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경제 검색결과
-
-
신테카바이오 EKS 인프라, GKE 기반 환경으로 전환
- 구글 클라우드는 국내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 신테카바이오(Syntekabio)가 인프라 현대화 및 글로벌 시장 접근성 강화를 목표로, 기존에 AWS에서 운영하던 EKS 인프라를 구글 쿠버네티스 엔진(Google Kubernetes Engine, GKE) 기반 환경으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신테카바이오는 이번 협업을 바탕으로 글로벌 신약개발 시장에서 리더십 확보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양사 간 기술·인프라 협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신테카바이오는 AI를 활용해 신약후보물질 발굴과 최적화를 지원하는 기술 기업으로, 딥매처(DeepMatcher®), 네오-에이알에스(NEO-ARS®), 에이비-에이알에스(AB-ARS®) 등 독자적인 AI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통상 5년 이상 소요되는 신약후보물질 발굴 시간과 수십억 원에 달하는 비용을 단축하고, AI를 기반으로 신약개발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것이 목표다. 신테카바이오는 자체 보유한 AI 바이오 슈퍼컴퓨팅(ABS) 센터와 구글 클라우드 GPU 및 GKE 환경을 연동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GKE는 구글 클라우드의 완전 관리형 쿠버네티스 서비스로, 뛰어난 확장성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대규모 컨테이너 워크로드를 자동 관리한다. 또한 컨테이너 기반 표준화를 통해 복잡한 AI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고 일관성 있게 배포할 수 있는 강력한 환경을 제공한다. 신테카바이오는 GKE 인프라 전환을 통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AI 연구 데이터 수요를 비용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글로벌 서비스 확장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기반을 마련했다. 최근에는 구글 클라우드와 함께 고성능 GPU 자원을 필요로 하는 AI 모델 학습 및 신약후보물질 분석 워크로드를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한 기술 검증(PoC)을 완료했다. 모든 데이터와 트래픽을 암호화 처리하는 구글 클라우드의 데이터 보호 기능 또한 신테카바이오가 글로벌 제약사들이 요구하는 수준 높은 보안 및 안정성 기준을 충족하는 데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사는 인프라 협력을 넘어 AI 신약개발 분야에서도 협업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이다. 정종선 신테카바이오 대표이사는 “구글 클라우드는 AI 스타트업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뛰어난 인프라를 제공하는 데 차별화된 강점을 지녔다. 알파폴드(AlphaFold)를 비롯해 구글이 AI 신약개발 분야에서 지닌 혁신성과 전문성 또한 신테카바이오의 향후 여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구글 클라우드와 다양한 방면에서 협력하며 신테카바이오의 기술력을 해외 시장에 선보이고,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신약개발 프로세스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지기성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사장은 “구글 클라우드는 강력한 AI 인프라부터 최첨단 모델 및 플랫폼까지 독보적인 기술 우위를 통합으로 제공해 고객이 비즈니스를 전 세계로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신테카바이오가 고유한 기술 역량을 글로벌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전개하며 비즈니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경제
- 기업
-
신테카바이오 EKS 인프라, GKE 기반 환경으로 전환
-
-
슈나이더 일렉트릭 “미래 이끄는 에너지 기술 파트너 될 것”
-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권지웅)이 지난 22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글로벌 이노베이션 서밋(Global Innovation Summit)’에서 새로운 회사 비전을 발표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CEO 올리비에 블룸(Olivier Blum)은 기조연설을 통해 “모든 산업, 비즈니스에 전기화, 자동화, 디지털화를 융합해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기술을 선도한다”며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변화하는 산업의 미래를 이끄는 에너지 기술 파트너(Energy Technology Partner)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올리비에 블룸은 기후 변화와 기술 발전이 가져올 거대한 전환기를 언급하며, 기업과 산업 전반의 에너지 시스템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모든 것, 즉 지구, 사람, 기술은 모두 에너지에 달려 있다”며 “에너지는 단순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혁신과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핵심 자원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공개된 새로운 비전은 ‘전기화(Electrification)’, ‘자동화(Automation)’, ‘디지털화(Digitalization)’를 통해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를 통해 고객과 파트너가 변화하는 에너지 환경 속에서 회복력 있는 비즈니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자사의 개방형 디지털 플랫폼 ‘에코스트럭처(EcoStruxure)’를 중심으로 실시간 에너지 관리, 자동화 제어, AI 분석 기능을 통합해 고객의 운영 효율성과 자원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있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 공개된 ‘SE Advisory Services’를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성 전략, 에너지 효율화,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맞춤형 자문 서비스를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올리비에 블룸은 “다가올 에너지 전환의 시대는 어느 한 기업의 힘만으로는 극복할 수 없다”며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파트너십과 혁신을 통해 고객이 새로운 시대에 단순히 적응하는 것을 넘어 함께 번영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이어 “미래는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글로벌 이노베이션 서밋에는 전 세계 5000명 이상의 고객, 정책 결정자, 업계 리더들이 참석했으며, 약 600명의 글로벌 C레벨 임원들이 산업별 혁신과 협력을 논의했다. 행사에서는 △NVIDIA 및 EcoDataCenter와의 협력을 통한 ‘번역 플랫폼 DeepL’ AI 데이터센터 구축 △Acciona의 디지털 워터 관리 솔루션 △Sidara의 스마트 빌딩 프로젝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기술 혁신 사례가 공유됐다. 또한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세계 최초 상업용 e-메탄올 플랜트 ‘Kassø Power-to-X’ 프로젝트 지원 △산업용 디지털 트윈 솔루션 발표 △에너지 저장 시스템 ‘슈나이더 부스트 프로(Schneider Boost Pro)’ 출시 등 미래 에너지 생태계 전반에 걸친 다양한 신규 이니셔티브를 함께 공개했다.
