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경제 검색결과
-
-
라이노스 화재감지 시스템 결합한 청소 로봇 휠리 차세대 모델 발표
- AI 청소로봇 전문기업 라이노스는 자사 대표 모델인 ‘휠리(Wheelie)’ 시리즈에 이동식 열화상 화재감지 시스템을 옵션으로 결합한 차세대 모델을 상용화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휠리의 차세대 모델은 빌딩 관리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야간·무인 시간대의 화재 대응 공백을 메울 수 있어 스마트 안전도시 정책과 맞닿은 신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새 모델은 적외선·열 복합 센서를 통해 전방 10m 범위에서 촛불 크기(약 2cm)의 불씨까지 탐지한다. 탐지 절차는 △순찰 중 열원 감지 △AI 분석 △자체 경보 발령 △관제실 실시간 전송 △3D 맵 발화 위치 표시 순으로 진행된다. 이는 기존 천장 고정형 감지기의 사각지대를 보완하며, 특히 야간·무인 시설에서의 대응력을 크게 높인다. 지난주 서울 강남의 한 오피스 빌딩에서 진행된 시범 운행에서 차세대 휠리는 불 꺼진 로비를 주행하다가 휴지통 속 작은 담뱃불을 감지해 경보를 발령했다. 관제실 모니터에는 ‘화재 의심’ 알림과 함께 로봇 위치가 표시됐고, 직원이 출동해 즉시 불씨를 제거했다. 이에 빌딩 관리자는 청소와 안전을 동시에 책임지는 새로운 솔루션이라고 평가했다. 청소 기능도 한층 강화됐다. 시간당 최대 1200㎡의 청소, 하루 평균 11km 주행이 가능하며 고감도 오염 센서를 활용해 청소 강도를 자동 조절한다. 특히 청소로봇의 고질적 문제였던 악취의 원인인 오수통을 세탁수통과 독립 분리해 위생성을 크게 개선했다. 또한 5가지 청소 도구를 하나에 통합해 △먼지 흡입 △물청소·롤러걸레 장착 △자동 물 보충·배수 △바닥 오염 감지·강도 조절 등 전 과정을 무인화했다. 라이노스는 로봇 1대 기준 연간 운영비 약 1억원 절감, 청결도 27% 향상, 청소 관련 민원 50% 감소 효과가 확인된다고 설명했다. 투자 회수(ROI)는 평균 2~3년으로 추산된다. 국내 빌딩 관리 시장은 약 11조원 규모지만, 청소로봇의 도입률은 아직 5% 미만이다(한국빌딩관리협회 자료). 반면 일본·싱가포르는 주요 빌딩의 15~20%가 청소로봇을 운용 중으로, 국내 시장 성장 잠재력이 크다. 특히 고용노동부의 ‘산업재해 감축 로드맵’(2025~2029), 행정안전부의 스마트 안전도시 사업 등 정부 정책 기조와 맞물려 화재감지 청소로봇은 단순한 청소 장비를 넘어 산업 안전 장비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번 화재감지 시스템은 옵션 형태로 제공되며, 기존 산업현장에 이미 도입된 휠리 로봇에도 업그레이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라이노스는 내년 초 실내 공기질 데이터 측정 센서를 탑재한 신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현재 성남 모란역에서 공기질 변화에 따른 실증 테스트가 진행 중이다. 이와 관련 라이노스 R&D센터는 자율주행, 엘리베이터 자율탑승 등 특허를 이미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기능 업그레이드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상락 라이노스 대표이사는 “AI 청소로봇은 이제 단순한 위생 관리에서 벗어나 화재 예방과 산업 안전까지 담당하는 융합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병원·공항·지하철·물류센터 등 화재 위험도가 높은 시설에 우선 공급하고, 해외 스마트 빌딩 시장으로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라이노스는 로봇 전문 업체로, 상업용 로봇, 자율주행 로봇휠체어 등 소프트웨어와 인프라를 지원하고 서비스 로봇을 개발, 판매, 구독/공유서비스 등을 하고 있는 곳이다. 벤처 인증, 의료기기판매업, 통신판매업, 정보통신공사업 허가를 받았다.
-
- 경제
- 기업
-
라이노스 화재감지 시스템 결합한 청소 로봇 휠리 차세대 모델 발표
-
-
디지털 트윈 기업 엔젤스윙 ISO/IEC 27001:2022 인증
- 엔젤스윙이 정보보안 분야 국제표준인 ISO/IEC 27001:2022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증은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건설 솔루션의 핵심 과제인 정보보안에 대해 엔젤스윙이 글로벌 수준의 관리 체계를 갖추었음을 공인받은 결과다. 특히 한국의 엄격한 정보보호 법률을 준수하며 데이터 유출에 대한 건설 현장의 오랜 우려를 해소한다. 건설 현장의 디지털 전환 시도로 스마트 건설 기술이 확산되면서 드론 측량 데이터는 현장의 핵심 자산이 돼왔다. 하지만 드론 측량으로 획득한 3D 공간정보, 지형정보와 건설사의 BIM/CAD 도면 등 공간정보와 기업 핵심 내부 데이터들이 클라우드에 저장되고 공유되면서, 정보 유출에 대한 건설 현장의 우려도 커졌다. 특히 해외 드론 및 서버를 이용할 경우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등 국내 법규 위반 가능성과 더불어, 국가 안보와 직결된 공간정보의 유출 위험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플랜트, 반도체 공장과 같은 국가기간시설이나 민감시설의 위치, 설비 배치, 건설 현장 정보 등은 국가공간정보 보안관리대상에 포함되며, 이 시설과 관련된 3차원 공간정보, 고해상도 지도 및 항공사진 중 국가보안시설 및 군사시설이 관련된 부분은 비공개 또는 공개제한 공간정보로 분류돼 엄격한 보안 심사 및 관리 대상이다.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 보안관리규정에 따라 위치정보 및 공개제한 공간정보는 국외 반출이 금지되어 국내 서버에 저장돼야 하며, 보안 인증을 받은 인터넷 센터나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관리가 필요하다. 엔젤스윙은 이러한 건설업계의 고민에 대해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한국공간정보보호 관련 법률의 국내보관, 보안 요구 조건을 충족하는 국내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해 데이터 해외 반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이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과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등 국내 법규를 완벽히 준수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보안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한다. 이어 엔젤스윙은 정보보안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국제표준 ISO/IEC 27001:2022 인증 획득으로 국내법 준수 및 강력한 수준의 데이터 보안 유지 시스템을 다시 한번 공고히 했다. 이번 ISO/IEC 27001:2022 인증 획득은 건설 현장의 드론 측량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건설사, 발주처, 공공기관 등이 안심하고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하며 엔젤스윙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의미한다. 클라우드의 간편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물리적 보안과 논리적 보안을 동시에 적용하고, 플랫폼 간 데이터 공유 및 API 연계가 활발한 환경에서도 보안을 유지한다. ISO/IEC 27001:2022는 정보보안경영시스템(ISMS)에 대한 국제표준으로, 조직이 정보 자산 보호를 위한 정책 수립, 접근 통제, 사고 대응 및 지속적 개선 등 총 123개의 엄격한 세부 항목을 충족해야만 획득할 수 있다. 이번 인증을 통해 엔젤스윙은 드론 데이터 솔루션 제공, 디지털 트윈 생성, 그리고 재난 대응 솔루션 등 서비스 전반에 걸쳐 국제 표준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정보보호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음을 인정받았다. 엔젤스윙은 국내에서 GS건설, SK에코플랜트, CJ대한통운 건설부문 등 유수의 건설사들이 본사와 현장의 스마트건설기술 솔루션으로 도입해 왔으며 특히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같은 보안 시설에 엔젤스윙이 성공적으로 도입돼 활용되고 있다. 