 대한 추가 세부 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다. 본 거래에서 법무법인 세종이 파라택시스 코리아 펀드 1호의 법률 자문을, 딜로이트(Deloitte)가 금융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궤양성 대장염, 섬유화 질환, 암 치료를 위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임상 단계 바이오텍 기업이다. 2015년 설립돼 2019년 코스닥에 상장됐다. 파라택시스 캐피털 매니지먼트(Parataxis Capital Management, PCM)는 디지털 자산 분야에 특화된 멀티 전략 투자 회사다. 2019년에 설립된 PCM은 여러 혼합형 헤지펀드를 운용 중이며 기관 투자자, 패밀리 오피스, 펀드 오브 펀드(FoF), 고액 자산가를 대상으로 자문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PCM의 계열사인 파라택시스 홀딩스(Parataxis Holdings)는 BTC 트레저리 운영 및 기타 디지털 자산 투자 기회에 집중하고 있다.
-
- IT
- 블록체인
-
비트코인 트래저리 기업 파라택시스 홀딩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인수
-
-
센서타워 Playliner 인수, 게임 인사이트 관련 역량 강화
- 센서타워(Sensor Tower)는 19일 상위 모바일 게임 사이에서 라이브옵스(LiveOps) 데이터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평가받는 ‘Playliner’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센서타워는 업계에서 가장 포괄적이고 실행력 있는 게임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역량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라이브옵스는 게임의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와 개선을 진행하는 운영 방식을 의미하며, 상위 모바일 게임의 성공을 이끄는 핵심 요인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Supercell의 ‘클래시 오브 클랜’과 Microsoft/King의 ‘캔디 크러쉬사가’와 같은 장기 흥행 게임은 라이브옵스를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게임 시장의 인앱구매 수익이 250억달러에 달하는 가운데 라이브옵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이러한 장수 게임들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게임이 장기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에 있어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다. 센서타워 최고경영자(CEO)인 올리버 예(Oliver Yeh)는 “Playliner는 센서타워의 모바일 게임 솔루션에 강력한 새로운 분석 레이어를 더해준다. Playliner의 라이브옵스 데이터를 통합함으로써 센서타워는 게임 인텔리전스 분야에서 선도적 플랫폼으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이는 출시 전 시장 규모 분석부터 출시 후 사용자 참여도 및 수익화 분석까지 전 과정을 포괄한다. 또한 라이브옵스를 활용해 사용자 참여와 수익화를 끌어올리는 비게임 앱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지표를 더 폭넓은 앱 생태계에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도 기대고 있다”고 이번 인수에 대한 소감을 밝혔다. 핀란드에서 설립된 Playliner는 상위 모바일 게임 타이틀의 라이브옵스를 추적·분석해 퍼블리셔에게 이벤트 빈도, 수익화 전략, 플레이어 참여도에 대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Playliner의 창립자 겸 CEO인 Kirill Razumovskiy는 “센서타워에 합류하게 돼 매우 기쁘며, 게임 인텔리전스 분야를 선도하는 플랫폼에 라이브옵스 인사이트를 제공하게 돼 뜻깊다”며 “센서타워와 함께라면 모바일 게임이 성공의 핵심 요인을 파악하는 독보적인 인사이트를 확보하고, 이를 고객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센서타워는 모바일 앱, 디지털 광고, 리테일 미디어, 사용자 인사이트 분야에서 전 세계 주요 브랜드와 앱 퍼블리셔들이 이용하고 있는 정보 제공업체다. 센서타워는 모바일 앱과 디지털 생태계 전반에 서 기업들이 변화하는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보에 기반한 전략적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13년 설립 이래 센서타워는 마케터, 앱 및 게임 개발자들이 사용량, 참여도, 유료 획득 전략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해 모바일 앱 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 현재 센서타워의 디지털 시장 인사이트 플랫폼은 오디언스, 리테일 미디어, 디지털 광고 인사이트(옛 패스매틱스) 등으로 확장돼 브랜드와 광고주들이 웹, 소셜, 모바일 전반에서 경쟁사의 광고 전략과 오디언스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
- IT
-
센서타워 Playliner 인수, 게임 인사이트 관련 역량 강화
-
-
SK AX ‘AWS OneOLA’ 자력 획득 및 AWS 앰배서더 배출