-
- 경제
- 기업
-
슈나이더 일렉트릭 “미래 이끄는 에너지 기술 파트너 될 것”
-
-
대한전선 준법 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 37301 인증
- 대한전선이 국제적으로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경영의 우수성을 공식 인정받았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컴플라이언스 경영시스템에 대한 국제표준인 ‘ISO 37301’ 인증을 획득했다고 3일 밝혔다. ‘ISO 373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준법 경영시스템 국제표준으로, 기업이 법규 및 내부 규정을 식별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준수하기 위한 관리 체계의 수립·이행·유지·개선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이번 인증은 미국 인정기관인 ‘IAS(International Accreditation Service)’로부터 공식 인증기관인 ‘한국 준법 진흥원(KCI, Korea Compliance Initiative)’에서 발행됐다. 이번 인증을 통해 대한전선은 현재 운영 중인 컴플라이언스 시스템이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며, 윤리경영과 준법 경영을 위한 내부 통제와 리스크 관리 체계 등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대한전선은 투명하고 건전한 기업문화를 확립하기 위해 컴플라이언스 체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왔다. 전문성과 독립성을 위해 컴플라이언스 전담팀을 운영하고, 임직원의 윤리의식 및 준법정신 함양을 위한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또한 협력업체와의 공정한 거래 문화 조성을 위한 준법 서약제를 운영하는 등 리스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예방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대한전선은 이번 인증이 기업 신뢰도 제고 및 지속가능경영 기반 강화의 계기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컴플라이언스를 ESG 경영의 핵심 축으로 강화하고 임직원과 협력업체 등 모두가 준법 경영을 실천하는 컴플라이언스 문화를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한전선은 한국 ESG 기준원(KCGS)에서 실시한 ‘ESG 평가’에서 2021년 전선 업계에서 유일하게 ‘통합 A등급(우수)’을 받은 이후, 2024년까지 4년 연속 A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
- 경제
- 기업
-
대한전선 준법 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 37301 인증
-
-
애경케미칼 인도네시아 계면활성제 생산 공장 인수
- 애경케미칼이 인도네시아 계면활성제 생산 공장을 인수하며 글로벌 영토를 확장했다. 계면활성제 원료 수급 채널을 다변화하고,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생산기지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애경케미칼은 지난달 31일 베카시 티무르에 있는 에보닉(EVONIK) 인도네시아 공장 인수 절차를 마무리했다고 3일 밝혔다. 새로운 법인명은 ‘애경켐텍 인도네시아’다. 에보닉 인도네시아 공장은 임상 및 상업 생산 경험이 풍부하고 관련 기술력이 우수한 곳으로, 현지 시장에서 애경케미칼이 빠르게 자리 잡고 성장할 수 있게 해줄 최적의 매개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간 생산 가능한 계면활성제는 약 2만5000톤이다. 에보닉은 독일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의 특수 화학물질 기업 중 하나로, 인도네시아 공장은 62명의 인력이 근무 중이다. 계면활성제 종류 중 하나인 베타인을 중점적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에보닉의 베타인 생산기술은 세계 최고로 인정받는다. 우수한 품질과 높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애경케미칼은 에보닉 인도네시아 공장 인수를 계기로 계면활성제 제조 능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며 시장 내 제품 경쟁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또한 인도네시아 공장을 전진기지 삼아 아시아 시장 내 영향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글로벌 리서치 업체에 따르면 아시아 태평양 계면활성제 시장은 2032년 319억4000만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급속한 도시화와 중산층 인구 증가는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소비재에 대한 수요 증가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인구 2억8000만 명을 자랑하는 인도네시아 계면활성제 시장은 보다 빠르게 확대되는 중이다. 특히 지속 가능한 계면활성제 솔루션의 채택 증가와 친환경 화학의 발전은 시장 형성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친환경 및 바이오 기반 계면활성제에 대해 높아진 인식과 소비자 수요는 기업의 연구개발 및 투자 방향을 결정짓는 주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표경원 대표는 “생산공장을 인수하고 인도네시아를 글로벌 계면활성제 사업 영역에 추가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를 통해 아시아 지역에서 사업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인지도를 높여 영업력을 빠르게 확장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 경제
- 기업
-
애경케미칼 인도네시아 계면활성제 생산 공장 인수
-
-
우리은행 전 세계 QR 결제 서비스 위해 큐뱅과 협력
-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이 글로벌 QR 결제 네트워크 ‘ROAD’ 서비스를 운영하는 큐뱅(대표이사 강신혁)과 ‘전 세계 QR 결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제휴 계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제휴를 통해 우리은행은 ‘우리WON뱅킹’ 앱을 기반으로 큐뱅이 보유한 글로벌 QR 결제 네트워크를 활용해 해외 주요 국가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 서비스를 공동 개발·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양사는 환전 주머니 연동을 통해 고객이 중국, 일본, 동남아 등 여행지에서 실물 카드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번 제휴는 우리은행이 그동안 구축해 온 해외 ATM 출금 서비스의 경험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결제 영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한 단계다. 실물 카드가 필요 없어 분실· 도난 위험을 줄일 수 있고, 현지 수수료 부담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ROAD’ 서비스는 UnionPay, WeChat Pay, Alipay+, LINE Pay 등 주요 글로벌 결제망과의 연계를 통해 해외 가맹점 이용 편의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은행은 "실물 카드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결제하는 QR 결제 방식은 글로벌 결제 시장의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며 "이번 제휴를 통해 변화하는 시장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고객에게 보다 편리한 해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경제
- 금융
-
우리은행 전 세계 QR 결제 서비스 위해 큐뱅과 협력
-
-
배터리 산업 발전 힘쓴 엘앤에프 장성균 CPO, 산업포장 수훈
- 엘앤에프는 장성균 최고생산책임자(CPO)가 지난 30일 서울 조선팰리스에서 개최된 ‘제5회 배터리 산업의 날’ 기념식에서 배터리 산업 발전 유공자로 선정돼 정부가 수여하는 산업포장을 수훈했다고 31일 밝혔다. 산업통상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가 주관하는 ‘배터리 산업의 날’은 국가 핵심 산업인 배터리 산업의 성과와 위상을 기념하고, 산업 종사자들의 헌신과 공로를 기리기 위해 제정된 행사다. 이번 행사에는 산업부 관계자를 비롯해 배터리 산업 관련 기업 대표와 유공자 등 약 250명이 참석했다. 이번 수훈은 장성균 CPO가 국가 배터리 산업 경쟁력의 핵심인 양극활물질 개발과 소재 국산화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다. 장 CPO는 재임 동안 차세대 양극재 기술개발과 양산 체계 구축을 통해 엘앤에프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니켈 함량 95%의 울트라 하이니켈 NCMA 양극재를 개발해 2025년 3월 양산에 성공했으며, 신규 전구체 공정 개발을 통해 생산능력(CAPA)을 200% 향상시키는 성과를 달성했다. 또한 차세대 고밀도 LFP 양극재 시제품 생산에 성공함으로써 기술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글로벌 리딩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했다. 기술 혁신 측면에서는 국가 핵심기술인 양극 소재의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그 결과, 엘앤에프는 약 430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125건의 특허 등록을 완료했으며, 현재 약 120건의 특허에 대해 각국 특허청에서 심사받는 중이다. 장성균 CPO는 “국가 핵심 산업인 배터리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산업포장을 받게 돼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며 “이번 수훈은 엘앤에프 전 임직원이 함께 노력한 결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품질 개선을 통해 K-배터리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수훈 소감을 전했다. 엘앤에프는 이번 수훈은 자사의 기술개발 노력과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며, 앞으로도 차세대 양극재 기술 고도화와 생산 효율성 향상을 통해 글로벌 배터리 소재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경제
- 기업
-
배터리 산업 발전 힘쓴 엘앤에프 장성균 CPO, 산업포장 수훈
-
-
퍼시스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으로부터 ISO 37301 인증
- 퍼시스가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으로부터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준법경영시스템 ‘ISO 37301’ 인증을 취득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 28일 퍼시스 본사에서 열린 인증 수여식에는 강장진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원장과 박광호 퍼시스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 각 부문 리스크 평가자(Compliance Risk Assessor)들이 함께 참석해 인증 취득의 의미를 나눴다. ISO 37301은 기업의 윤리적이고 투명한 경영 체계가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지 평가하는 준법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으로 법규 준수, 리스크 관리, 컴플라이언스 문화 정착 등 조직 전반의 운영 수준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인증을 부여한다. 퍼시스는 윤리경영을 기업의 핵심 가치로 설정하고 전사 차원의 리스크 관리 체계 수립, 임직원 대상 정기 교육, 내부 준법 점검 시스템 강화 등을 통해 체계적인 컴플라이언스 기반을 구축해 왔다. 이번 인증은 이러한 지속적인 윤리·투명경영 노력이 국제적으로 공인된 수준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 이번 ISO 37301 인증 취득은 퍼시스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이해관계자 신뢰 강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준법경영 체계는 국내외 고객, 파트너사, 투자자 등과의 신뢰 관계를 공고히 하고 ESG 경영이 중시되는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광호 퍼시스 대표이사는 “이번 ISO 37301 인증은 퍼시스가 추구해 온 윤리경영과 투명한 기업 운영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수준의 준법경영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성장과 신뢰받는 조직 문화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퍼시스는 향후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컴플라이언스 체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윤리·투명경영을 기업 문화로 내재화해 전 임직원이 자율적으로 준법을 실천하는 조직으로 발전해 나갈 계획이다.