박원녕 엔젤스윙 대표는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정보보호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고객에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약속한다”며 “이번 인증은 엔젤스윙의 정보보호 경쟁력과 지속적인 혁신 의지를 대외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강조했다. 엔젤스윙은 앞으로도 정보보호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과 전 직원 교육을 강화하고, 최신 정보보안 트렌드와 기술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외 정보보호 규정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해 인증을 유지하며, 고객에게 신뢰성 높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엔젤스윙은 혁신 기술로 사회 및 산업 문제를 해결한다는 미션 아래 국내외 건설산업 현장에서 활발하게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드론 데이터 플랫폼 전문 기업이다.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스마트건설챌린지’ 최고기술상 2관왕부터, 글로벌 최대 지리 정보 커뮤니티 Geoawesomeness에서 선정한 ‘글로벌 지리정보 기업 Top 100’에 한국 기업 최초 2년 연속 선발, 건설 현장 500여 곳에 도입되는 등 국내외에서 공신력이 인증된 우수한 디지털 트윈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
- 경제
- 기업
-
디지털 트윈 기업 엔젤스윙 ISO/IEC 27001:2022 인증
-
-
유얼거트 제조사 이너사이드 시드 라운드에서 7억 원 유치
- 이너사이드(대표이사 이호중)가 최근 시드 라운드에서 총 7억 원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이너사이드의 첫 외부 투자 유치로, 천안과학산업진흥원, 그래비티벤처스, 충남대학교기술지주, 로우파트너스가 참여했다. 이너사이드는 이번 투자를 기반으로 신제품 R&D, 국내(자사몰, 온라인, 오프라인 등) 유통 확장 및 해외(APAC, 북미) 유통 준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너사이드에 따르면 첫 번째 제품인 ‘유얼거트(Yourgut)’ 그릭요거트는 2023년 공식 출시 후 2024년 연매출 13.7억 원(전년 대비 8배)을 기록했다고 한다. 이호중 이너사이드 대표는 “이번 투자로 맛과 장 건강을 모두 갖춘 제품을 더 연구하고 국내외 고객들이 사랑하는 차별화된 라인업을 선보일 것”이라며 “또한 지금까지는 영업·마케팅 인력과 예산 없이 부트스트랩 방식으로 성장해온 만큼 앞으로는 APAC과 북미까지 시장을 넓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
- 경제
- 기업
-
유얼거트 제조사 이너사이드 시드 라운드에서 7억 원 유치
-
-
케어벨 운영사 제로웹, 전원과 실버스타 챌린지 협약
- 디지털 라이프케어 솔루션 ‘케어벨’을 운영하는 제로웹이 사회복지법인 전원과 ‘실버스타 챌린지’ 협약을 체결하고 혼자 지내는 어르신을 위한 디지털 돌봄 기반 ESG 사회공헌 사업을 본격화한다. 이번 협약은 초고령화 사회 진입 및 1인 가구 증가라는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돌봄 공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을 활용한 ‘케어벨’ 서비스를 민간 지원으로 확대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양 기관은 상호 협력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고령자들이 안전하고 존엄한 일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민간 돌봄 모델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
- 경제
- 기업
-
케어벨 운영사 제로웹, 전원과 실버스타 챌린지 협약
-
-
솔트웨어와 아마존웹서비스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세미나’ 개최
- 솔트웨어는 오는 25일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와 함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AWS 코리아 본사에서 진행되며,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AWS 기반 클라우드 전환 전략과 생성형 AI 활용을 통한 비즈니스 혁신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는 기업의 AWS 환경 마이그레이션을 통한 기술적 이점과 AI 기술 활용으로 업무 생산성 및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킨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특히 솔트웨어는 마이그레이션 단계별 고객 사례와 함께 최근 출시한 마이그레이션 전문 서비스 ‘QMS(Quick Migration Service)’를 선보일 예정이다. QMS는 클라우드 전환을 고려하는 기업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크게 세 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고객 환경을 사전 진단하는 ‘QMA(Quick Migration Assessment)’, 마이그레이션 실행을 위한 계획 수립과 시스템 이전을 수행하는 ‘QMM(Quick Mobilize & Migrate)’, 그리고 클라우드 전환과 동시에 현대화까지 추진하는 ‘QMM+(Quick Migrate & Modernization)’가 이에 해당한다. 솔트웨어는 이 3단계 접근법을 통해 고객의 전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나아가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전략이다. 솔트웨어는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QMS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확산시키고, 국내 다수 고객사에 해당 서비스를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마이그레이션 이후 AI 기반 자동화와 운영 최적화까지 이어지는 단계별 고도화 컨설팅을 통해 고객의 클라우드 혁신을 지속 지원할 방침이다. 솔트웨어는 AWS와의 협업을 통해 고객이 겪는 전환 장벽을 낮추고, 생성형 AI를 포함한 최신 기술을 적용한 혁신 사례를 제시하겠다며, 이번 세미나가 클라우드 전환을 고민하는 기업에게 실질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 경제
- 기업
-
솔트웨어와 아마존웹서비스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세미나’ 개최
-
-
베트남 빈펄, 하나투어와 마케팅하이랜즈 및 HKG와 협약
- 베트남의 관광, 리조트,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빈펄(Vinpearl)이 하나투어, 마케팅하이랜즈, HKG(옛 한케이골프)와 공식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또 럼(To Lam)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한 양국의 고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베트남-한국 비즈니스 포럼에서 진행됐다. 빈펄과 파트너사들은 한국 내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유통망을 확대해 안정적인 고객 유입을 확보하는 한편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공고히 할 계획이다. 빈펄 영업 및 마케팅 부문 부대표 응오 티 후엉(Ngo Thi Huong)은 “이번 협력은 국제적 관광지로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적 전환점이다. 빈펄의 우수한 인프라와 서비스를 파트너들의 광범위한 유통망과 결합해 매력적인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베트남을 한국인 여행객이 선호하는 여행지로 확고히 자리매김시킬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한편 2001년 설립된 빈펄(Vinpearl)은 베트남 19개 성에 걸쳐 57개 시설을 소유 및 운영하고 있으며, 5성급 호텔과 리조트(객실 총 1만8800여 개) 34개, 빈원더스(VinWonders) 놀이공원 15개, 반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 공원 2개, 승마 아카데미 1개, 골프장 6개, 컨벤션 센터 및 극장 3개를 운영 중이다.
