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10-30(목)

IT
Home >  IT  >  블록체인

  • 수호아이오, 모카 네트워크 및 클레바 AI와 맞손
    프로젝트 남산(Project Namsan)을 주도하는 블록체인 기업 수호아이오(SOOHO.IO)는 모카 네트워크(Moca Network) 및 클레바 AI(Kleva AI)와의 전략적 협력을 공식 발표했다. 수호아이오에 따르면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모카 네트워크의 디지털 신원 인프라 ‘AIR Kit’과 클레바 AI의 디지털 자산 결제 레이어가 프로젝트 남산에 통합되며, 스테이블코인 결제 분야에서 규제 준수(Compliance), 프라이버시 보호(Privacy), 로열티 혁신(Loyalty Innovation)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프로젝트 남산은 스테이블코인 사용자 및 유통업체를 위한 AIR Kit 기반 신원 인증 서비스를 도입한다. AIR Kit 인프라는 프라이버시가 보호된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해 조합 가능한(Composable) 로열티 시스템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기업들은 한국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내에서 안전하고 상호운용 가능한 리워드 및 경험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수호아이오는 모카 네트워크와 협력해 클레바 AI의 포인트-크립토(Points-to-Crypto) 전환 기술을 프로젝트 남산에 통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유한 로열티 포인트를 모카 코인(MOCA Coin),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으로 직접 전환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의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수호아이오 박지수 대표이사(CEO)는 “스테이블코인이 대중적으로 채택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와 규제 당국이 그 기반 인프라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며 “수호아이오의 결제 전문성에 모카 네트워크의 디지털 신원 프레임워크와 클레바 AI의 전환 기술이 결합함으로써 프로젝트 남산은 규제 친화적이고 상호운용 가능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카 네트워크의 프로젝트 리드 Kenneth Shek은 “AIR Kit을 프로젝트 남산에 도입함으로써 결제 과정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호운용 가능한 로열티 리워드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며 “이번 협력은 디지털 신원이 실제 결제 환경에서 스테이블코인 채택을 어떻게 뒷받침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기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N21(클레바 AI 운영사)의 박재현 대표이사(CEO)는 “이번 협력을 통해 클레바 AI는 포인트-크립토 정산 레이어를 더 넓은 생태계에 제공하며, 소비자가 로열티와 디지털 자산을 직관적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방식을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수호아이오와 프로젝트 남산이 차세대 결제 및 리워드 경험을 구축하는 여정에 함께하게 돼 자랑스럽다”고 전했다. 한편 모카 네트워크는 체인 중립적 분산형 신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신원 확인을 위한 프라이버시 보호 인프라와 산업·생태계 전반에 걸친 사용자 및 데이터 상호운용성을 제공한다. 애니모카 브랜즈(Animoca Brands)가 구축한 대표적인 디지털 신원 생태계다. 모카 네트워크는 MOCA 코인을 유틸리티 및 거버넌스 토큰으로 활용한다. 한편 박지수 대표가 설립한 수호아이오는 컨센시스 벤처스(ConsenSys Ventures)로부터 투자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컨소시엄 블록체인 인프라 ‘터치스톤(Touchstone)’, 목적연동화폐 플랫폼 ‘퍼플레이스(Purplace)’, 그리고 실제 블록체인 결제를 구현하는 플래그십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스위트를 제공한다.