-
- 경제
- 기업
-
퍼시스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으로부터 ISO 37301 인증
-
-
KFSHRC 사우디 최초 유전자 및 세포치료제 생산 시설 개소 예정
- 킹 파이살 전문 병원 겸 연구 센터(King Faisal Specialist Hospital and Research Centre, 이하 KFSHRC)는 2025년 말까지 사우디아라비아 최초의 유전자 및 세포치료제 생산 시설을 개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2030년까지 약 80억리얄(약 20억달러)의 의료비 절감을 목표로 하며, 국내 수요의 약 9%를 충족하도록 설계됐다. 새 시설은 병원의 리야드 캠퍼스 내에 위치하며, 암을 공격하거나 손상된 조직을 복구하도록 환자의 세포를 재설계하는 CAR-T 세포치료제와 줄기세포치료제를 생산하게 된다. 5000제곱미터 이상의 규모로 조성되는 이 생산 시설은 16개의 모듈형 클린룸 클러스터로 구성돼 있으며, 새로운 치료 기술 발전에 따라 확장 및 전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 생산 시설은 의약품 제조를 규율하는 글로벌 기준인 우수의약품제조관리기준(GMP)에 따라 운영된다. 공기 여과부터 배치 검사에 이르기까지 모든 공정은 무균성과 안전성,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철저히 모니터링된다. 품질 관리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며, 모듈형 구조는 새로운 기술 혁신 속도에 맞춰 신속한 확장과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KFSHRC는 이미 해당 분야에서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2020년 이후 지금까지 200명 이상의 환자가 이 병원에서 CAR-T 세포치료를 받은 바 있으며, 이는 국내 생산이 본격화하기 전부터 축적된 임상 경험이다. 이번 신규 시설은 이러한 임상 기반을 강화하는 동시에 사우디 과학자 양성과 전 세계 유전자·세포치료 전문가 유치를 지원하는 보다 넓은 연구·교육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
- 경제
- 기업
-
KFSHRC 사우디 최초 유전자 및 세포치료제 생산 시설 개소 예정
-
-
그리너지 LTO 배터리 셀 제조 기술 녹색기술 인증
- 그리너지가 ‘직렬 셀프밸런싱 구조를 갖는 고출력형 파우치형 LTO 배터리 셀 제조 기술’로 녹색기술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인증은 배터리 셀 제조 기술로서는 처음으로, 에너지 저장 효율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강화한 기술력의 공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뛰어난 안전성, 빠른 충전 속도, 높은 내구성이 인정받은 결과다. 그리너지는 이번 인증을 통해 탄소 저감, 에너지 자원 소비 저감, 납축 배터리 대체 등 친환경 요소를 실현한 기술적 우수성과 시장 신뢰를 입증했다. LTO 배터리는 구조적으로 열폭주가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최근 잇따른 ESS 및 UPS 배터리 화재 우려 속에서 ‘안전 배터리’의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다. 파우치형 LTO 배터리는 얇고 유연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을 외피로 사용해 다양한 형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해체와 재활용이 용이해 소재 회수율과 친환경성이 뛰어나다. 금속 케이스에 비해 분해가 간단해 리튬, 코발트, 티타늄 등 핵심 소재를 쉽게 추출할 수 있으며, 고온 용융이나 분쇄 과정이 거의 없어 에너지 소모와 폐기물 발생을 크게 줄인다. 리튬타이타네이트를 음극에 적용해 열폭주 없이 400℃ 이상에서도 안전성을 유지하며, 충방전 시 부피 변화가 없는 제로 스트레인 구조(Zero-Strain)로 장수명과 내구성이 뛰어나다. 그리너지의 LTO 배터리는 고율방전시험(10C)에서 88.1% 효율을 기록해 고출력과 고안전성을 입증했다. 그리너지의 LTO 배터리 기술이 녹색기술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성능 향상뿐만 아니라 회수 및 재활용, 에너지 절감, 폐기물 저감까지 아우르는 혁신적 친환경 기술로 공식 인정받았다. 현재 그리너지는 UN, IEC, EN, KC, RoHS, UL 등 국내외 주요 안전 및 품질 인증을 확보했으며, 유럽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 가정용 및 인프라용 ESS를 수출하고 있다. 특히 영국 합작법인 Titanvolt와 공동으로 추진 중인 Hyspeed 프로젝트는 영국 정부와 주요 에너지 기업이 주도하는 탄소중립형 스마트 모빌리티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그리너지는 2028년부터 영국 현지 합작법인 Titanvolt를 통해 LTO 배터리를 라이선스 생산하고, 스마트시티 및 교통 인프라용 ESS 공급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국내 배터리 산업이 전기차 케즘, ESS 화재, 글로벌 경쟁 심화로 복합 위기를 겪는 가운데 해외 시장을 개척한 그리너지의 성과는 K-배터리의 저력과 기술 자립의 상징으로 평가된다. 그리너지는 이번 녹색기술 인증을 발판으로 삼아 고출력·고안전 LTO 기술의 글로벌 상용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
- 경제
- 기업
-
그리너지 LTO 배터리 셀 제조 기술 녹색기술 인증
-
-
GS 허태수 회장 각국 기업인들과 AI 등 산업계 현안 논의 계획
- GS그룹 허태수 회장은 오는 29일부터 31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 참석해 AI(인공지능)와 에너지 전환 등 글로벌 산업계의 주요 현안을 놓고 각국 기업인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허 회장은 개막식을 비롯해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맷 가먼 AWS CEO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 수장들의 연설을 청취하고 주요 네트워킹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또 APEC CEO 서밋 참석을 위해 방한한 해외 경제인들과의 개별 및 소규모 회동 일정도 예정돼 있다. 한편 GS그룹은 행사 기간 행사장 안팎의 대형 스크린을 통해 ‘그룹의 AI 혁신과 미래 성장’을 주제로 한 영상을 상영한다. GS칼텍스는 ‘미래 에너지 전환’을 주제로 한 홍보 부스를 운영하며, GS리테일은 부대행사인 퓨처테크 포럼에 참여한다.
-
- 경제
- 기업
-
GS 허태수 회장 각국 기업인들과 AI 등 산업계 현안 논의 계획
IT 검색결과
-
-
세온이앤에스 AII 적용한 안전분석 시스템 구축 결과 발표
- 세온이앤에스(대표 정태하)는 오는 12일부터 13일 부산 시그니엘호텔에서 열리는 ‘KSNC × ASCON 2025’에서 AII(AI Integration in Engineering) 개념을 적용한 초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안전분석 시스템 시범 구축 결과를 발표한다. AII는 단순히 AI를 도입하는 기술적 접근이 아니라 AI를 엔지니어링 지능 체계 내부에 통합해 인간과 AI가 협력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구조를 만드는 방법론이다. 이번 시범 시스템은 LLM을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와 LangGraph의 구조로 통합해 AI를 기술이 아닌 ‘지능의 일부’로 엔지니어링 체계 속에 융합한 사례다. AI가 시스템 사양서를 분석해 STPA·FMEA·FTA 등 안전분석 초안을 생성하고, 엔지니어는 그 근거를 검증·보완하는 인간-AI 협업형 프로세스를 구현했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생성된 지식은 온톨로지(Ontology)로 구축해 AI와 채팅을 함으로써 더욱 풍부한 안전 분석 지식에 대해서 질의해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아울러 AII의 4가지 필요 조건인 △투명성(Transparency) △결정성(Determinism) △인간 개입(Human-in-the-loop) △학습 능력(Learning Capability)이 시스템 전반에 반영됐다. 모든 분석은 동일 입력 시 동일 결과를 보장하고, 근거 데이터를 함께 제시해 엔지니어가 검증 가능한 구조로 설계했다. 세온이앤에스는 "AII는 AI가 인간의 판단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협업 가능한 지능으로 진화하는 과정"이라며 "이번 시스템 시범구축은 자동차 안전분석을 지식 기반에서 지능 기반으로 전환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세온이앤에스는 자동차 전장 분야를 중심으로 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기능 안전 및 보안 컨설팅, 국제 인증 대응에 특화된 엔지니어링 전문 기업이다. ASPICE, ISO 26262(기능 안전), ISO 21434(사이버 보안) 등 글로벌 표준에 기반해 실질적인 기술 적용과 고객 맞춤형 대응 전략을 제공하고 있다.