-
- 경제
- 기업
-
베트남 빈펄, 하나투어와 마케팅하이랜즈 및 HKG와 협약
-
-
금호타이어 SBTi로부터 2045 Net-Zero 목표 승인
- 금호타이어(대표 정일택)는 과학 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SBTi)로부터 2030년 단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2045 넷제로(Net-Zero) 목표에 대한 승인을 획득했다. SBTi는 탄소 정보공개 프로젝트(CDP),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세계자원연구소(WRI), 세계자연기금(WWF) 등이 공동 설립한 글로벌 연합 기구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파리협정의 1.5°C 시나리오에 부합하는지를 과학적으로 검증한다. 금호타이어는 SBTi 기준에 따라 2030년까지 2022년 대비 직접 배출량(Scope 1) 및 간접 배출량(Scope 2)을 42%, 기타 간접배출량(Scope 3)을 25% 감축하는 단기 목표를 수립했으며, 2045년까지 전 가치사슬(Scope 1, 2, 3)에 걸쳐 온실가스 배출량을 90% 감축하고, 전체 밸류체인에서 탄소중립(Net-Zero)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올해 4월 글로벌 탄소 에너지 관리위원회 신설하고 생산기술 총괄을 위원장으로 운영하고 있다. 글로벌 탄소 규제와 동향 분석, 글로벌 사업장별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수립과 이행 실적 관리, 재생에너지 확대 계획을 논의한다. 현재 금호타이어는 글로벌 7개 생산공장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해 전력 사용량의 11%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했다. 특히 중국 천진 공장은 2024년 기준 재생에너지 사용량을 50% 달성했으며, 직접 전력구매계약(PPA), 재생에너지 인증서(REC) 등 추가 조달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5개 사업장에서 ISO 50001 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을 완료하며 에너지 효율 개선과 통합적 탄소 감축 관리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다. 금호타이어 생산기술 총괄 김명선 부사장은 “금호타이어는 2045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제품 설계, 원재료, 생산, 운송, 사용, 폐기 단계 전반에 걸쳐 탄소중립 감축을 추진 중이다.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친환경 제품 개발 및 지속 가능한 재료 확대 등 고도화를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금호타이어는 최근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기후변화 평가’에서 B등급을 획득했으며, 협력사 공급망 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공급망 참여 평가(Supplier Engagement Assessment, SEA)’에서는 최고 등급인 A 리스트(A-List)에 선정돼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함께 공급망 전반의 ESG 관리 역량도 대외적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
- 경제
- 기업
-
금호타이어 SBTi로부터 2045 Net-Zero 목표 승인
-
-
한성특장 특장차 전손보험 도입 및 24시간 AS 상담 운영
- 한성특장(대표이사 이상우)이 업계 최초 특장차 전손보험 도입을 시행하고 24시간 A/S 상담 서비스를 통해 고객 접점을 넓힌다고 13일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한성특장은 "고객이 안심하고 자사의 특장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보상 체계를 마련했다"며 "이는 고객 서비스에 한발 더 앞서가려는 한성특장의 확고한 의지"라고 밝혔다. 한성특장은 지난 3월부터 24시간 A/S 상담 서비스를 운영하며 고객 편의를 대폭 개선했다. 늦은 저녁이나 새벽 운행이 잦은 특장차량 고객의 특성을 고려해 언제든 시간 제약 없이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한편 한성특장은 2007년 법인 설립 이래 대한민국 특장차 산업에서 활동하고 있다. 현재 4개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종합 특장차 및 가변축 전문 제작 분야에서 탁월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중대형 트럭의 가변축을 비롯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춘 맞춤형 특장차 제작에 강점을 지니고 있다.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혁신, 다년간 축적된 노하우와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중이다.
-
- 경제
- 기업
-
한성특장 특장차 전손보험 도입 및 24시간 AS 상담 운영
-
-
한전, 베트남 에너지산업공사와 원전 인력 양성 위해 맞손
- 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이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또 럼(To Lam)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의 국빈 방문을 계기로 협력 관계 구축에 나섰다. 지난 11일 한전과 베트남 국가에너지산업공사(PVN)는 용산 대통령실에서 양국 정상 임석 하에 ‘원전 분야 인력 양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는 베트남 닌투언-2 원전 사업자인 PVN이 외국 기업과 체결한 첫 원전 협력 MOU로, 공동 실무그룹 구성과 인력 양성 프로그램 공동 개발·운영 등을 통해 베트남의 원전 전문 인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베트남이 원전 도입을 재개하며 인력 양성을 중요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이번 협력은 베트남의 니즈에 부응하고, 실질적인 사업 참여 기반을 더욱 강화하는데 의미가 있다. 12일에는 한전 김동철 사장과 PVN 회장이 면담을 갖고, 한전의 원전 사업 역량을 소개하며 양사 실무 채널 가동을 통한 협력 확대 방안을 폭넓게 논의했다. 이날 김동철 사장은 “한전은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사업 역량을 기반으로 베트남 원전 사업을 신속히 추진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베트남의 원전 협력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요청 사항에 대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오후에는 또 럼 총 서기장과 15개 국내기업 간담회가 열렸으며, 한전은 공기업 중 유일하게 참여했다. 한전은 이 자리에서 베트남 내 대규모 발전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원전과 신재생, 에너지 신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강화 방안을 제시했고, 베트남 측은 이에 깊은 관심을 표했다. 마지막 날인 13일에는 PVN 회장과 경영진 등 베트남 원전 관계자 18명이 울산 새울원자력본부를 방문해 한국형 원전 설비와 운영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한전은 이번 국빈 방문을 계기로 베트남이 추진하고 있는 원전 사업의 수주 가능성을 한층 높였으며,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다각적인 수주 활동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
- 경제
- 기업
-
한전, 베트남 에너지산업공사와 원전 인력 양성 위해 맞손
-
-
이노카, 범한유니솔루션과 배터리팩 및 긴급 호출 시스템 공동 개발
- 이노카(대표 김광희)는 범한유니솔루션(대표 박기욱)과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고 화재 등 긴급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배터리팩 및 긴급 호출 시스템을 공동 개발하고 시제품에 대한 성능 평가를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은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이상 상태를 저위험, 고위험, 열폭주 발생 3단계로 구분해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단계별 이상 발생 시 차량 운전자, 차주, 차량 제작사 및 소방서에 자동으로 신고가 이뤄지는 통합 체계를 갖추고 있어 신속한 전기차 화재 대응 및 2차 피해를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노카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이상 발생을 인식해 자동으로 긴급 호출이 가능한 이상 알림 긴급 호출 장치를 개발했으며, 범한유니솔루션은 배터리팩 및 배터리관리시스템(BMS) 기술을 바탕으로 실시간 배터리 이상 감지 및 국토부 구동축 위험도 표준 가이드라인 기반의 3단계 이상 감지 알고리즘을 구현했다. 김유원 이노카 부사장은 “이번 개발은 단순한 기술 구현을 넘어 전기차 안전 분야에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앞으로도 사람의 생명과 소중한 재산을 지키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축적된 기술력과 역량을 바탕으로 전기차 안전 기술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종복 범한유니솔루션 이사는 “전기차 보급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에 선보인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실질적 해답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앞으로도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전 중심의 전기차 배터리팩 기술 개발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양사는 본 시스템을 기반으로 향후 국내외 전기차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완성차 및 특장차 제작사, 관련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전기차 관련 공공 안전 인프라 연계 강화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 경제
- 기업
-
이노카, 범한유니솔루션과 배터리팩 및 긴급 호출 시스템 공동 개발
IT 검색결과
-
-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 설계 기술력 갖춘 수호아이오, 무역센터 테스트베드 실증사업 진행