- SK AX가 글로벌 기술 생태계에서 AI 기반 클라우드 전환 역량을 인정받으며, 클라우드 중심의 AX 리더십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SK AX(사장 윤풍영)는 18일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로부터 ‘AWS 원올라(One Optimization and Licensing Assessment, 이하 ‘OneOLA’)’ 자격을 획득하고, 동시에 ‘AWS 앰배서더(Ambassador)’를 배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SK AX가 AI 기반 클라우드 운영 전문 기업으로서 기술력과 글로벌 클라우드 생태계 내 신뢰를 동시에 입증한 결과다. 특히 이번에 선정된 AWS 앰배서더는 SK AX에 소속된 기술 인재로 고급 기술 역량은 물론 AWS 글로벌 커뮤니티 내에서 입증한 지식 공유 및 기술 확산 활동까지 인정받은 점이 높게 평가됐다. 함께 획득한 OneOLA는 AWS가 파트너의 클라우드 이전 기술력과 운영 최적화 역량을 고객 환경 기준으로 평가해 수여하는 인증이다. 단순한 인프라 이전 기술뿐 아니라 IT 자산 분석,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구조 개선, 비용 최적화 컨설팅 등 고객 맞춤형 클라우드 전략 수립 역량까지 포함한 종합 평가 결과다. SK AX는 이 인증을 통해 AWS가 요구하는 ‘글로벌 표준 클라우드 진단 체계’를 보유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임을 공식적으로 입증받았다. 이를 기반으로 SK AX는 앞으로 고객의 클라우드 전환 과정에서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환경에 대한 라이선스 최적화와 비용 절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SK AX는 자사의 멀티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엠씨엠피(MCMP)’에 AI 기술을 접목해 클라우드 운영 구조의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운영 업무의 최대 50%를 AI 기반 자동화로 전환하고, 구성원은 전략 수립 및 혁신 중심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운영 체계를 전면 재설계 중이다. 최근 선보인 ‘AI Powered Cloud 서비스’ 역시 이러한 전략의 일환이다.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보안 감시 등 운영 전반에 AI를 접목해, 고객의 IT 환경을 보다 지능적이고 경제적인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AWS의 고도화된 분석 도구와 SK AX의 AI 자동화 기술을 결합해, 비용 누수나 보안 위협을 사전에 감지하고 선제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 운영 체계를 구현하고 있다. SK AX 김용신 Cloud 사업본부장은 “이번 앰배서더 배출과 OneOLA 자격 획득은 단순한 기술 인증을 넘어, SK AX가 ‘AX를 가장 잘하는 기업’으로서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에서 신뢰와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이정표”라며 “앞으로도 AI 기반 클라우드 혁신을 지속 고도화해, 고객의 AX 여정을 선도하는 가장 신뢰받는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
- IT
-
SK AX ‘AWS OneOLA’ 자력 획득 및 AWS 앰배서더 배출
종합 검색결과
-
-
APCTP가 지원하는 AAPPS Bulletin 임팩트 팩터 5.9 획득
-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사사키 미사오 소장, 이하 APCTP)가 지원하는 국제물리학술지 AAPPS Bulletin(롱귀루 편집장)이 미국 클레리베이트(Clarivate)사의 2024년 Journal Citation Reports(JCR)에서 첫 임팩트 팩터(IF) 5.9를 획득했다. 이번 성과로 AAPPS Bulletin은 종합 물리학(Physics, Multidisciplinary) 분야 114개 저널 중 15위(Q1, 상위 13%)에 올랐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대표하는 국제물리학술지로서 위상을 공식적으로 입증했다. 특히 이번 IF 5.9는 국내 물리학 분야 JCR 등재 학술지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치라고 한다. 임팩트 팩터(IF)는 Clarivate가 매년 발표하는 JCR의 핵심 지표로, 특정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이 최근 2년간 얼마나 인용됐는지를 기준으로 학술적 영향력을 수치화한 것이다. AAPPS Bulletin의 이번 IF 5.9는 2022~2023년 동안 게재된 논문 58편이 2024년에 총 342회 인용된 결과다. AAPPS Bulletin은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학회연합회(최형준 회장, 이하 AAPPS)가 1991년 창간한 학술지로,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가 2016년부터 AAPPS 사무국을 맡아 운영하며 발간을 지원하고 있다. 물리학 전 분야를 포괄하는 연구 논문(Research Article), 리뷰 논문(Review Article), 연구 하이라이트(Research Highlight), 학계 동향(News and Views) 등을 영문으로 게재한다. 세계 최대 과학기술·의학 출판사인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사와 공동 발행하며, 오픈 액세스 저널로 누구나 자유롭게 열람하고 투고할 수 있다. AAPPS Bulletin은 2023년 Scopus*에 등재에 이어, 2024년에는 ESCI(Emerging Sources Citation Index)*에도 등재됐으며, 이번 IF 획득으로 국제 저널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했다. 이번 지표는 AAPPS Bulletin이 더 높은 단계로 도약하는 발판이 되고 있다. 사사키 소장은 “AAPPS Bulletin이 첫 IF 5.9를 획득하고 종합 물리학 분야 상위 13% 저널로 등재된 것은 지표 이상의 의미가 있다”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물리학 연구자들이 APCTP의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서로 격려한 글로벌 파트너십의 결실이자, 그동안 상대적으로 열악했던 아시아태평양 물리학 커뮤니티의 학술 플랫폼이 세계적 수준의 학술지로 도약했음을 보여주는 매우 의미 있는 성취”라고 강조했다. 