-
- IT
-
세온이앤에스 AII 적용한 안전분석 시스템 구축 결과 발표
-
-
스노우플레이크 SAP BDC 시맨틱 데이터 통합 활용 지원
-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가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기업 SAP와 협력해 기업들이 스노우플레이크 AI 데이터 클라우드와 SAP 비즈니스 데이터 클라우드(Business Data Cloud, 이하 BDC)의 시맨틱 데이터를 통합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 협업으로 스노우플레이크의 데이터 및 AI 플랫폼은 SAP 고객들에게 더욱 확장된 서비스를 지원한다. 새롭게 선보인 ‘SAP 스노우플레이크(SAP Snowflake)’는 SAP의 풍부한 시맨틱 데이터에 대한 전문성과 AI·ML 구축을 위한 스노우플레이크 AI 데이터 클라우드 역량을 결합한 솔루션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 복제 없이 데이터를 공유하며 엔터프라이즈급 AI 앱을 구축하고 AI 기반 비즈니스 혁신을 가속할 수 있다. SAP 스노우플레이크는 2026년 1분기에 정식 출시(GA)될 예정이다. SAP 스노우플레이크는 스노우플레이크를 SAP BDC의 개방형 데이터 생태계와 비즈니스 데이터를 통합해 기업에 한층 높은 수준의 개방성과 선택권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SAP BDC 환경에서도 스노우플레이크의 AI, 분석, 데이터 엔지니어링, 마켓플레이스, 협업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두 플랫폼을 클라우드 규모의 컴퓨팅 및 스토리지 환경으로 확장해 데이터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처럼 SAP 스노우플레이크로 구축된 통합 환경을 기반으로 기업은 신뢰할 수 있는 AI 데이터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통합 비즈니스 데이터 패브릭 위에서 모델링, 데이터 엔지니어링, 분석, AI·ML 워크플로우 전반에 걸쳐 실시간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으며, AI 거버넌스를 단순화하고 조직 고유의 정보를 반영한 맞춤형 AI 에이전트 및 지능형 애플리케이션을 시맨틱 데이터를 활용해 설계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미션 크리티컬한 비즈니스 데이터로 신뢰성 높은 데이터 인프라를 마련함으로써 기업은 AI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빠르게 개발, 배포, 최적화해 혁신 속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더불어 SAP BDC와 스노우플레이크 간 데이터 복제 없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는 제로 카피 기능을 통해 SAP 및 비SAP 데이터를 단일 거버넌스 환경에서 일관되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접근성과 보안을 유지하면서 워크로드 전반의 총소유비용(TCO)을 최적화할 수 있다. 한편 스노우플레이크 고객들은 ‘SAP 비즈니스 데이터 클라우드 커넥트 포 스노우플레이크(SAP Business Data Cloud Connect for Snowflake)’를 통해 SAP BDC를 사용할 수 있다. 양방향 제로 카피 데이터 접근 기능으로 SAP 시맨틱 데이터를 바로 활용할 수 있다. SAP BDC 커넥트 포 스노우플레이크는 2026년 상반기에 정식 출시(GA)될 예정이다. SAP와 스노우플레이크가 함께 선보인 솔루션은 실제 전 세계 주요 산업 현장에서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글로벌 제약 기업인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는 두 플랫폼의 통합 솔루션을 활용해 의약 연구 개발 과정 전반에 데이터와 AI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혁신을 가속하고 있다. 러셀 스미스(Russell Smith) 아스트라제네카 ERP 전환 기술 부문 부사장은 “아스트라제네카는 SAP와 스노우플레이크의 솔루션을 도입함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액세스와 처리, 분석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아스트라제네카는 데이터와 AI를 핵심 동력으로 삼아 연구개발의 속도를 높이고 환자들에게 혁신적인 치료 솔루션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크리스티안 클레이너만(Christian Kleinerman) 스노우플레이크 제품 담당 수석부사장은 “스노우플레이크는 기업들이 SAP 시스템에 있는 핵심 비즈니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앱과 AI 에이전트를 더욱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특히 제로 카피 방식을 통해 단일 거버넌스 환경 아래 데이터 복제 없이 두 플랫폼 간 데이터를 자유롭게 통합 분석할 수 있어 기업들의 AI 혁신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르판 칸(Irfan Khan) SAP 데이터·애널리틱스 부문 사장 겸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스노우플레이크를 SAP BDC에 통합함으로써 기업들이 보다 개방적이고 유연한 데이터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며 “SAP는 그동안 쌓아온 미션 크리티컬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분야의 리더십을 스노우플레이크의 데이터 플랫폼과 결합해 SAP 비즈니스 생태계 전반에서 데이터 활용을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IT
-
스노우플레이크 SAP BDC 시맨틱 데이터 통합 활용 지원
-
-
아이젠사이언스 ‘K-AI 전임상/임상 모델 개발 사업’ 공동연구개발기관 선정
- 아이젠사이언스(대표 강재우)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추진하는 대규모 R&D 사업인 ‘K-AI 전임상/임상 모델 개발’ 사업의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전임상부터 임상 단계까지의 과정을 AI로 연계 및 가속화함으로써 기존 물질 발굴 단계에 집중돼 있던 국내 AI 신약개발의 전주기 생태계를 완성하기 위해 기획된 국가적 사업이다. 이번 사업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연구원이 총괄하고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각 주관으로 참여하며, 삼진제약, 동아ST, 한미약품, 대웅제약 등 국내 대형 제약사들이 참여한다. 총 370억원 규모의 예산이 2029년까지 2단계로 나뉘어 투입된다. 아이젠사이언스는 이번 사업에서 신약개발에 특화된 ‘파운데이션 모델(Foundation Model)’을 독자적인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 플랫폼 위에서 개발한다. 파운데이션 모델은 방대한 전임상 및 임상 데이터를 학습한 거대 AI 모델로, 신약개발 전반에 걸쳐 활용될 수 있는 핵심 두뇌 역할을 한다. 특히 아이젠사이언스는 기존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K-MELLODDY)의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각 병원과 제약사 등 연구기관이 보유한 민감한 의료 데이터를 외부 유출 없이 안전하게 학습할 수 있는 연합학습 기술을 적용해 데이터 부족과 보안 문제를 동시에 해결한다. 이는 개별 기관의 데이터만으로는 불가능했던 고도화된 AI 모델 구축을 가능하게 할 전망이다. 또한 아이젠사이언스는 컨소시엄 내 다른 주관기관들이 개발하는 △중개연구 AI △역이행 연구설계 AI △동물실험 대체 AI 등 총 6종 이상의 전문 AI 소프트웨어를 유기적으로 연동하고 지휘하는 ‘AI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Agent Orchestration)’ 기술을 구현한다. 이는 마치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처럼,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AI 에이전트들이 하나의 목표를 위해 협업하도록 만들어 신약개발 임상시험 설계 과정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이다. 강재우 아이젠사이언스 대표는 “이번 K-AI 전임상·임상 모델 개발 사업은 국내 AI 신약개발이 진정한 ‘전주기 혁신’으로 나아가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아이젠사이언스는 연합학습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과 AI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데이터의 경계를 넘어 협력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 IT
-
아이젠사이언스 ‘K-AI 전임상/임상 모델 개발 사업’ 공동연구개발기관 선정
-
-
수호아이오, 모카 네트워크 및 클레바 AI와 맞손