- 수호아이오(대표 박지수)가 한국무역협회와 코엑스 MICE클러스터 위원회가 주관하는 ‘2025년 무역센터 테스트베드 실증사업’의 기업으로 선정됐다. 최근 스테이블코인 육성책이 확산되고 디지털자산기본법 발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수호아이오는 스테이블코인과 목적 기반 화폐(PBM, Purpose Bound Money) 기술을 실제 구현해 낸 기업으로서 정책적 변화를 선도할 역량을 인정받았다. 수호아이오가 제안한 실증 사업은 그랜드코리아레저(GKL) 세븐럭카지노를 대상으로 한 △AI 에이전트 기반 고객별 맞춤형 마케팅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 설계 △목적 기반 화폐(PBM) 기반의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관광 바우처 설계다. GKL의 실증 사업에 수호아이오가 후보로 선정된 것은 스테이블코인과 PBM 기반 민관 협력 생태계 형성의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수호아이오는 한국은행 CBDC 프로젝트에서 PBM 및 예금 토큰 기반 스마트 계약 검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자체 개발한 ‘터치스톤(Touchstone)’ 인프라를 통해 목적 제한형 디지털 자산의 투명하고 안전한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난 8월 1일 한국조폐공사와 ‘디지털 전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외국인 관광객 대상 디지털 신원 인증 및 PBM 결제 플랫폼 공동 개발에 나서는 등 공공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력과 사업 역량을 입증받고 있다. 아울러 컨센시스(ConsenSys)의 투자를 받은 블록체인 보안 전문기업으로서 3조원 이상의 자산을 검증한 블록체인 보안 감사 역량과 C2CC(Chain-2-Chain Communication) 크로스체인 프로토콜 등 차별화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추진과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 허용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실제 PBM과 스테이블코인 기술 구현 경험을 갖춘 수호아이오가 관련 정책 수립과 시장 표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수호아이오의 ‘터치스톤’ 인프라는 모든 거래의 실시간 기록 및 변조 방지, 정산과 증빙 작업의 자동화를 통해 공공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향후 디지털자산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지수 수호아이오 대표는 “이번 실증사업 선정은 우리의 스테이블코인과 PBM 기술력이 인정받은 결과”라며 “중앙은행 CBDC 프로젝트에서 검증된 PBM 기술을 리테일 업계에 적용해 디지털 자산 기반의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수호아이오(SOOHO.IO)는 2019년 설립된 블록체인 금융 기술 전문기업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감사, 크로스체인 브릿지 개발, 블록체인 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은행 CBDC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PBM과 스테이블코인 기술의 실용성을 입증한 국내 대표 블록체인 기업이다. 주력 제품으로는 금융기관을 위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인프라인 ‘터치스톤’, 그리고 목적 기반 화폐(PBM) 개발 플랫폼 ‘퍼플레이스(Purplace)’를 제공하며 프로그래머블 디지털 화폐의 실제 구현을 선도하고 있다. 수호아이오는 이더리움 공동창업자 조셉 루빈이 설립한 블록체인 기업 컨센시스(ConsenSys)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기업이다. 삼성SDS, SK C&C(현 SK AX), 금융보안원 등 유수의 기업 및 기관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2022년에는 글로벌 리서치기관 가트너(Gartner)가 선정한 블록체인 금융 분야 주요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
- IT
- 블록체인
-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 설계 기술력 갖춘 수호아이오, 무역센터 테스트베드 실증사업 진행
-
-
에스엠인포메이션, 에이아이데이타랩과 총판 업무 협약
- 에스엠인포메이션(대표 김유승, 이철환)과 인공지능(AI) 인프라분석시스템 전문 기업 에이아이데이타랩(대표 김형준)은 인프라 AI 분석 솔루션인 ‘AI-Analyse(에이아이어날라이저)’ 사업 강화 및 확대를 위한 조달 총판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에스엠인포메이션과 에이아이데이타랩은 이번 협약을 통해 시장과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양사의 기술과 경험을 접목해 AI 인프라분석시스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데 주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에스엠인포메이션은 △제품판매 및 마케팅 활동 △파트너 교육 지원 △고객 기술지원서비스 지원 등을 수행하며 에이아이데이타랩의 제품군을 공급하게 된다. 에이아이데이타랩 김형준 대표이사는 “AI-Analyse, I-Analyse 등의 제품군을 기반으로 Infra 관리 분야에 AI 기술을 접목하고, 급변하는 IT 산업 환경 속에서 에스엠인포메이션의 비즈니스 경쟁력과 에이아이데이타랩의 기술을 결합해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에스엠인포메이션 이철환 대표이사는 “이번 총판 계약을 통해 IT 전문 기업으로서의 포트폴리오를 더욱 강화하고 25년간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컨설팅, 운영,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신규 파트너 발굴을 통해 비즈니스를 더욱 확장해 사업 다양화를 통한 매출 증대와 수익성을 향상시키겠다”고 말했다. AI-Analyse는 시장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설계 단계부터 NMS 솔루션의 주요 기능들을 지원하는 기술적 강점은 물론 AI 분석 기능을 통한 Infra 관리의 편의성 및 직관적인 현황 파악이 가능해 공공, 금융, 의료, 일반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도입하고 있다. 한편 에스엠인포메이션은 시스템 공급 및 통합 콘솔 구축 사업을 시작으로 인프라 솔루션, 데이터 위험 관리 솔루션, 보안 솔루션, 통합 유지보수 등의 사업 부문으로 고객의 전산 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필요한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
- IT
-
에스엠인포메이션, 에이아이데이타랩과 총판 업무 협약
-
-
한국전파진흥협회 AI 인재 양성 위한 ‘메타 라마 아카데미’ 출범
- 한국전파진흥협회(RAPA, 회장 홍범식)는 AI 모델 ‘라마(Llama)’를 개발한 메타(Meta, CEO 마크 저커버그) 및 자체 사전학습 LLM ‘솔라(Solar)’를 보유한 업스테이지(대표이사 김성훈)와 협력해 ‘메타 라마 아카데미(Meta Llama Academy)’를 출범하고, 오는 9월 17일까지 ‘LLM Agent & On-device AI Workshop 1기’ 교육생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는 실전형 AI 고급 인재 양성 프로그램으로 국내 AI 기업 업스테이지와 함께 차세대 AI 혁신을 주도할 전문 역량과 실무 경험을 갖춘 인재 배출을 목표로 한다. 이번에 운영되는 ‘LLM Agent & On-device AI Workshop’은 최신 생성형 AI 기술과 On-device LLM 활용 역량을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교육은 △1일차 : LLM Agent 개념과 활용 방법 체험 △2일차 : Meta Llama 모델을 활용한 모델 성능 향상 실습 △3일차 : 팀별 프로젝트를 통한 AI 서비스 개발로 진행된다. AI 개발에 관심 있는 개발자와 관련 전공자, 프로그래밍 역량을 보유한 성인이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교육생은 서류심사를 통해 지원자의 참여 의지와 전문성을 종합 평가하며, 비전공자를 위해 온라인 기초교육 자료도 제공한다. 최종 선발된 교육생에게는 전문가 강의 및 멘토링이 무료로 제공된다. 특히 3일차 팀 프로젝트에서 완성한 성과물은 Meta와 업스테이지 관계자 앞에서 직접 발표·시연할 수 있으며, 평가를 통해 최우수상 1팀(상금 100만원)과 우수상 2팀(각 50만원)을 선정한다. 수상 팀에게는 상장과 함께 우수 팀 전원에게 업스테이지 인턴십 서류전형 면제 혜택이 주어진다. 한국전파진흥협회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최신 LLM 기술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인재를 발굴·육성함으로써 국내 AI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진출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전파진흥협회 정흥보 상근부회장은 “Meta와의 협력으로 세계적 수준의 AI 기술을 국내 교육에 접목하고, 업스테이지와 함께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고급 인재를 양성할 것”이라며 “메타 라마 아카데미가 국내 AI 인재 양성 생태계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Meta 허욱 부사장은 “한국전파진흥협회와의 이번 협력은 한국 AI 인재들이 글로벌 수준의 LLM 기술을 경험하고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메타 라마 아카데미가 한국의 AI 기술 혁신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업스테이지 손해인 교육 부문 부사장은 “업스테이지는 세계 최고 수준의 모델 기술을 기반으로 참가자들이 실제 구현 가능한 AI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이번 워크숍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인재 양성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IT
-
한국전파진흥협회 AI 인재 양성 위한 ‘메타 라마 아카데미’ 출범
-
-
스테이블코인 분야 진출 나선 ‘쿠콘’ 전분기 대비 매출 감소
- 쿠콘(대표 김종현)이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실적을 공시하며 매출 167.3억원, 영업이익 46.6억원을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전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3% 감소, 6.3% 증가했다. 2025년 상반기 누적 매출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11.6% 소폭 감소한 340.4억원을 기록, 영업이익은 14.9% 증가한 90.5억원을 달성했다. 수익성 높은 서비스 중심의 매출 성장으로 영업이익이 개선됐다. 이는 대규모 일회성 프로젝트를 지양하고 수수료 매출 중심의 안정적인 사업 구조로의 전환 때문이다. 2분기 사업 부문별 매출은 데이터 사업 85.1억원, 페이먼트 사업 82.2억원으로 두 사업 간 균형 잡힌 성장세를 보였다. 카드사, 빅테크 등 대형 고객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서류 제출 API, 소유자검증 차량정보 조회 API, 컴플라이언스(AML, e-KYC) 서비스 판매가 증가하면서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개선됐다. 신규 API 영업 확대를 통한 수수료 매출 실적도 증가했다. 특히 SK텔레콤 유심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 이슈가 발생하면서 간편 인증 API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증한 점도 성장에 기여했다. 글로벌 페이 서비스는 올해 8월말부터 유니온페이, 9월 위챗페이 오픈을 시작으로 하반기에는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리퀴드 등 글로벌 페이사와 제휴해 해외 관광객이 국내 가맹점에서 기존 페이 서비스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싱가포르, 일본,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주요 핀테크 허브 시장 선점도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진출도 가속화한다. 쿠콘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11월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에 참가해 글로벌 페이 및 스테이블코인 분야의 파트너사와 전략적 제휴를 모색할 예정이다. 이로써 아시아 핀테크 허브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해 글로벌 결제·스테이블코인 인프라 핵심 사업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스테이블코인 지급결제 사업 추진을 위해 관련 업체와 다양한 협업을 검토하고 있다. 쿠콘이 가진 결제 인프라에 스테이블코인을 반영해 외국인의 국내 소비를 간편하게 지원하고, 관련 법·제도가 마련되면 글로벌 결제 유통망을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쿠콘 김종현 대표는 “수익성과 수요가 높은 데이터 서비스를 주력해 영업이익의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업권별 다양한 데이터 API 수요에 맞춰 신규 상품 출시, 글로벌 페이 및 스테이블코인 유통 인프라 구축 등 신사업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쿠콘은 투자자와의 신뢰 관계 구축과 투명한 경영 정보 공유를 위해 올해부터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IR 활동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다. 분기별 1회 C-level이 직접 주관하는 정례 IR을 개최해 경영진이 직접 사업 현황과 전략적 방향성을 투자자들에게 설명하고 있으며, 월 1회 일반투자자 및 전문투자자를 위한 NDR(Non-Deal Roadshow)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오는 8월 26일 화요일에는 2분기 정례 IR이 예정돼 있다.