롱귀루 편집장은 “이번 IF 5.9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물리학 연구자 모두가 함께 이뤄낸 결실이며, 2011년 AAPPS Bulletin의 편집장으로 첫 임기를 시작하면서 SCI 등재를 목표로 삼은 이후, 이번 ESCI 등재와 IF 획득은 그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선 결정적 진전”이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현재의 학술적 성과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SCIE 등재를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APCTP는 1996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기구(APEC) 회의를 계기로 설립됐으며, 우리나라가 유치한 국내 유일의 국제이론물리센터다. 현재 아시아태평양 지역 19개 회원국 및 35개 협력·협정기관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지금까지 300여 명의 국내외 과학 인재를 유치하고 양성해 왔다. 정부의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과 연구 협력 확대를 이어가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이론물리 및 기초과학 분야에서 공동연구와 학술 교류를 활발히 촉진하고 있다. 또한, 대중강연, 지역 과학축제,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 등 시민 대상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기초과학의 공익적 가치를 증진하고 있다.
-
- 종합
- 교육
-
APCTP가 지원하는 AAPPS Bulletin 임팩트 팩터 5.9 획득
-
-
학력 및 역량 미스매치에 따른 직장인 삶 만족도는?
- 한국 노동시장은 높은 교육열과 학력 과잉으로 인해 상당수의 고학력자가 자신의 교육 수준보다 낮은 직무에 종사하고 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지난 30일 계간지 ‘THE HRD REVIEW 28권 2호 조사·통계 브리프’를 통해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2주기 자료를 활용해 노동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직장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도 분석했다.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에서 주관하는 국제 조사로, 16~65세 성인 대상으로 역량을 비교 평가한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조사·통계 브리프 참조)는 다음과 같다.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결과, 한국은 대부분의 기술 영역에서 역량(스킬)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일부 핵심 역량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며,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의사소통 및 발표 능력이었다. 이 영역에서 한국 응답자의 33%가 부족을 호소했는데,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26%)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며, 한국 직장 내 소통 환경, 자신감 부족과 같은 요인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력 과잉자는 평균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약 4%p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미국, 이스라엘, 벨기에 플랑드르 지역, 스위스에 이어 한국의 경우 8~12%p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 직무 요구와의 일치가 높을 때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반면, 역량(스킬)의 경우에는 자신의 능력이 직무보다 높다고 인식될 때 만족도가 더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특히 역량(스킬) 부족 집단은 삶의 만족도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직무 스트레스, 불안정감, 낮은 자기효능감 등이 삶의 질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이수현 부연구위원은 “이러한 상황은 개인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제이므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이를 위한 직무 기반 채용 및 역량 중심 보상 체계 마련, 교육기관과 산업체 간 협력을 통한 전공 및 직무 연계 강화, 자기 계발 지원을 위한 직장 기반 훈련과 중장년층 대상 맞춤형 역량 강화 교육 등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1997년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와 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국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고용 분야에 대한 정책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
- 종합
- 문화
-
학력 및 역량 미스매치에 따른 직장인 삶 만족도는?