- 프로젝트 남산(Project Namsan)을 주도하는 블록체인 기업 수호아이오(SOOHO.IO)는 모카 네트워크(Moca Network) 및 클레바 AI(Kleva AI)와의 전략적 협력을 공식 발표했다. 수호아이오에 따르면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모카 네트워크의 디지털 신원 인프라 ‘AIR Kit’과 클레바 AI의 디지털 자산 결제 레이어가 프로젝트 남산에 통합되며, 스테이블코인 결제 분야에서 규제 준수(Compliance), 프라이버시 보호(Privacy), 로열티 혁신(Loyalty Innovation)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프로젝트 남산은 스테이블코인 사용자 및 유통업체를 위한 AIR Kit 기반 신원 인증 서비스를 도입한다. AIR Kit 인프라는 프라이버시가 보호된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해 조합 가능한(Composable) 로열티 시스템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기업들은 한국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내에서 안전하고 상호운용 가능한 리워드 및 경험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수호아이오는 모카 네트워크와 협력해 클레바 AI의 포인트-크립토(Points-to-Crypto) 전환 기술을 프로젝트 남산에 통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유한 로열티 포인트를 모카 코인(MOCA Coin),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으로 직접 전환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의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수호아이오 박지수 대표이사(CEO)는 “스테이블코인이 대중적으로 채택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와 규제 당국이 그 기반 인프라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며 “수호아이오의 결제 전문성에 모카 네트워크의 디지털 신원 프레임워크와 클레바 AI의 전환 기술이 결합함으로써 프로젝트 남산은 규제 친화적이고 상호운용 가능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카 네트워크의 프로젝트 리드 Kenneth Shek은 “AIR Kit을 프로젝트 남산에 도입함으로써 결제 과정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호운용 가능한 로열티 리워드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며 “이번 협력은 디지털 신원이 실제 결제 환경에서 스테이블코인 채택을 어떻게 뒷받침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기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N21(클레바 AI 운영사)의 박재현 대표이사(CEO)는 “이번 협력을 통해 클레바 AI는 포인트-크립토 정산 레이어를 더 넓은 생태계에 제공하며, 소비자가 로열티와 디지털 자산을 직관적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방식을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수호아이오와 프로젝트 남산이 차세대 결제 및 리워드 경험을 구축하는 여정에 함께하게 돼 자랑스럽다”고 전했다. 한편 모카 네트워크는 체인 중립적 분산형 신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신원 확인을 위한 프라이버시 보호 인프라와 산업·생태계 전반에 걸친 사용자 및 데이터 상호운용성을 제공한다. 애니모카 브랜즈(Animoca Brands)가 구축한 대표적인 디지털 신원 생태계다. 모카 네트워크는 MOCA 코인을 유틸리티 및 거버넌스 토큰으로 활용한다. 한편 박지수 대표가 설립한 수호아이오는 컨센시스 벤처스(ConsenSys Ventures)로부터 투자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컨소시엄 블록체인 인프라 ‘터치스톤(Touchstone)’, 목적연동화폐 플랫폼 ‘퍼플레이스(Purplace)’, 그리고 실제 블록체인 결제를 구현하는 플래그십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스위트를 제공한다.
-
- IT
- 블록체인
-
수호아이오, 모카 네트워크 및 클레바 AI와 맞손
-
-
베트남 최대 IT 기업 FPT, 동남아 대기업의 제조업 분야 AI 전환 추진
- 베트남 최대 IT 기업 FPT코퍼레이션은 지난달 동남아시아 대기업 중 한 곳과 3000만달러 규모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제조업 분야의 AI 전환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FPT코퍼레이션은 이번 협약을 통해 향후 3년간 고객사의 제조 운영 전반에 AI를 적용하며 지능형 자율 최적화 공장을 구축한다. 20년 이상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생산 현장부터 경영 관리까지 기업 운영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고도화된 제조 AI 모델을 구현할 예정이다. AI 전환 추진 프로젝트는 3단계로 실행된다. 2025년부터 시작되는 1단계에서는 문서 처리를 위한 OCR, 제조 워크플로의 디지털화, 기계 데이터 통합, 안전 및 출결 관리를 위한 컴퓨터 비전 등의 기술을 도입해 견고한 AI 기반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둔다. 2026년 예정된 2단계에서는 AI 기반 예측, 최적화 및 시나리오 계획을 통해 운영 역량을 강화하는 데 집중한다. 해당 산업 대기업이 조달, 제조, 인력 관리 등 주요 영역에서 AI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최종 단계인 2027년부터는 AI 주도로 의사결정이 가능한 지능형 제조 생태계 구축에 집중한다. 디지털 트윈, AI 어시스턴트, 자율 에이전트 등의 기술을 도입해 운영을 간소화하고, 대화형 AI로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킬 예정이다. FPT코퍼레이션의 FPT 태국 CEO 레비 응우옌은 “FPT는 AI 선도 기업으로서 산업 AI 전환을 선도하는 데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동남아시아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중 디지털 전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FPT의 가장 중요한 시장 중 한 곳이다. FPT의 AI 기술력을 통해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스마트 제조의 새로운 기준을 세우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포춘 동남아시아 500대 기업 중 최대 IT 서비스 기업으로 인정받는 FPT는 AIA, 센트럴 그룹, 혼다, IHH 헬스케어 싱가포르, 미쓰비시, 파나소닉, RS 그룹, SCB, 유니레버 등 유수의 기업들과 협력하며 디지털 전환 파트너로서 명성을 구축해왔다. 제조업 외 은행 및 금융, 유통, 자동차, 헬스케어, 에너지, 소비재, 항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고객사를 지원하고 있다.
-
- IT
-
베트남 최대 IT 기업 FPT, 동남아 대기업의 제조업 분야 AI 전환 추진
-
-
스마일샤크 국내 기업 AX 가속화 위해 AWS와 협력
- AWS 프리미어 티어 파트너 스마일샤크(대표 장진환)는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와 국내 기업의 AI 전환(AX) 가속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 협약(SCA, Strategic Collaboration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스마일샤크는 본 협약을 통해 AI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대폭 확장하고, AWS와 협력해 산업 특화 AI 솔루션 구축, 고객 맞춤 트레이닝, 운영 지원 등 기업의 AI 도입 전 여정을 아우르는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마일샤크는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과 아마존 Q 디벨로퍼(Amazon Q Developer) 등 AWS의 첨단 생성형 AI 서비스를 활용해 국내 주요 산업 전반에서 AI 도입을 가속한다. 더불어 스마일샤크는 △지능형 IT 운영 자동화 △보안 위협 탐지 및 대응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분석 △클라우드 기반 DevOps 자동화 △AI 활용 원클릭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등을 포함한 5대 미션 크리티컬 솔루션을 선보인다. 각 솔루션은 보안성·확장성을 갖춘 AWS 클라우드 및 AI 서비스 기반으로 고객의 주요 과제(보안 이벤트 검증, 예측 분석, 업무 자동화·최적화, 실시간 IT 성능 모니터링 등)를 해결한다. 여기에 스마일샤크의 실전 구축 경험을 더해 공동 영업·클라우드 및 AI 최신 기술 트레이닝·전담 솔루션아키텍트 지원까지 아우르는 협업을 확대한다. 스마일샤크는 금융, 리테일, 법률, 교육, 공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AWS 기반 솔루션을 통해 고객의 디지털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다. 일예로 한 국내 대형 로펌은 스마일샤크 지원으로 AI 기반 AWS 네이티브 솔루션을 도입해 데이터 업무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고도화했다. 또한 정부 정책 자료, 금융 리포트, 통계 데이터 등을 자동으로 수집·정제·분석하는 AI 기반 부동산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구축해 공공·민간 데이터 통합 분석과 정책 변화·시장 트렌드 예측 등 진일보한 결정 지원과 산업 혁신을 실현하고 있다. 허정열 AWS코리아 파트너 사업 총괄은 “생성형 AI는 한국 조직의 혁신, 운영, 그리고 가치 창출 방식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AWS의 보안과 확장성을 갖춘 클라우드 인프라, 업계 최고 수준의 AI 서비스와 스마일샤크의 산업별 맞춤형 전문성을 결합해 국내 모든 규모의 기업들이 AI 도입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자신 있게 경쟁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진환 스마일샤크 대표는 “AWS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AWS의 첨단 생성형 AI 서비스와 전문 파트너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국내 고객이 미래 경쟁력을 갖춘 AI 혁신을 더욱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스마일샤크가 보유한 클라우드 구축 경험과 산업별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이 실제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창업 5년 만에 AWS 파트너사 최상위 등급인 Premier Tier가 된 스마일샤크는 지난 5월 AWS 생성형 AI 컴피턴시(Generative AI Competency)를 획득해 핵심 기술력과 고객 맞춤형 구현 실적을 공식 인정받았다. 해당 인증은 엄격한 기술 심사와 고객 사례 평가를 거쳐 부여되는 것으로, AWS 기반 생성형 AI 솔루션 설계·구현·배포까지 성공 실적을 입증한 파트너만이 받을 수 있다.