-
- IT
-
스테이블코인 분야 진출 나선 ‘쿠콘’ 전분기 대비 매출 감소
-
-
애니펜, 동서울대와 AI·DX 융합인재 양성 위해 맞손
- 애니펜(대표 전재웅)이 동서울대학교(총장 유광섭)와 지역사회 AI·DX(Artificial Intelligence & Digital Transformation)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업무 협약식은 지난 12일 동서울대학교에서 양측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애니펜과 동서울대학교는 AI·DX 기반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공동 운영해 지역 내 AI·DX 융합인재 양성과 혁신 생태계 구축에 협력할 계획이다. 애니펜은 AI·DX 기반 관련 교육 자료 및 AI, 디지털 전환 기술을 활용한 플랫폼 콘텐츠를 제공하고 프로젝트 제안 내용 및 결과물에 대해 전문가 평가를 진행한다. 동서울대학교는 참여 학생 모집 및 운영 관리를 담당하고 교육 공간, 장비 등 인프라를 지원한다. 한편 애니펜은 2013년 설립한 AI 기반 XR 플랫폼 및 기반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으로, 구글, 퀄컴, AWS, 산리오, 삼성전자 등 국내외 글로벌 기업들과 협업하고 있다고 한다. 2023년 11월에는 AI·AR을 적용한 문화재 XR 플랫폼 ‘헤리버스 공존: 1887 경복궁 진하례’를 공개했으며, AI, AR, 디지털 트윈, 아바타 엔진 등 탄탄한 기술력과 풍부한 경험으로 멀티 IP 대응이 가능한 커머스 및 AI 기반 XR 플랫폼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
- IT
-
애니펜, 동서울대와 AI·DX 융합인재 양성 위해 맞손
-
-
사이버 공격 정교함 증가, 방어 효과성은 감소 상황
- Picus Security가 실제 운영 환경에서 수행된 1억6000만 건 이상의 공격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한 ‘2025년 블루 리포트™(Blue Report™ 2025)’를 발표했다. 올해로 3년째를 맞은 이 보고서는 현재의 위협에 대해 보안 통제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를 데이터 기반으로 평가하며, 올해의 결과는 지금까지 중 가장 우려스러운 수준이라고 밝혔다. 사이버 공격이 규모와 정교함 모두에서 증가하고 있는 반면, 방어 효과성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의 데이터는 특히 심각한 상황을 보여준다. 전체 환경의 46%에서 최소 한 개 이상의 비밀번호 해시가 성공적으로 크랙됐으며, 데이터 유출 시도 차단율은 2024년 9%에서 올해 3%로 하락했다. 이러한 추세를 종합하면 단 하나의 자격 증명(credential)이 탈취되는 순간 공격자가 네트워크 내에서 횡적 이동(lateral movement)과 대규모 데이터 절도를 빠르게 실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인포스틸러(정보 탈취) 악성코드의 유포 빈도가 3배로 증가하고, 합법적인 로그인 정보를 이용해 방어를 우회하는 공격이 늘어나면서 조직은 지속적이고 거의 탐지되지 않는 위협으로부터 점점 더 높은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Picus Security의 공동 창립자이자 Picus Labs 부사장을 맡고 있는 Süleyman Ozarslan 박사는 “우리는 공격자가 이미 내부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 하에 운영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이어 “이른바 ‘침해 가정(assume breach)’ 마인드셋은 조직이 유효한 자격 증명의 오·남용을 더 빠르게 탐지하고, 위협을 신속히 차단하며, 횡적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끌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신원 인증 통제의 지속적인 검증과 더 강력한 행위 기반 탐지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한편 2025년 블루 리포트에 따르면 위협 차단 효과성(prevention effectiveness)은 2024년 69%에서 2025년 62%로 하락해 지난해의 개선세가 역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로그 수집 범위(logging coverage)는 54%로 유지됐지만, 공격의 14%만이 경고(alert)를 생성했다. 대부분의 악성 활동이 여전히 탐지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탐지 규칙 설정의 오류, 로그 수집의 누락, 그리고 시스템 통합의 미비가 보안 운영 전반의 가시성 확보를 지속적으로 저해하고 있다. 이러한 하락세는 보안 통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검증이 없을 경우 방어 능력이 얼마나 빠르게 약화될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
- IT
-
사이버 공격 정교함 증가, 방어 효과성은 감소 상황
-
-
스토리, 헤리티지 디스틸링과 5천억 원 규모 $IP 토큰 트레저리 조성
- 블록체인 인프라 '스토리'는 미국 나스닥 상장사 헤리티지 디스틸링(이하 헤리티지)과 함께 총 3억6000만달러(약 5000억원) 규모의 $IP 토큰 트레저리(준비금)를 조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략에는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 폴리체인 캐피털, 애링턴 캐피털, 앰버 그룹, 해시드 등 주요 투자사들이 참여했다. 거래 구조에 따라 헤리티지는 총 5240만 개 $IP 토큰을 확보하게 된다. 이는 현재 유통량 약 2억9500만 개의 6분의 1 규모로, 사실상 장기 락업 효과를 가진다. 스토리 재단은 이번 거래로 확보한 현금 약 8200만달러(약 1130억원) 전액을 90일 내 공개 시장에서 $IP 토큰 재매입에 투입할 계획이며, 향후 강력한 매수세 형성이 기대된다. $IP 토큰은 스테이킹·라이선싱·AI 작업 등에 활용 가능한 웹3 디지털 자산으로, 창작자·브랜드·AI 개발자가 온체인에서 지식재산(IP)을 등록·거래·수익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올해 초 글로벌 최대 디지털 자산 운용사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이 선정한 ‘주목할 만한 Top 20 암호화폐’에 올랐으며, 이후 ‘그레이스케일 스토리 신탁(Grayscale Story Trust)’ 출시로 기관 투자자들이 직접 $IP에 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스토리는 BTS, 저스틴 비버, 블랙핑크 등 글로벌 아티스트의 음원 IP를 비롯해 스태빌리티 AI(Stability AI), 아블로(ABLO), 크록스(Crocs), 발망(Balmain), OGQ 등 다수의 기업들과 협력하며 IP 활용 범위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AI 훈련을 위해 개발된 풀스택 탈중앙화 데이터 레이어 포세이돈(Poseidon)을 공개하며, 저작권 문제 없이 활용할 수 있는 IP 데이터셋의 공급, 유통 및 대규모 라이선싱의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다. 포세이돈은 a16z로부터 1500만달러 시드 투자를 유치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안드레아 무토니(Andrea Muttoni) 스토리 재단 이사장은 “AI 시대에 $IP는 새로운 ‘디지털 금’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이번 전략적 트레저리 조성을 통해 전통 금융과 웹3가 하나의 가치 네트워크로 수렴하는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
- IT
- 블록체인
-
스토리, 헤리티지 디스틸링과 5천억 원 규모 $IP 토큰 트레저리 조성
-
-
로블록스 아동 그루밍 범죄 조기 경보 시스템 ‘센티널’ 발표
- 로블록스(Roblox)는 7일(미국 현지시간 기준) 아동 학대 및 위협 관련 대화를 조기에 감지해 플랫폼이 더욱 신속히 대응하고, 필요시 법 집행 기관에 신고할 수 있도록 돕는 AI 시스템 ‘로블록스 센티널(Roblox Sentinel)’을 발표했다. 로블록스는 센티널을 오픈소스로 공개함으로써 관련 업계의 모든 디지털 플랫폼이 센티널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센티널은 로블록스가 현재 오픈소스로 제공하고 있는 안전 도구 모음의 일부로, 잠재적인 관점에서 그루밍 범죄로 이어질 수 있는 미묘하고 탐지하기 어려운 소통 패턴을 식별하도록 설계된 조기 경보 시스템이다. 로블록스는 이미 2024년 말부터 센티널을 도입해 플랫폼이 위험에 신속히 대응하고 조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 그 결과 로블록스는 센티널을 통해 2025년 상반기에만 아동 착취 시도로 의심되는 약 1200건의 사례를 미국 국립아동실종학대방지센터(National Center for Missing and Exploited Children, 이하 NCMEC)에 신속히 보고했다. 로블록스에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잠재적 위험 신호를 포착하는 센티널뿐만 아니라 숙련된 전문 인력과 AI의 전략적 조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우선, AI가 위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사례는 모두 전문 분석가가 직접 해당 사례를 검토한다. 