-
-
한국항공대 미국 FAA 항공정비사 자격증 교육 과정 유치
-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기술교육원이 미국 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이하 FAA) 항공정비사 자격증과 국내 항공정비사 면장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을 새롭게 시작했다. 한국항공대는 이를 위해 올해 교내 격납고에 FAA 훈련 장비 설치 및 신규 실습용 리어젯 기종 도입을 완료했고, 향후 미래 VR·AR 기반 교육을 운영할 계획이다. FAA 미국 항공정비사 자격증은 항공기의 기체(Airframe)와 기관(Powerplant) 정비, 검사, 승인 권한을 부여받는 전문 면허로 이를 보유하면 미국 내 항공정비사로 합법적으로 활동할 수 있다. 한국항공대는 지난 24일 교내에서 FAA 미국 항공정비사 자격증 전문 교육기관 현판 제막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한국항공대 허희영 총장, 최병권 사무처장, 김인규 비행교육원장, 김성길 항공기술교육원 원장, 김종복 항공기술교육원 부원장과 함께 미국 항공 전문 교육기관인 US Aviation Academy(USAA)의 저스틴 사이크스(Justin Sykes) CFO, 스콧 사이크스(Scott Sykes) 개발총괄책임자, 스토미 사이크스(Stormy Sykes) 교육책임자 등이 참석했다. FAA 인증 교육기관인 USAA는 미국 내 최대 규모의 항공 교육기관으로, 12개 캠퍼스와 200대 이상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1700명의 조종사와 정비사를 배출하고 있다. 델타항공 등 주요 항공사와 세계 최대 항공기 엔진 정비업체인 스탠다드에어로(StandardAero) 등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아시아 시장 진출의 첫 파트너로 한국항공대를 선정해 2022년 상호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양 기관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FAA 미국 항공정비사 과정은 한국항공대 항공기술교육원에서 6개월,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의 USAA에서 6개월간 진행되는 총 1년의 교육 과정이다. 한국항공대 허희영 총장은 “FAA 미국 항공정비사 과정을 한국항공대에서 운영하게 돼 매우 뜻깊다”면서 “USAA와의 공동 교육 과정이 성공적으로 정착돼 한국항공대가 아시아 지역 항공전문가 양성의 허브로 도약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USAA 저스틴 사이크스 CFO는 “한국항공대와 함께 미국 외 지역에서 최초로 FAA 미국 항공정비사 과정을 만들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제막식 후에는 한국항공대 교내 비전홀에서 ‘FAA 미국 항공정비사 자격증 및 인턴십 프로그램’을 주제로 스콧 사이크스의 특강이 진행됐다. 특강에는 한국항공대 항공기술교육원 재학생과 공과대학 항공MRO 전공 학생, 외국인 유학생 등 200여 명이 참석해 글로벌 항공정비사 취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한편 1952년 개교한 한국항공대학교는 대한민국 유일의 항공우주 종합대학이다. 항공기와 인공위성의 제작과 설계, 정비(MRO), 소프트웨어, 인공지능(AI) 등의 공학부터 운항, 항공교통관제, 물류, 경영학에 이르기까지 항공우주 전 분야를 교육하고 연구하고 있다.
-
- 종합
- 교육
-
한국항공대 미국 FAA 항공정비사 자격증 교육 과정 유치
-
-
신한카드 4157억원 규모 신디케이티드론 조달, 차입금 상환과 운영 자금으로 활용
- 신한카드(사장 박창훈)는 미화 3억달러(한화 약 4157억원) 규모의 신디케이티드론 조달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신디케이티드론이란 두 개 이상의 은행이 차관단을 구성해 공통된 조건으로 일정 금액을 빌려주는 대출 방식을 의미한다. 이번 신디케이티드론은 주관사인 HSBC를 포함해 항셍은행, OCBC은행, 신킨중앙은행 등 대만 및 중국계 총 14개 은행이 대주단으로 참여했다. 대출 조건은 미국 무위험 금리(RFR)인 SOFR에 3년물은 0.70%p, 5년물은 0.80%p를 가산한 수준에서 확정됐다. 신한카드는 대내외 시장 변동성이 높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조달 금리 대비 낮은 금리로 대규모 유동성을 확보하게 됐다. 이와 동시에 그간 해외 시장에서 자산유동화증권(ABS)과 공모 채권 발행으로 쌓아온 높은 대외신인도와 견고한 자산 건전성을 기반으로 대만 및 중국계 주요 금융기관의 대거 참여를 이끌어냈다. 신한카드는 지난 4월 홍콩과 대만 현지에서 진행한 신디케이티드론 로드쇼 당시 총 28개 투자 기관이 참석하는 등 투자자의 높은 관심과 수요를 입증한 바 있다. 신한카드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기존 차입금 상환과 운영 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신한카드 측은 이번 해외 신디케이티드론은 차입선 다각화 측면에서 해외 신규 조달원을 확보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안정적인 조달 환경 구축을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경제
- 금융
-
신한카드 4157억원 규모 신디케이티드론 조달, 차입금 상환과 운영 자금으로 활용
-
-
10대 청소년이 생각하는 행복에 필요한 요소는?