-
- IT
-
스마일샤크 국내 기업 AX 가속화 위해 AWS와 협력
-
-
Shentu Chain과 CertiK, DeSci 플랫폼 OpenMath 공동 개발
- Shentu Chain이 세계 최초의 수학 중심 탈중앙화 과학(DeSci) 플랫폼 ‘OpenMath’를 공식 출시했다. 이 플랫폼은 Shentu Chain과 CertiK이 공동으로 개발했으며, 글로벌 최대 Web3 보안 기업이자 정형 검증(Formal Verification) 분야 기업인 CertiK이 핵심 기술 지원을 제공했다. OpenMath는 연구자와 증명자가 함께 수학 문제를 제시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모든 해답은 Rocq 기반의 정형 검증 기술을 통해 결과의 논리적 타당성을 수학적 정밀도로 검증함으로써 추론의 엄밀성과 정확성을 보장한다. 아울러 플랫폼은 증명자에게 토큰화된 보상을 제공해 연구 과정에서 투명성과 인센티브 정렬을 동시에 실현한다. OpenMath는 Cosmos 기반으로 구축된 레이어 1 블록체인인 Shentu Chain 위에 배포돼 있다. Shentu Chain은 과거 CertiK 체인으로 알려졌으며, 예일대학교의 Zhong Shao 교수와 컬럼비아대학교의 Ronghui Gu 교수가 공동으로 인큐베이팅한 프로젝트다. 2021년 8월, Shentu Chain은 CertiK으로부터 공식적으로 분리돼 독립적인 주체로 운영되기 시작했으며, 이번 OpenMath 출시는 양측이 새로운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블록체인과 정형 검증을 수학적 영역에 적용하기 위한 공동 연구를 본격화한 의미 있는 행보로 평가된다. 주목할 점은 OpenMath의 출시가 DeSci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는 시점에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DeSci는 과학 지식의 생산, 자금 조달, 그리고 배포 방식을 새롭게 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존의 중앙화된 기관 중심의 폐쇄적 연구 구조에서 벗어나 Web3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개방형 협업, 투명한 자금 조달, 그리고 기여자 직접 보상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OpenMath는 오픈 액세스 출판, P2P 자금 조달 모델, 연구 결과의 공개 검증 등 DeSci의 핵심 원칙을 충실히 구현하고 있다고 한다. OpenMath는 모든 연구 과정을 블록체인 상에 투명하고 변경 불가능한 형태로 기록함으로써 제도적 장벽을 제거하고 연구 결과의 추적 가능성을 보장한다. 또한 ‘2단계 제출 메커니즘(Two-phase Submission Mechanism)’을 도입해 증명자의 지식 재산권(IP)을 보호하는 동시에 전 세계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OpenMath는 자사의 생태계가 ‘커뮤니티 주도, 검증 가능, 참조 가능, 추적 가능’ 이라는 네 가지 핵심 원칙을 기반으로 설계됐다고 밝혔다. 이러한 구조는 글로벌 수학 연구 협업을 활성화하고, 학문적 발견의 속도를 가속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OpenMath는 첨단 수학 난제 해결과 응용 분야 확장에 집중하며, 보다 공정하고 효율적인 연구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발전을 이어갈 예정이다. 한편 예일대와 컬럼비아대 교수 두 명이 2018년에 설립한 CertiK은 학계 최첨단의 혁신 기술을 산업에 적용함으로써 기업이 중요한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을 충분히 안전하고 올바른 환경에서 구축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CertiK에 따르면 현재 4100개 이상의 기업과 협력해 7만 개 이상의 블록체인 코드 취약점을 탐지했으며, 3700억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호했다고 한다. 고객으로는 Aptos, Ripple, Sandbox, Polygon, BNB Chain 및 TON과 같은 주요 프로젝트 등이 있다. CertiK은 Insight Partners, Sequoia, Tiger Global, Coatue Management, Lightspeed, Advent International, SoftBank, Hillhouse Capital, Goldman Sachs, Coinbase Ventures, Binance, Shunwei Capital, IDG Capital, Wing, Legend Star, Danhua Capital 등 VC들에게 투자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
- IT
- 블록체인
-
Shentu Chain과 CertiK, DeSci 플랫폼 OpenMath 공동 개발
종합 검색결과
-
-
서울대 이건도 교수팀 ‘열적 디커플링’으로 고온초전도 현상 매커니즘 규명
- 서울대학교 고온초전도 연구단(단장 이건도 신소재공동연구소 연구교수)이 40년 가까이 미제로 남아 있던 고온초전도 현상의 근본 원인을 ‘열적 디커플링(Thermal Decoupling)’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설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전자 중심 이론으로는 해석되지 않던 여러 실험 결과를 모두 정량적으로 설명하는 이번 연구는 초전도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재료물리 분야의 국제학술지 ‘머티리얼즈 투데이 피직스(Materials Today Physics, IF=9.7)’에 ‘Thermal Decoupling in High-Tc Cuprate Superconductors’ 제하의 논문으로 지난 10월 27일 온라인 게재됐다. 1911년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카멜링 오네스가 발견한 ‘초전도 현상’은 전류가 저항 없이 흐르는 상태다. 이후 1957년 ‘BCS(Bardeen·Cooper·Schrieffer) 이론’을 발표해 초전도 현상의 메커니즘을 밝힌 미국의 물리학자 바딘·쿠퍼·슈리퍼가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지만, 이 이론은 섭씨 약 영하 250도(절대온도 약 25K) 이하에서만 성립되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1986년 IBM취리히연구소의 베드노르츠와 뮐러가 영하 240도에서도 초전도체가 되는 구리산화물(cuprate)을 발견한 뒤 상압·영하 140도에서도 초전도 현상이 발견된다. 따라서 전 세계의 물리학자들은 ‘왜 이렇게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가 일어나는가?’라는 질문에 오래 매달려왔다. 지난 40년 동안 많은 접근법이 실패한 건 ‘전자’에만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라고 파악한 서울대 이건도 교수팀은 층상 구조를 가진 고온 초전도체의 열적 특성에 주목한 연구로 이 난제의 해결에 도전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고온 초전도 물질은 이차원 물질이 적층된 구조며, 각 층이 서로 다른 원소로 이뤄져 층간 결합이 약한 상태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섭씨 영하 70도(절대 온도 약 200K) 이하일 때 층 사이의 열 흐름이 끊어지는 ‘열 분리(thermal decoupling)’ 현상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초전도가 실제로 일어나는 구리와 산소로 이뤄진 층은 YBCO(Yttrium barium copper oxide, 이트륨 바륨 구리 산화물로 이뤄진 고온 초전도 물질) 내부에 있고 낮은 유효온도를 유지하며 BCS 이론의 조건을 만족하지만, 실험에서 측정되는 값은 바륨과 산소로 이뤄진 표면층의 높은 온도를 반영하기 때문에 그간의 실험 결과가 기존 이론과 불일치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 유효온도 차이를 만든 핵심 요인은 바륨(Ba)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으로, 이들이 층간 이온 결합을 조절하며 열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도 규명됐다. 아울러 이론적 계산에 따르면 이 ‘온도 분리 효과’를 보정했을 때 지금까지 수수께끼로 남아 있던 저항과 온도의 선형관계(linear-T resistivity), 우에무라 관계(Uemura relation), 초전도 돔(superconducting dome), 축소된 동위원소 효과(isotope effect)가 모두 하나의 원리 하에 정량적으로 설명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학계의 오랜 난제였던 고온초전도 메커니즘 규명에 성공한 이번 연구는 반도체 중심의 기존 전자 산업을 뛰어넘는 혁신적 산업, 즉 양자소자, 전력전송, 양자 컴퓨팅, 자기부상, 에너지 저장 기술 등의 발전이 가속화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진은 상온에 근접한 초전도체 개발의 핵심 아이디어를 확보해 관련 특허를 이미 출원했으며, 머신러닝 기반의 고온 초전도 신물질 탐색 연구에 곧 착수할 계획이다. 이건도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기존의 열평형 개념을 넘어서는 새로운 물리 패러다임으로, 과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나 플랑크의 양자론이 처음 등장했을 때처럼 큰 논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곧 ‘열적 디커플링’을 직접 검증하는 실험 결과도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논문의 주저자로서 핵심 계산을 수행한 서울대 신소재공동연구소의 이성우 박사는 마법각도 꼬임 이중층 그래핀, 카고메 초전도 물질 등 다른 고온 초전도 물질에서도 ‘열적 디커플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후속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미래유망융합기술 파이오니어’ 난제도전과제 및 KISTI 슈퍼컴퓨팅 센터의 거대도전과제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