이후 로블록스는 전문가들의 판단을 기반으로 사례, 지표, 학습 데이터를 축적해 기술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정교화하는 순환 주기를 형성한다. 실제 인력과 함께하는 협업 구조는 센티널이 악의적 행위자들의 새로운 패턴에 맞춰 끊임없이 조정되고 최신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맷 코프먼(Matt Kaufman) 로블록스 최고안전책임자(Chief Safety Officer, Roblox)는 “AI는 로블록스가 안전을 강화하고 이용자들을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로블록스는 온라인 안전이 현재 모든 디지털 플랫폼이 직면한 과제인 것을 충분히 공감하기에 센티널 등 다양한 안전 도구를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커뮤니티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중요한 전략으로 삼고 있다. 앞으로도 로블록스는 관련 기술을 공유하고, 업계 선도 기업들과 협력해 인터넷을 더욱 안전한 공간으로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줄리엣 셴(Juliet Shen) 루스트 제품 총괄(Head of Product, Roost)은 “오늘날 많은 플랫폼이 아동을 집중 대상으로 한 온라인 위험을 식별하고 예방하는 데 필요한 정교한 도구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며 “루스트는 이용자 보호에 힘쓰는 누구나 강력한 안전장치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로블록스가 신뢰와 안전 영역과 관련한 오픈소스 도구를 제공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로블록스는 혁신적인 기술 솔루션을 오픈소스화하는 것을 비롯해 업계 전반의 안전 강화를 위해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창립 파트너로 참여한 비영리재단 루스트(ROOST·Robust Open Online Safety Tools)와 글로벌 테크 기업 연합체인 테크 코얼리션(Tech Coalition)과 함께 랜턴(Lantern)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다양한 업계 파트너와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
- IT
-
로블록스 아동 그루밍 범죄 조기 경보 시스템 ‘센티널’ 발표
-
-
엔에스랩 김동성 대표 IES에서 산업용 블록체인 관련 기조 연설
- 엔에스랩(NSLab)의 김동성 대표(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교수 겸 ICT융합특성화연구센터 센터장)가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힐튼 더블트리 호텔에서 열린 ‘국제전자심포지엄(International Electronics Symposium, IES) 2025’(이하 IES 2025)에 기조연설자로 초청받아 ‘산업용 블록체인 응용: 퓨어체인과 퓨어엣지(Industrial Blockchain Application: Pure Chain and Pure Edge)’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번 기조연설에서 김동성 대표는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의 실제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엔에스랩이 자체 개발한 ‘퓨어 월렛(Pure Wallet)’, ‘퓨어 체인(Pure Chain)’, ‘퓨어 엣지(Pure Edge)’와 더불어 블록체인 기반 인증 시스템 ‘퓨어서티피케이트(Pure Certificate)’와 전자투표 시스템 ‘퓨어보팅(Pure Voting)’ 등의 구조와 기술적 강점을 소개했다. 특히 신뢰 기반의 인증 절차와 투명한 의사결정 구조를 가능케 하는 블록체인 기술의 가능성에 대해 참석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기조연설 직후에는 블록체인 솔루션 기증식이 진행됐으며, 이 자리에는 국립 수라바야 전자공과대학교(PENS) 총장 아리프 이르완샤 교수, IES 2025 대회장 아마드 자이 교수, 그리고 국제교류 원장 아리스 리스키 교수가 참석했다. 김동성 대표는 IES 조직위원회 및 수라바야 지역 대학을 대상으로 퓨어서티피케이트와 퓨어보팅 시스템을 공식 기증하면서 “현지 교육기관이 디지털 인증과 전자투표 시스템의 투명성,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IES 2025는 ‘지능형 연결성: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그린 ICT 구현(Intelligent Connectivity: Enabling Green ICT in Emerging Technology Services for Sustainable Living)’을 주제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사회 구축 방안을 심도 있게 다룬 국제학회다. 행사는 IEEE 인도네시아 지부와 일본 대학, 국내외 전문가와 연구자 3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엔에스랩과 국립금오공과대학교 ICT융합특성화연구센터가 공식 후원 기관으로 참여해 국제 협력과 기술 공유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더했다. 한편 엔에스랩은 20년 이상의 네트워크 개발 경험과 노하우, 200명 이상의 글로벌 석·박사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를 위해 설립된 연구소 기업이다. 산업 현장의 디지털 신뢰성 향상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솔루션을 개발 및 보급하고 있는 기술 스타트업으로 이번 IES 2025 참여와 기술 기증을 통해 동남아시아 지역의 교류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
- IT
- 블록체인
-
엔에스랩 김동성 대표 IES에서 산업용 블록체인 관련 기조 연설
-
-
이글루코퍼레이션 선박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특허 취득
- 이글루코퍼레이션이 AI 탐지 정책을 기반으로 선박 사이버 보안관리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특허 기술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특허로 기술력을 인증받은 이글루코퍼레이션은 선박 및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보안솔루션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할 전략이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이 이번에 등록한 선박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특허는 선박 내 로그 데이터를 AI 모델에 적용해 보안 위협을 자동 탐지·대응하는 기술이다. 이상 징후가 탐지됐을 때 비인가 접근, 비정상 트래픽, 장비 고장, 온도 이상 등의 보안 위협 패턴을 학습한 AI 모델을 기반으로 선박 운영자에게 실시간 경고 또는 자동 대응 조치를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국제선급협회의 선박 사이버 복원력에 관한 규정(IACS UR E26)과 국제해사기구의 해상 사이버 리스크 관리 결의서(IMO MSC.428(98)) 규제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응하며, 선박 보안관리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은 선박과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의 운영 기술(OT)과 정보 기술(IT) 환경을 통합적으로 보호하는 CPS 보안솔루션인 ‘스파이더 오티(SPiDER OT)’ 공급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SPiDER OT는 시스템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확보를 목표로 사이버 공격과 물리적 공격을 아우르는 전방위적 보안 태세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안정적으로 산업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이득춘 이글루코퍼레이션 대표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인해 OT와 IT를 포괄하는 CPS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은 보안 운영 관리 역량을 토대로 다양한 산업군에 최적화된 보안 해법을 제시하며 CPS 보안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IT
-
이글루코퍼레이션 선박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특허 취득
지역뉴스 검색결과
-
-
지역 특화 야간 콘텐츠로 로컬 관광객 유치 나선 성주군