- ‘10대 창업’과 ‘10대 인플루언서’ 등 경제 활동을 하는 청소년이 늘어나면서 10대가 경제 주체이자 핵심 소비자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10대(14~18세) 중·고등학교 청소년의 소비 지출 및 진로 인식을 조사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그중 경제적 계층과 행복에 대한 인식을 집중 분석했다. 30세가 됐을 때 나의 경제적 계층은? 이번 조사에서 10대 청소년의 과반(50.6%)은 자신이 30세가 됐을 때 경제적으로 중위 계층에 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중상위(22.4%) △중하위(18.4%) △상위(6.5%) △하위(2.1%) 순이었다. 30세에 중상위층 이상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는 비율은 남학생(36.1%)이 여학생(21.2%)에 비해 높았다. 응답자들은 자신이 30세가 되더라도 부(富)의 계층 이동이 어려울 것이라고 인식했다. 현재 가정 경제 수준이 상위인 그룹은 30세에 상위(13.0%) 또는 중상위(35.6%) 계층이 될 것이라고 보는 비율이 비교적 높았고, 가정 경제 수준이 하위인 그룹은 중하위(38.5%) 계층이 될 것이라고 보는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현재 중위인 그룹은 중위 계층을 유지할 것이라고 보는 비율이 61.2%로 절반을 넘었다. 학업 성취도와 부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 현재 학업 성적이 중상위권 이상인 그룹에서는 절반(49.1%)가량이 30세에 자신의 경제적 계층을 중상위층 이상으로 예상했다. 또한 학업 성적이 중하위권 이하인 그룹에서는 10명 중 4명(40.0%)이 30세에 중하위층 이하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행복에 필요한 요소 1위 ‘재산’ 부모·절친보다 높아 10대는 대학 이외의 진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조사 결과, 향후 창업·사업 의향은 42.3%, 향후 인플루언서 활동 의향은 36.9%의 긍정 응답률이 나타나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다만 가정 경제 수준 상위층(51.0%)과 학업 성적 상위권(48.6%)인 그룹의 창업 의향이 다른 그룹에 비해 눈에 띄게 높았다. 인플루언서 활동의 경우 전반적으로 의향이 낮았으나, 이 역시 가정 경제 수준 상위층(40.9%)과 학업 성적 상위권(40.5%)인 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소폭 높았다. 집안의 경제력과 학업 성취도가 이들의 미래에 다양한 기회를 부여하고, 자신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10대 청소년이 행복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는 재산(52.1%)이 압도적인 1위였다. 이어 △부모(39.5%) △절친(34.6%) △쉼·휴식(32.8%) △외모(32.1%) △취미·취향(30.8%) △삶의 목표·꿈(30.3%) 순이었다. 전반적으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응답률이 높아, 이들이 삶에 필요로 하는 요소가 더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연인’에 대해서는 남학생(26.9%)이 여학생(18.6%)보다 훨씬 높았다. 또 학업 성적 수준이 하위권인 경우 행복을 위해 삶의 목표·꿈(36.5%)과 집(30.0%)이 필요하다고 보는 응답이 높았다. 가정 경제 수준이 하위층인 그룹은 정신력·멘탈(31.0%)을 꼽은 비율이 두드러졌다. 한편 이번 보고서를 발표한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통합 마케팅 에이전시 대학내일 소속 연구 기관이다. 20대를 가장 잘 알기 위해 MZ세대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알파세대와 X세대, 86세대 연구를 병행한다. 트렌드 사례 분석과 소비자 조사 결과, 소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트렌드와 세대를 연구하고 시장이 필요로 하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
- 종합
- 문화
-
10대 청소년이 생각하는 행복에 필요한 요소는?
-
-
오사카엑스포 한국관 누적 방문객 100만 명 돌파
- 오사카엑스포 한국관의 누적 방문객이 지난 22일 100만 명을 돌파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가 주최하고 KOTRA(사장 강경성)가 주관하는 2025 오사카엑스포 한국관은 ‘With Hearts(마음을 모아)’라는 주제로 첨단 기술과 감성적 콘텐츠가 결합된 체험형 공간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지 관람객들의 꾸준한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 중이다.