    • IT
    • 블록체인
    2025-10-30
  • BC카드, DSRV와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 구축 협력
    BC카드(대표이사 사장 최원석)가 블록체인 인프라 전문 기업 디에스알브이랩스(대표 김지윤, 이하 ‘DSRV’)와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 공동 구축’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30일 오전 서울 강남구 소재 DSRV 본사 사옥에서 BC카드의 최원석 사장, 김호정 상무, 최민석 상무를 비롯해 DSRV의 김지윤 대표, 서병윤 CSO, 김재홍 CFO, 정지윤 COO 등 양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식이 진행됐다. 양사는 이번 협약에 따라 △BC카드 결제 인프라 및 DSRV 블록체인 인프라 間 상호운용성 구축 △페이북 플랫폼 內 월렛 솔루션 연동을 위한 공동 실증 사업(POC: Proof-of-Concept)과 더불어 디지털자산 관련 추가 공동 사업 발굴 등에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 특히 양사는 국내 제도권 금융 시스템 내에서 안전하고 투명한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 개발 등의 협력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결제 및 송금이 실물 상거래에 활용될 수 있도록 블록체인 결제 기술의 표준을 새롭게 마련하고 상용화시킨 다음 한국형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장을 조기에 활성화하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동시에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최원석 BC카드 사장은 “이번 협약은 국내 결제 인프라 산업의 구조적 혁신을 이끄는 전략적 파트너십”라며 “양사가 보유한 인프라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투명하고 안정적인 스테이블코인 결제 환경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지윤 DSRV 대표는 “이번 협약은 블록체인 기술과 전통 금융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며 “국내 금융 환경에 최적화된 상호운용성과 보안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확장성을 갖춘 인프라를 제공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BC카드는 디지털자산 기본법 등 국내 법제화 흐름에 맞춰 주요 금융사, 핀테크, 가상자산사업자들과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국내 스테이블코인 시장 활성화에 필요한 범용 결제 인프라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 고객의 전자지갑에서 차감 코인 개수를 확정하거나 NFT 연계 결제 기술 관련 특허 6종을 직접 출원하는 등 최원석 사장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기반 결제 인프라를 고도화하며 관련 지식재산권도 확보에도 적극 노력하고 있다.
    • IT
    • 블록체인
    2025-10-30
  • 수호아이오와 VNX, 스테이블코인 실사용 영역 확장 위해 협력
    리히텐슈타인 금융감독청(FMA)에 등록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VNX(법정화폐 연동형 스테이블코인: VEUR, VCHF, VGBP)와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수호아이오(SOOHO.IO)가 지난 27일 공동의 전략적 목표 달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공식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글로벌 결제 및 정산 인프라 확장을 위한 협력의 일환으로, 한국 원화(KRW) 스테이블코인 활용 추진과 비(非)달러 기반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다. VNX는 Base 체인 상에서 비달러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한 이후 거래량과 사용자 수 모두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성장 모멘텀을 기반으로 VNX와 수호아이오는 스테이블코인의 실사용 영역을 확장하고 한국 시장을 포함한 글로벌 생태계 전반의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협약을 통해 양사는 한국 내 규제 환경에 부합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활용 및 결제·정산 인프라 구축을 공동으로 추진하며 이를 통해 한국 사용자들이 자국 통화에 연동된 신뢰성 높은 디지털 머니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VNX와 수호아이오는 ‘프로젝트 남산(Project Namsan)’ 컨소시엄을 기반으로 VNX 스테이블코인을 한국 내 결제 시범서비스 및 글로벌 정산 실험 환경에 통합할 예정이다. 오로라페이(Aurora Pay) 등 결제 인프라 플랫폼과 연동해 사용자 친화적이고 안정적인 결제 프로세스를 구현하고, 비(非)달러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해외 여행 중 결제 및 국제 송금 기능도 강화할 방침이다. 한편 박지수 대표가 설립한 수호아이오는 컨센시스 벤처스(ConsenSys Ventures)로부터 투자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컨소시엄 블록체인 인프라 ‘터치스톤(Touchstone)’, 목적연동화폐 플랫폼 ‘퍼플레이스(Purplace)’, 그리고 실제 블록체인 결제를 구현하는 플래그십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스위트를 제공한다.