- 경북 성주군이 지역 특화 야간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야간관광 특화도시 조성사업’ 2년 차에 접어든 성주군은 올해 사업의 범위를 고령화, 인구 감소 등과 같은 지역 현안 대응으로 확대해 조부모-부모-자녀(어린이)가 함께 즐길 수 있는 3대 동행 관광을 테마로 사업에 본격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성주군은 지난 12일 국가유산인 성산동 고분군에서 역사 스토리텔링형 야간 콘텐츠 ‘힐링텔링 나이트’를 개최, 방문객의 지적 호기심과 야간 즐길 거리를 동시에 충족시켰다. 아울러 무더운 여름을 잊게 만드는 물총 미션과 미션 투어 ‘나는 왕이로소이다!’, 성산가야 유물 발굴 체험, 히스토리텔링 퀴즈, 그리고 감성 버스킹까지 어우러져 한여름 밤 신선한 재미를 선사했다. 최근 여행 시장에서는 지역 고유의 문화와 교육 요소를 결합한 배움 중심 여행 형태인 ‘런케이션(learncation)’이 부상 중이다. 성주군은 기존의 단순한 키즈 프렌들리 콘텐츠들을 어린이 동반 가족 여행객들이 관광과 학습 욕구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런케이션형으로 전환·운영했다. 국가유산인 성산동 고분군의 역사 문화유산을 전시 중심의 정적인 콘텐츠에서 역사 스토리텔링으로 재해석한 동적인 야간 콘텐츠로 선보여 관광객들의 호응을 얻었다. 성주군은 성주만의 색깔을 담은 로컬 콘텐츠로 ‘지역 주도 경제 활성화 모델’을 구축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로컬 야간관광이라는 차별화된 콘텐츠로 자연스럽게 체류 시간을 연장하며, 인구 4만 소도시도 충분히 매력적인 관광 목적지가 될 수 있음을 생생히 증명하고 있다. 50대 이상의 인구가 과반수를 차지하는 성주군은 이러한 지역 특성을 오히려 전략적 강점으로 활용했다. 대구·김천·구미 300만 배후도시의 액티브 시니어 세대가 손자녀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3대 가족 친화 콘텐츠로 로컬 특색과 세대 공감을 자아내는 독창적 관광 모델을 완성했다. 성주군은 성주 참외, 성산가야 문화유산 등 고유한 로컬 자원을 감성형 야간 체험 콘텐츠로 재구성해 어린이는 물론, MZ세대, (액티브) 시니어 세대까지 아우르는 색다른 가족 여행 모델 제시로 ‘작지만 강한 로컬관광’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이병환 성주군수는 “인구 4만의 작은 도시도 지역 고유의 특색을 살린 차별화된 콘텐츠만 있다면 얼마든지 전국적 주목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며 “앞으로도 3대 가족 모두 만족하는 가족 친화 관광도시 성주군을 통해 로컬관광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오는 8월에는 성밖숲 나이트 워킹(2차)과 더불어 전국 10개 야간관광특화도시에서만 즐길 수 있는 릴레이 축제 ‘밤밤페스타’가 예정돼 있다. 이는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개최돼 많은 기대를 얻고 있다. 또 가을에는 성산동 고분군에서 펼쳐지는 ‘캔들라이트 키즈 콘서트’, 가야산역사신화테마관에서의 ‘가야산 나이트 트레킹’ 등 성주의 관광 자원을 총망라한 차별화된 야간 콘텐츠를 지속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성주군은 2024년 1월 문화체육관광부·한국관광공사 야간관광 특화도시 공모사업 마지막 해에 ‘군 단위’ 최초로 선정, ‘트윙클 성주!’라는 야간관광 브랜드를 구축해 ‘대한민국 밤밤곡곡100’에 선정된 성밖숲과 성주만의 매력이 담긴 성산동 고분군을 중심으로 다양한 야간관광 콘텐츠들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조부모·부모·손자녀 3세대를 아우르는 ‘키즈·가족 친화형’ 야간 콘텐츠 콘셉트를 바탕으로 체류형 관광 촉진을 통한 생활 인구 증대를 적극적으로 도모하고 있다.
-
- 지역뉴스
- 지방
-
지역 특화 야간 콘텐츠로 로컬 관광객 유치 나선 성주군
종합 검색결과
-
-
서울대 6년간 110억 지원받아 최고 AI 연구자 양성한다
- 서울대학교는 공과대학 협동과정 인공지능 전공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주관하는 ‘AI 스타펠로우십지원’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정부가 최고 수준의 석·박사급 인공지능(AI)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2019년 신설한 ‘AI대학원지원사업’에 이어 새롭게 추진하는 최고급 AI 신진 연구자 양성 지원 프로그램이다. 서울대는 이번 사업 선정으로 올 하반기부터 2030년 12월까지 약 6년간 총 110억원의 대규모 지원을 받게 됐다. 서울대 공과대학 협동과정 인공지능 전공이 이끄는 연구팀은 시공간 데이터(4D), 다감각 정보(5S), 6대 로봇 기술(6R) 기반의 초지능형 AI 에이전트 핵심 기술을 선도적으로 확보할 예정이다. 아울러 AI 최고급 신진 연구자 양성을 목표로 복잡한 물리적·사회적 시공간에서 자율성과 상호작용 능력을 갖춘 AI 에이전트 기술 개발, 다감각 정보 통합 및 추론을 통한 상황 인지 AI 기술 고도화, 로봇 기술과 결합된 실세계 적용형 AI 에이전트 구현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크래프톤, 네이버클라우드, 원익로보틱스 등 산업체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산업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실질적인 공동 연구, 데이터 공유, 인재 교류의 시너지 효과도 노린다. 나아가 연구 결과를 현실 문제에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는 선도적인 최우수 연구 인재 양성을 위해 산업체와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다. 최근 AI 전환을 이끌 ‘한국형 천인계획’을 발표한 김영오 서울대 공과대학 학장은 “AI 시대에는 단순히 문제를 잘 푸는 능력을 지닌 인재보다 창의적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도전할 수 있는 인재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본 사업에도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서울대 공과대학의 전폭적 지원을 받아 본 사업을 이끌 연구책임자 강유 주임교수는 “이번 사업을 통해 서울대가 초지능형 AI 에이전트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동시에 실질적인 AI 기술 혁신을 이끌어갈 최고급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
- 종합
- 교육
-
서울대 6년간 110억 지원받아 최고 AI 연구자 양성한다
-
-
UAE원자력공사와 글로벌 SMR 시장 공략 나선 삼성물산
-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UAE원자력공사(ENEC, Emirates Nuclear Energy Company)와 글로벌 원자력 발전 관련 개발과 투자를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은 지난 29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호텔에서 UAE원자력공사 모하메드 알 하마디(Mohamed Al Hammadi) CEO, 삼성물산 오세철 대표이사 사장을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삼성물산의 원전·인프라 분야 풍부한 사업 수행 경험과 UAE원자력공사의 세계적인 원전 리더십을 바탕으로 글로벌 원자력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양측은 이미 UAE 바라카원전 건설을 함께한 바 있다. 양사는 △글로벌 시장 신규 원전 건설, 재가동, 기존 부지 M&A 등 원전 프로젝트 협력 △글로벌 시장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사업 투자와 개발 협력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시장 원자력 기반 수소 생산 사업 협력 △원자력 서비스, 장비 업체 투자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이번 업무협약을 토대로 전략적 협력 로드맵을 개발할 방침이다. UAE원자력공사는 성명서를 통해 원자력 에너지는 급증하는 글로벌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에 충분한 대규모 전기를 공급하는 중심이 될 것이며 이번 협력을 통해 새로운 원전의 배치·투자·혁신을 위한 글로벌 협력 노력을 확대하고 장기적 경제 성장을 추구하는 국가들에게 실질적인 영향을 끼치는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물산은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해서는 원전의 역할이 필수적이며 양사의 대형 원전·SMR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력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상호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시너지를 창출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물산은 지난 4월 루마니아 원전 1호기 설비 개선 프로젝트를 수주한 바 있으며, 루마니아 SMR 사업 기본설계(FEED, Front-End Engineering Design)를 미국의 뉴스 케일·플루어·사전트앤룬디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또한 스웨덴과 에스토니아에서도 SMR 사업 확장에 나서며 대형 원전과 SMR 프로젝트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UAE원자력공사는 약 40조원을 투자해 아부다비 인근 바라카에 한국형 원전 4기를 건설, 운영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성공한 바 있다.