- 종합
- 교육
-
서울대 이건도 교수팀 ‘열적 디커플링’으로 고온초전도 현상 매커니즘 규명
-
-
KFSHRC 사우디 최초 유전자 및 세포치료제 생산 시설 개소 예정
- 킹 파이살 전문 병원 겸 연구 센터(King Faisal Specialist Hospital and Research Centre, 이하 KFSHRC)는 2025년 말까지 사우디아라비아 최초의 유전자 및 세포치료제 생산 시설을 개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2030년까지 약 80억리얄(약 20억달러)의 의료비 절감을 목표로 하며, 국내 수요의 약 9%를 충족하도록 설계됐다. 새 시설은 병원의 리야드 캠퍼스 내에 위치하며, 암을 공격하거나 손상된 조직을 복구하도록 환자의 세포를 재설계하는 CAR-T 세포치료제와 줄기세포치료제를 생산하게 된다. 5000제곱미터 이상의 규모로 조성되는 이 생산 시설은 16개의 모듈형 클린룸 클러스터로 구성돼 있으며, 새로운 치료 기술 발전에 따라 확장 및 전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 생산 시설은 의약품 제조를 규율하는 글로벌 기준인 우수의약품제조관리기준(GMP)에 따라 운영된다. 공기 여과부터 배치 검사에 이르기까지 모든 공정은 무균성과 안전성,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철저히 모니터링된다. 품질 관리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며, 모듈형 구조는 새로운 기술 혁신 속도에 맞춰 신속한 확장과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KFSHRC는 이미 해당 분야에서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2020년 이후 지금까지 200명 이상의 환자가 이 병원에서 CAR-T 세포치료를 받은 바 있으며, 이는 국내 생산이 본격화하기 전부터 축적된 임상 경험이다. 이번 신규 시설은 이러한 임상 기반을 강화하는 동시에 사우디 과학자 양성과 전 세계 유전자·세포치료 전문가 유치를 지원하는 보다 넓은 연구·교육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
- 경제
- 기업
-
KFSHRC 사우디 최초 유전자 및 세포치료제 생산 시설 개소 예정
-
-
베트남 최대 IT 기업 FPT, 동남아 대기업의 제조업 분야 AI 전환 추진
- 베트남 최대 IT 기업 FPT코퍼레이션은 지난달 동남아시아 대기업 중 한 곳과 3000만달러 규모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제조업 분야의 AI 전환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FPT코퍼레이션은 이번 협약을 통해 향후 3년간 고객사의 제조 운영 전반에 AI를 적용하며 지능형 자율 최적화 공장을 구축한다. 20년 이상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생산 현장부터 경영 관리까지 기업 운영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고도화된 제조 AI 모델을 구현할 예정이다. AI 전환 추진 프로젝트는 3단계로 실행된다. 2025년부터 시작되는 1단계에서는 문서 처리를 위한 OCR, 제조 워크플로의 디지털화, 기계 데이터 통합, 안전 및 출결 관리를 위한 컴퓨터 비전 등의 기술을 도입해 견고한 AI 기반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둔다. 2026년 예정된 2단계에서는 AI 기반 예측, 최적화 및 시나리오 계획을 통해 운영 역량을 강화하는 데 집중한다. 해당 산업 대기업이 조달, 제조, 인력 관리 등 주요 영역에서 AI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최종 단계인 2027년부터는 AI 주도로 의사결정이 가능한 지능형 제조 생태계 구축에 집중한다. 디지털 트윈, AI 어시스턴트, 자율 에이전트 등의 기술을 도입해 운영을 간소화하고, 대화형 AI로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킬 예정이다. FPT코퍼레이션의 FPT 태국 CEO 레비 응우옌은 “FPT는 AI 선도 기업으로서 산업 AI 전환을 선도하는 데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동남아시아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중 디지털 전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FPT의 가장 중요한 시장 중 한 곳이다. FPT의 AI 기술력을 통해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스마트 제조의 새로운 기준을 세우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포춘 동남아시아 500대 기업 중 최대 IT 서비스 기업으로 인정받는 FPT는 AIA, 센트럴 그룹, 혼다, IHH 헬스케어 싱가포르, 미쓰비시, 파나소닉, RS 그룹, SCB, 유니레버 등 유수의 기업들과 협력하며 디지털 전환 파트너로서 명성을 구축해왔다. 제조업 외 은행 및 금융, 유통, 자동차, 헬스케어, 에너지, 소비재, 항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고객사를 지원하고 있다.
-
- IT
-
베트남 최대 IT 기업 FPT, 동남아 대기업의 제조업 분야 AI 전환 추진
-
-
아태이론물리센터 전재형 사무총장, 경북과학기술대상 과학기술진흥 부문 대상 수상
- 아태이론물리센터(소장 사사키 미사오, 이하 APCTP)는 ‘2025 경북과학기술대상’ 과학기술진흥 부문 대상 수상자로 전재형 사무총장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경북과학기술대상은 과학기술의 육성과 그 문화 확산에 현저한 기여를 한 개인 또는 단체에 수여되는 상으로, 창의적인 연구개발 의욕을 고취시키고 과학기술문화 저변 확대를 위해 2001년 제정됐다. 수상자는 부문별 성과, 우수성, 그리고 지역 과학기술 발전에 대한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된다. 전재형 사무총장은 물리 연구 활동을 중심으로 기초과학 진흥 및 과학기술의 국제화에 기여하고, 우수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차세대 글로벌 리더 육성에 공헌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특히 2021년 APCTP 사무총장으로 부임해 △정부 공공사업 우수 운영을 통한 지역 과학행정 위상 제고 △APEC 기반 국제협력 확대 및 과학외교 실현 △과학문화 대중화 및 지역 인재 양성 기반 확립 등 전반적인 사업 운영과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2025 경북과학기술대상 시상식은 오는 18일 안동체육관에서 개최되는 경북과학축전 내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경북과학축전은 경상북도에서 매년 개최하는 대표적인 과학문화 축제로 다양한 전시·체험·강연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APCTP는 경북과학축전과 연계해 경북도민들을 대상으로 ‘APCTP 올해의 과학도서 저자강연’을 양일간 진행 예정이다. APCTP 사사키 미사오 소장은 “센터는 국내외 연구 활동과 국제학술 활동뿐만 아니라 지역 공동체를 위한 다양한 활동도 이어오고 있다”며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거두는 것 같다. 앞으로도 센터는 국가적 위상을 높이는 동시에 경북도민을 위한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을 함께 펼쳐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APCTP는 1996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기구(APEC) 회의를 계기로 설립된 우리나라가 유치한 국내 유일의 국제이론물리센터다. 현재 아태 지역 19개 회원국 및 36개 협력·협정기관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지금까지 300여 명의 국내외 과학 인재를 유치하고 양성해 왔다. 정부의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과 연구 협력 확대를 이어가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이론물리 및 기초과학 분야에서 공동연구와 학술 교류를 활발히 촉진하고 있다. 또한 대중강연, 지역 과학축제,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 등 시민 대상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기초과학의 공익적 가치를 증진하고 있다.