-
- 종합
- 문화
-
오사카엑스포 한국관 누적 방문객 100만 명 돌파
-
-
비트코인 트래저리 기업 파라택시스 홀딩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인수
- 파라택시스 홀딩스(Parataxis Holdings LLC)가 파라택시스 코리아 펀드 1호와 기타 계열사들을 통해 코스닥 상장사인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에 대해 25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고 지배 지분을 인수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사명이 ‘파라택시스 코리아’로 변경되며 코스닥 상장 지위는 그대로 유지된다. 본 거래는 회사 주주들의 승인을 포함한 종결 조건을 충족해야 최종 마무리된다. 본 거래는 디지털 자산 투자 경험이 풍부한 기관 투자자들이 주도하는 비트코인(BTC) 트레저리(treasury) 플랫폼이 한국 주식 시장에 공식 출범하는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거래의 일환으로 파라택시스 홀딩스의 창립자 겸 CEO이자, PCM의 공동창립자 겸 CEO인 에드워드 진(Edward Chin)이 파라택시스 코리아 이사회에 합류한다. PCM의 파트너인 앤드류 김(Andrew Kim)은 새롭게 출범하는 파라택시스 코리아의 CEO를 맡고 이사회에 참여한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공동창립자는 핵심 바이오텍 사업을 계속 이끌며 이사회 멤버로 활동할 예정이다. 앤드류 김은 “미국의 스트래티지(Strategy)나 일본 메타플래닛(Metaplanet)과 같은 기업들을 통해 BTC 재무 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점에 영감을 받았으며, 이 분야에 대한 기관의 관심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한국을 BTC 도입 진화 과정에서 중요한 시장으로 인식하고 있다. 건전한 기업 거버넌스와 엄격한 자본 운영 원칙을 기반으로 기관 투자자들의 BTC 접근을 지원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밝혔다. 에드워드 진 파라택시스 홀딩스 창립자 겸 CEO는 “기관 투자 기준에 부합하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국 최초의 BTC 트레저리 기업을 설립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글로벌 차원에서 BTC가 갖는 전략적 가치와 한정된 공급량을 고려할 때, 파라택시스 코리아와 같은 기업을 설립하고 BTC 재무자산을 축적해 나가는 일은 장기적으로 주주들은 물론 한국 시장에도 이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거래의 완료와 함께 파라택시스 홀딩스는 동일한 전략을 가진 또 다른 펀드 결성을 마무리하고 있으며 추가 펀드 조성도 진행 중이다. 파라택시스 홀딩스는 오는 8월 예정된 주주총회 이후 본 거래에 대한 추가 세부 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다. 본 거래에서 법무법인 세종이 파라택시스 코리아 펀드 1호의 법률 자문을, 딜로이트(Deloitte)가 금융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궤양성 대장염, 섬유화 질환, 암 치료를 위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임상 단계 바이오텍 기업이다. 2015년 설립돼 2019년 코스닥에 상장됐다. 파라택시스 캐피털 매니지먼트(Parataxis Capital Management, PCM)는 디지털 자산 분야에 특화된 멀티 전략 투자 회사다. 2019년에 설립된 PCM은 여러 혼합형 헤지펀드를 운용 중이며 기관 투자자, 패밀리 오피스, 펀드 오브 펀드(FoF), 고액 자산가를 대상으로 자문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PCM의 계열사인 파라택시스 홀딩스(Parataxis Holdings)는 BTC 트레저리 운영 및 기타 디지털 자산 투자 기회에 집중하고 있다.
-
- IT
- 블록체인
-
비트코인 트래저리 기업 파라택시스 홀딩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인수
-
-
시노펙스 롯데케미칼 수처리 사업 부문 인수, 수처리 토털 솔루션 확보
- 시노펙스가 롯데케미칼의 수처리 사업 부문의 인수 계약을 체결하며 정수에서 하·폐수, 재이용 등 수처리 전 분야에 사용되는 멤브레인 포트폴리오를 확보했다. 국내 유일의 수처리 분야 토털 솔루션을 구성한 것이다. 이번 계약은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기술이전을 통한 상생협력의 사례로 대기업인 롯데케미칼 물 산업 클러스터 내 수처리 사업 전체를 시노펙스가 지분 100%로 보유하고 있는 자회사인 시노펙스멤브레인에서 인수하는 영업양수도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노펙스는 향후 시노펙스멤브레인을 통해 하·폐수 처리에 사용되는 핵심 MBR(Membrane Bio Reactor 막분리활성슬러지공법) 분리막 기술과 기존 PVDF분리막, UF/MF필터 막여과 사업 부문을 통합해 산업용 필터, 수처리용 분리막과 엔지니어링 융합 서비스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노펙스멤브레인은 대구 물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한 공장(부지 3만2259㎡, 건물 5775㎡) 및 폐수처리용 수처리 분리막 연간 55만㎡ 생산 시설을 확보하게 된다. 특히 시노펙스멤브레인은 롯데케미칼이 수처리 사업의 연구개발을 통해 확보한 105개(국내 54개 해외 51개) 특허권과 국내 반도체, 디스플레이 대기업 및 관공서 등에 공급하던 영업권을 모두 이전받아 기존 사업과 연계할 경우 기술과 영업 부문에서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시노펙스는 "자사가 추구하는 것은 ‘멤브레인으로 지구환경과 인류 건강에 기여하자’는 것으로 이를 위해 수십 년간 자체적인 중공사 PVDF막 연구개발과 외부 기술 확보를 진행해 왔으며 이번에 롯데케미칼의 수처리용 PVDF 침지식막 기술까지 확보하게 돼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 수준의 멤브레인 기술 포트폴리오를 완성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시노펙스는 △대림산업의 PAN 중공사막 기술을 상용화한 벤처기업 케미코아를 인수해 PAN UF 및 기체분리막 기술 확보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를 위해 태웅 환경 기술 합병 △고난이도 폐수 수탁 처리 전문기업 위앤텍 인수 △수처리용 PVDF 가압식 막 분야의 강자인 LG화학 G-브레인막 사업 인수를 진행해 왔다. 이번에 인수하는 롯데케미칼의 수처리용 PVDF 침지식막은 주로 하수 또는 폐수에 적용되는 MBR 막 분리 공법에 사용된다. 막 분리 공법은 1990년 초에 국내 수처리 공법으로 적용되기 시작한 기술로서 기존 공법에 비해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오염물질 및 대장균 제거에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많은 장점으로 정수처리, 하·폐수 처리, 초순수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 수질기준 강화와 하수 재이용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공법으로서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노펙스는 이번 롯데케미칼의 수처리 사업 부문 인수를 계기로 기존에 보유한 MF(정밀여과), UF(한외여과), NF(나노여과) 기술과 연계한 국내 최고 수준의 멤브레인 기술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춘 통합 솔루션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GWI(Global Water Intelligence)에 따르면 정수 및 하·폐수 등 수처리에 사용되는 글로벌 멤브레인 시장 규모는 약 2.6조원 규모이며, 국내시장은 1250억원 규모다.