-
- 경제
- 기업
-
UAE원자력공사와 글로벌 SMR 시장 공략 나선 삼성물산
-
-
대웅제약 나보타 쿠웨이트 수출 계약, 중동 프리미엄 시장 공략
-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고순도·고품질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쿠웨이트 수출 계약을 체결하며 중동 시장 영향력을 더욱 확대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다섯 번째 중동 진출 사례이며, 걸프만 연안 6국에선 UAE·사우디·카타르에 이은 네 번째 진출이다. 걸프만 연안 6국 시장은 미용·성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 중동을 대표하는 프리미엄 시장으로 꼽힌다. 쿠웨이트는 1인당 국민 소득이 높고(약 3만2000달러) 의료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으며, 다른 걸프만 연안국과 교류가 활발해 시너지가 기대되는 등 전략적 가치가 크다. 대웅제약은 쿠웨이트를 교두보 삼아 걸프만 연안국 전체로 나보타 진출을 확대한다. 대웅제약은 현재 국내 톡신 브랜드 중 가장 많은 중동 국가에 보툴리눔 톡신 제제를 진출시키며 중동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대웅제약은 단순한 제품 공급에 그치지 않고 중동 의료진의 시술 역량을 성장시키고 결과적으로는 환자들이 경험하는 시술 만족도와 서비스 품질을 높여 회사는 물론 의료진과 환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윈-윈-윈(WIN-WIN-WIN)’ 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 대웅제약만의 독자적인 복합 시술부터 나보리프트까지 다양한 주제로 학회, 웨비나, 트레이닝 프로그램 등 지속적인 학술 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현지 의료진과의 임상 연구 협력을 통해 나보타의 우수한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도 강화하고 있다. 윤준수 대웅제약 나보타 사업본부장은 “이번 쿠웨이트 진출은 나보타가 중동 프리미엄 톡신 시장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자리 잡으며 시장 공략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임상 근거와 데이터에 기반한 차별화된 학술 활동과 독자적 시술법 보급을 통해, 중동 전역에서 입지를 빠르게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
- 경제
- 기업
-
대웅제약 나보타 쿠웨이트 수출 계약, 중동 프리미엄 시장 공략
-
-
LS일렉트릭 차세대 국가 전력망 핵심 ‘전압형 HVDC’ 국산화 착수
- LS일렉트릭이 차세대 국가 전력망의 열쇠가 될 ‘전압형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초고압 직류송전)’ 국산화에 본격 착수한다. LS일렉트릭은 지난 23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글로벌 에너지 솔루션 기업인 GE버노바(Vernova)와 HVDC용 변환 설비 국산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체결식에는 LS일렉트릭 구자균 회장과 김종우 사장, GE버노바의 필립 피론(Philippe Piron) 전기화 사업 부문 대표(사장)와 요한 빈델(Johan Bindele) 그리드 통합시스템 사업부 대표(부사장), 알렉세이 크랄(Alexei Kral) 주한미국대사관 경제공사 참사관 등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 자리에서 LS일렉트릭의 HVDC 생산 인프라를 활용해 GW(기가와트)급 전압형 HVDC 핵심 설비인 변환 밸브 국산화를 위한 기술 협력을 본격화하는 데 합의했다. 이미 HVDC 변환용 변압기(CTR) 국산화를 완료한 LS일렉트릭은 GE버노바의 변환 밸브 분야 선진 기술을 내재화해 전압형 변환 설비 국산화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HVDC는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교류(AC) 전력을 고압의 직류(DC) 형태로 변환시켜 송전한 뒤 수용가 인근에서 다시 교류로 변환해 공급하는 기술로, 기존 교류 송전에 비해 송전 손실이 적고 지중·해저 케이블 적용에 유리하며 대규모 전력 수송에 있어 경제성과 안정성이 뛰어나다. 특히 전압형 HVDC는 기존 전류형 HVDC에 비해 계통 안정화에 유리하고 실시간으로 양방향 전력 흐름을 제어할 수 있어 재생에너지 연계에 유리하다. 이 때문에 2030년까지 호남권에서 생산된 해상·재생 에너지를 수도권으로 연결하는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를 실현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LS일렉트릭은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의 핵심인 HVDC 분야에서 외산에만 의존할 경우 국제 정세, 환율 변동 등으로 인한 납기 지연, 비용 증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변환 밸브, 변압기 관련 기술을 신속히 확보, 변환 설비 턴 키(Turn-Key) 역량을 앞세워 GW급 사업을 주도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양사는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된 GE버노바의 선진 기술과 LS일렉트릭의 생산 인프라 간 시너지를 극대화해 변환 밸브 국산화, 국내 전압형 HVDC 변환 설비 사업 수주, 글로벌 시장 진출 등 단계별 목표를 달성하기까지 긴밀히 협력키로 했다. LS일렉트릭은 지난 2011년 1100억원을 투자해 부품 입고부터 성능 검사, 조립, 시험, 시운전까지 가능한, 국내 최초의 HVDC 전용 공장을 부산에 마련하고 핵심 설비 국산화를 추진해 왔다. 지난해 1월 GE버노바와 ‘전압형 HVDC 글로벌 사업 협력 MOU’를 체결한 이후 국내외 HVDC 수요에 공동 대응하고 있으며, 동해안-수도권 HVDC 사업 1단계인 ‘동해안-신가평’ 구간에서 변환용 변압기 24대를 수주한 데 이어 2단계 ‘동해안-동서울’ 사업에서도 40대 전량 수주에 성공한 바 있다.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LS일렉트릭은 국내 최초로 HVDC 전용 공장을 마련했으며, HVDC용 CTR 사업 경험을 가진 국내 유일 사업자”라며 “이번 GE버노바와의 협력을 통해 HVDC 핵심 설비인 변환 밸브 국산화까지 달성해 차세대 송전 기술의 자립을 반드시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필립 피론 GE버노바 전기화 사업 부문 대표는 “이번 협력은 LS일렉트릭과의 오랜 파트너십에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전압형 HVDC 기술 발전을 통해 한국 내 제조 역량을 지원함으로써 보다 탄력적이고 유연한 전력망 구축에 기여하고, 한국의 에너지 전환 및 인프라 목표 달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 경제
- 기업
-
LS일렉트릭 차세대 국가 전력망 핵심 ‘전압형 HVDC’ 국산화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