-
- 종합
- 교육
-
아태이론물리센터 전재형 사무총장, 경북과학기술대상 과학기술진흥 부문 대상 수상
-
-
Shentu Chain과 CertiK, DeSci 플랫폼 OpenMath 공동 개발
- Shentu Chain이 세계 최초의 수학 중심 탈중앙화 과학(DeSci) 플랫폼 ‘OpenMath’를 공식 출시했다. 이 플랫폼은 Shentu Chain과 CertiK이 공동으로 개발했으며, 글로벌 최대 Web3 보안 기업이자 정형 검증(Formal Verification) 분야 기업인 CertiK이 핵심 기술 지원을 제공했다. OpenMath는 연구자와 증명자가 함께 수학 문제를 제시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모든 해답은 Rocq 기반의 정형 검증 기술을 통해 결과의 논리적 타당성을 수학적 정밀도로 검증함으로써 추론의 엄밀성과 정확성을 보장한다. 아울러 플랫폼은 증명자에게 토큰화된 보상을 제공해 연구 과정에서 투명성과 인센티브 정렬을 동시에 실현한다. OpenMath는 Cosmos 기반으로 구축된 레이어 1 블록체인인 Shentu Chain 위에 배포돼 있다. Shentu Chain은 과거 CertiK 체인으로 알려졌으며, 예일대학교의 Zhong Shao 교수와 컬럼비아대학교의 Ronghui Gu 교수가 공동으로 인큐베이팅한 프로젝트다. 2021년 8월, Shentu Chain은 CertiK으로부터 공식적으로 분리돼 독립적인 주체로 운영되기 시작했으며, 이번 OpenMath 출시는 양측이 새로운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블록체인과 정형 검증을 수학적 영역에 적용하기 위한 공동 연구를 본격화한 의미 있는 행보로 평가된다. 주목할 점은 OpenMath의 출시가 DeSci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는 시점에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DeSci는 과학 지식의 생산, 자금 조달, 그리고 배포 방식을 새롭게 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존의 중앙화된 기관 중심의 폐쇄적 연구 구조에서 벗어나 Web3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개방형 협업, 투명한 자금 조달, 그리고 기여자 직접 보상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OpenMath는 오픈 액세스 출판, P2P 자금 조달 모델, 연구 결과의 공개 검증 등 DeSci의 핵심 원칙을 충실히 구현하고 있다고 한다. OpenMath는 모든 연구 과정을 블록체인 상에 투명하고 변경 불가능한 형태로 기록함으로써 제도적 장벽을 제거하고 연구 결과의 추적 가능성을 보장한다. 또한 ‘2단계 제출 메커니즘(Two-phase Submission Mechanism)’을 도입해 증명자의 지식 재산권(IP)을 보호하는 동시에 전 세계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OpenMath는 자사의 생태계가 ‘커뮤니티 주도, 검증 가능, 참조 가능, 추적 가능’ 이라는 네 가지 핵심 원칙을 기반으로 설계됐다고 밝혔다. 이러한 구조는 글로벌 수학 연구 협업을 활성화하고, 학문적 발견의 속도를 가속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OpenMath는 첨단 수학 난제 해결과 응용 분야 확장에 집중하며, 보다 공정하고 효율적인 연구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발전을 이어갈 예정이다. 한편 예일대와 컬럼비아대 교수 두 명이 2018년에 설립한 CertiK은 학계 최첨단의 혁신 기술을 산업에 적용함으로써 기업이 중요한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을 충분히 안전하고 올바른 환경에서 구축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CertiK에 따르면 현재 4100개 이상의 기업과 협력해 7만 개 이상의 블록체인 코드 취약점을 탐지했으며, 3700억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호했다고 한다. 고객으로는 Aptos, Ripple, Sandbox, Polygon, BNB Chain 및 TON과 같은 주요 프로젝트 등이 있다. CertiK은 Insight Partners, Sequoia, Tiger Global, Coatue Management, Lightspeed, Advent International, SoftBank, Hillhouse Capital, Goldman Sachs, Coinbase Ventures, Binance, Shunwei Capital, IDG Capital, Wing, Legend Star, Danhua Capital 등 VC들에게 투자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
- IT
- 블록체인
-
Shentu Chain과 CertiK, DeSci 플랫폼 OpenMath 공동 개발
-
-
AI 활용 경험과 학습 의지 한국이 일본 크게 앞서
- 한국이 AI 활용 경험과 학습 의지 모두에서 일본을 크게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I 인지도, 사용 경험, 활용 목적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한국이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Chat GPT(챗지피티)와 Gemini(제미나이) 등 주요 AI 도구 활용률에서 격차도 뚜렷했다. 이는 PDF Guru가 한국의 틸리온 프로, 일본의 Freeasy24와 협력해 한국과 일본 직장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비교 조사 결과다. AI 도구 사용 경험 앞선 한국, 활용 단계 진입 조사 결과 AI 도구를 한 번도 사용해 본 적 없는 비율은 한국 34.8%, 일본 48.6%로, 일본이 14% 이상 높았다. 몇 번 사용해 봤다는 응답은 한국 24.2%, 일본 18%로, 한국에 있는 더 많은 사람들이 ‘첫 체험’을 넘어 실질적 활용 단계로 진입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챗지피티 사용률은 한국 36.9%, 일본 30.1%였으며, 제미나이(20.2% vs 14.7%)와 기타 AI 도구(7.9% vs 2.4%) 모두 한국이 앞섰다. 반면 일본은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46.1%로, 한국(30.8%)보다 약 15% 이상 높아 인지도 격차가 확인됐다. 한국, 업무 외 영역에서 확산세 크게 앞서 AI 활용 목적에서도 두 나라의 차이는 뚜렷했다. 업무 활용은 비슷했지만 한국은 개인적 활용(27.9% vs 17.3%), 단순 체험(24.5% vs 9.2%), 학습 목적(11.8% vs 7.7%) 등 업무 외 영역에서의 확산세가 크게 앞섰다. 이는 한국이 이미 업무 중심의 ‘생산성 도구’ 단계를 넘어 AI를 일상 속 실험과 자기 계발의 도구로 받아들이는 시장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AI가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 한국이 더 낙관적 AI가 향후 직업이나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한국은 더 낙관적이었다. ‘AI가 새로운 기회를 가져올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한국 35.4%, 일본 27.5%로 나타났으며, 향후 5년 내 변화를 ‘중간 이상’으로 예상한 응답 역시 한국이 38.5%로 일본(22.4%)을 크게 앞섰다. 또한 ‘꼭 배우고 싶다’(17.3% vs 12.5%), ‘이미 알고 있다’(10% vs 5.1%) 응답에서도 한국이 앞서 AI 학습 의지와 친숙도 모두에서 우위를 보였다. AI 활용, 체험 넘어 습관화 단계로 빠르게 진입 중 PDF Guru는 한국은 이미 AI 활용에서 체험을 넘어 습관화 단계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며, 기업과 기관은 단순한 인식 제고를 넘어 PDF 요약 AI와 같은 실무형, 학습형 솔루션 제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 종합
- 문화
-
AI 활용 경험과 학습 의지 한국이 일본 크게 앞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