-
- 경제
- 기업
-
시노펙스 롯데케미칼 수처리 사업 부문 인수, 수처리 토털 솔루션 확보
-
-
국내 밀레니얼 세대의 생성형 AI 업무 활용, 글로벌 평균 보다 낮아
- 한국 딜로이트 그룹(총괄대표 홍종성)이 44개국 2만3000여 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작성한 ‘딜로이트 글로벌 MZ세대 서베이’ 리포트를 발간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MZ세대는 고등교육의 투자 가치엔 회의적이지만, 커리어 성장을 위한 역량 개발에는 꾸준히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생성형 AI 확산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한 경계심과 생활비 부담에 대한 인식도 높았다. 한국 응답자의 경우 고등교육 포기율과 AI 기술 활용도에서 글로벌 평균을 상회하는 특징을 보였다. 리포트에 따르면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Z세대의 경우 기업 내 리더십 포지션을 중요한 커리어 목표로 삼은 비율이 6%에 불과할 정도로 고위직 승진에 미온적인 반면, 성장에 대한 야망은 크다. 현 직장 입사 이유 중 톱3에 ‘배움과 성장 기회’가 포함돼 있으며 Z세대 70%, 밀레니얼 59%가 매주 최소 한 번 이상 커리어 발전을 위해 역량을 개발하는 중이다. MZ세대의 일부는 현재 교육제도가 취업 시장에 효과적으로 대비시켜 주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다. 리포트에 따르면 Z세대의 31%, 밀레니얼의 32%는 대학을 포기했다. 현재 고등교육 제도에 대해 어떤 우려를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가장 큰 걱정거리는 높은 등록금(Z세대 40%, 밀레니얼 38%)이었으나 Z세대의 35%, 밀레니얼의 37%는 교육의 질에 대해 우려하는 등 단순 비용 문제를 넘어 대학이 투자 대비 충분한 가치를 제공하는지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Z세대 57%, 밀레니얼 56%가 생성형 AI를 일상 업무에서 사용하고 있으나 생성형 AI가 일자리를 없앨 수 있다는 우려도 하고 있으며(Z세대 63%, 밀레니얼 65%) 생성형 AI가 불러오는 격변으로부터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일자리를 찾을 것이라는 응답도(Z세대 66%, 밀레니얼 68%) 높았다. MZ세대가 4년 연속 가장 크게 우려하는 문제는 ‘생활비’로, Z세대는 2022년 29%에서 2025년 39%, 밀레니얼은 36%에서 42%로 증가했다. 자신의 정신 건강을 긍정적으로 인식한 비율은 Z세대 52%, 밀레니얼 58%에 그쳤고, 각각 40%, 34%는 스트레스나 불안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직장에서 인정받는다고 느끼는 응답자 중 자신의 정신 건강을 긍정적으로 본 비율은 Z세대 61%, 밀레니얼 68%였으나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낀 경우 각각 41%와 45%로 낮았다. 직속 상사와 정신 건강을 편히 논의할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은 Z세대 62%, 밀레니얼 64%였으나 실제 지원을 기대하는 비율은 각각 58%, 59%에 그쳤고, 26%는 정신 건강 문제를 알릴 경우 상사의 차별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한국 MZ세대 516명 대상 조사 결과, Z세대 63%, 밀레니얼 56%가 주 1회 이상 커리어 발전을 위해 새 역량을 개발 중이라 답했지만, 글로벌 평균(Z세대 70%, 밀레니얼 59%)보다는 낮았다. 또 MZ세대 34%는 고등교육을 받지 않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글로벌보다 소폭 높은 수치다(Z세대 31%, 밀레니얼 32%). 그 이유로는 가족 및 개인적 상황(Z세대 31%, 밀레니얼 26%), 재정적 제약(Z세대 25%, 밀레니얼 24%) 등이 꼽혔다. 국내 Z세대 중 63%, 밀레니얼 중 53%가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글로벌 Z세대 57%, 밀레니얼 56%). 한국 Z세대는 생성형 AI를 ‘콘텐츠 제작’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한국 38%, 글로벌 37%), 특히 한국 밀레니얼은 생성형 AI를 ‘데이터 분석’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한국 50%, 글로벌 42%). 한국 MZ세대 또한 생활비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 Z세대(36%)와 밀레니얼(33%) 모두 가장 큰 걱정거리로 ‘생활비’를, 다음으로 ‘경제 성장’(각각 29%, 31%)을 꼽았다. 개인의 재정 안정성과 관련해 Z세대 57%, 밀레니얼 51%는 ‘월급으로 빠듯하게 산다’고 답했고, Z세대 46%, 밀레니얼 43%는 매달 생활비 지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MZ세대는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으로 ‘친구/가족’(Z세대 58%, 밀레니얼 68%)을, 그다음으로 ‘직장’(각각 46%, 49%)을 꼽았다. Z세대 35%, 밀레니얼 27%는 대부분의 시간 스트레스나 불안을 느낀다고 답했지만, 고용주가 직원의 정신 건강을 진지하게 고려한다고 본 비율은 각각 49%, 44%로, 글로벌 평균(Z세대 62%, 밀레니얼 61%)보다 현저히 낮았다. 김성진 한국 딜로이트 그룹 Human Capital 리더는 “MZ세대가 노동 시장의 주류로 부상한 이후 기업 입장에서는 MZ세대의 직장 인식과 AI 임팩트를 고려한 새로운 인사 전략관리가 필요해졌다”면서 “본 리포트를 통해 MZ세대를 정확하게 파악해 더 생산성 높은 기업을 위한 인사이트를 얻어가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
- 종합
- 문화
-
국내 밀레니얼 세대의 생성형 AI 업무 활용, 글로벌 평균 보다 낮아
-
-
대웅제약 태국 몬타나 마케팅과 738억원 규모 수출 계약
- 대웅제약 나보타가 태국 파트너사와 최대 규모 수출 계약을 체결하며 동남아 시장 공략을 더욱 가속화한다.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태국 파트너사인 몬타나 마케팅(Montana Marketing)과 총액 738억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대웅제약 태국 법인과 몬타나 마케팅 간 진행됐으며 기간은 5년이다. 2020년 첫 계약 대비 약 3배로 규모가 늘었다. 태국은 아시아에서 중국, 일본, 한국에 이어 네 번째로 큰 미용성형 시장으로, 최근 몇 년간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 뷰 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태국 미용성형 시장 규모는 약 14억6000만달러(한화 약 2조원)로 추정되며, 2030년까지 약 31억달러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2030년까지 예상 연평균 성장률(CAGR)이 11.6%에 달해,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기업들의 주요 타깃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나보타는 2020년 태국 시장에 첫선을 보인 이후, 꾸준히 성장해 시장 점유율을 3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등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해 왔다. 브랜드 앰버서더 선정, 정기 의료진 교육 프로그램, 핸즈온 트레이닝, 웨비나 운영 등 현지화 마케팅을 통해 의료진과 고객 접점을 강화한 것이 주효했다. 특히 대웅제약 본사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글로벌 학술 행사 ‘나보타 마스터 클래스(Nabota Master Class)’를 태국에 현지화해 의료진들에게 호평받기도 했다. 몬타나 마케팅은 태국의 의약품·헬스케어 제품 전문 유통 기업으로 현지 약 1000개 클리닉에 나보타를 독점 유통하고 있다. 필러, 리프팅 실 등 다양한 에스테틱 제품군과 함께 포트폴리오 시너지를 창출하며, 태국 전역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대웅제약은 이번 계약을 바탕으로 태국을 포함한 동남아 전체에서 △고용량 중심 복합 시술 확대 △KOL(Key Opinion Leader) 대상 교류 강화 △지속적인 고객 리텐션 마케팅 등을 통해 나보타의 영향력을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윤준수 대웅제약 나보타 사업본부장은 “이번 계약은 동남아 시장 진출 이래 최대 규모로, 태국에서의 안정적 성과를 바탕으로 인접 국가로의 확산도 가속화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현지 니즈에 부합하는 사업 전략으로 글로벌 톡신 시장에서 나보타의 영향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 경제
- 기업
-
대웅제약 태국 몬타나 마케팅과 738억원 규모 수출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