    • IT
    • 블록체인
    2025-10-28
  • 수호아이오, 어베일과 MOU 생태계 확장 추진
    수호아이오(SOOHO.IO)는 어베일(Avail)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한국 원화(KRW) 스테이블코인 및 글로벌 결제 인프라 확장을 위한 핵심 기술 협력으로, 양사는 체인 추상화(Chain Abstraction) 및 데이터 가용성(Data Availability) 분야에서 생태계 확장을 공동 추진할 예정이다. 수호아이오에 따르면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다음과 같은 협력 영역을 중심으로 공동 사업을 추진한다. 스테이블코인 및 정산 인프라 구축 · 전 세계 어디서나 가능한 USD 스테이블 코인 입금 기반 결제 지원 · 한국 및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의 공동 사업 협력 추진 포인트-디파이 연동(Point-to-DeFi) 강화 · 리워드 포인트를 암호화폐로 전환하는 ‘Point to Crypto’ 모델을 통해 더 많은 사용자가 손쉽게 디파이 생태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 체인 추상화 및 인프라 협력 · KRW 스테이블코인 컨소시엄을 위한 유동성 통합 및 체인 추상화 기술 파트너십 구축 · 엔터프라이즈급 크로스체인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유동성 통합 고도화 공동 연구 수호아이오의 박지수 대표는 “한국 시장은 규제 명확성과 블록체인 결제 수요가 동시에 성장하는 드문 시장이다. Avail과의 협력을 통해 KRW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결제 인프라 생태계의 실현에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됐다”고 밝혔다. Avail의 Anurag Arjun 디렉터는 “한국은 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스테이블코인 인프라가 성장하는 지역 중 하나다. SOOHO.IO와 함께 체인 추상화 기반의 차세대 결제 구조를 구축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확장성을 입증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협약은 수호아이오가 주도하는 ‘프로젝트 남산(Project Namsan)’의 일환으로 국내외 파트너들과 함께 비(非)달러 스테이블코인 및 크로스보더 정산 네트워크 구축을 가속화하는 핵심 단계로 평가된다. 수호아이오는 “앞으로도 글로벌 기술 파트너십을 확대해 한국형 스테이블코인 결제 및 포인트 인프라의 실제 사용 사례(Real-World Use Case)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IT
    • 블록체인
    2025-10-23
  • Shentu Chain과 CertiK, DeSci 플랫폼 OpenMath 공동 개발
    Shentu Chain이 세계 최초의 수학 중심 탈중앙화 과학(DeSci) 플랫폼 ‘OpenMath’를 공식 출시했다. 이 플랫폼은 Shentu Chain과 CertiK이 공동으로 개발했으며, 글로벌 최대 Web3 보안 기업이자 정형 검증(Formal Verification) 분야 기업인 CertiK이 핵심 기술 지원을 제공했다. OpenMath는 연구자와 증명자가 함께 수학 문제를 제시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모든 해답은 Rocq 기반의 정형 검증 기술을 통해 결과의 논리적 타당성을 수학적 정밀도로 검증함으로써 추론의 엄밀성과 정확성을 보장한다. 아울러 플랫폼은 증명자에게 토큰화된 보상을 제공해 연구 과정에서 투명성과 인센티브 정렬을 동시에 실현한다. OpenMath는 Cosmos 기반으로 구축된 레이어 1 블록체인인 Shentu Chain 위에 배포돼 있다. Shentu Chain은 과거 CertiK 체인으로 알려졌으며, 예일대학교의 Zhong Shao 교수와 컬럼비아대학교의 Ronghui Gu 교수가 공동으로 인큐베이팅한 프로젝트다. 2021년 8월, Shentu Chain은 CertiK으로부터 공식적으로 분리돼 독립적인 주체로 운영되기 시작했으며, 이번 OpenMath 출시는 양측이 새로운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블록체인과 정형 검증을 수학적 영역에 적용하기 위한 공동 연구를 본격화한 의미 있는 행보로 평가된다. 주목할 점은 OpenMath의 출시가 DeSci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는 시점에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DeSci는 과학 지식의 생산, 자금 조달, 그리고 배포 방식을 새롭게 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존의 중앙화된 기관 중심의 폐쇄적 연구 구조에서 벗어나 Web3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개방형 협업, 투명한 자금 조달, 그리고 기여자 직접 보상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OpenMath는 오픈 액세스 출판, P2P 자금 조달 모델, 연구 결과의 공개 검증 등 DeSci의 핵심 원칙을 충실히 구현하고 있다고 한다. OpenMath는 모든 연구 과정을 블록체인 상에 투명하고 변경 불가능한 형태로 기록함으로써 제도적 장벽을 제거하고 연구 결과의 추적 가능성을 보장한다. 또한 ‘2단계 제출 메커니즘(Two-phase Submission Mechanism)’을 도입해 증명자의 지식 재산권(IP)을 보호하는 동시에 전 세계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OpenMath는 자사의 생태계가 ‘커뮤니티 주도, 검증 가능, 참조 가능, 추적 가능’ 이라는 네 가지 핵심 원칙을 기반으로 설계됐다고 밝혔다. 이러한 구조는 글로벌 수학 연구 협업을 활성화하고, 학문적 발견의 속도를 가속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OpenMath는 첨단 수학 난제 해결과 응용 분야 확장에 집중하며, 보다 공정하고 효율적인 연구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발전을 이어갈 예정이다. 한편 예일대와 컬럼비아대 교수 두 명이 2018년에 설립한 CertiK은 학계 최첨단의 혁신 기술을 산업에 적용함으로써 기업이 중요한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을 충분히 안전하고 올바른 환경에서 구축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CertiK에 따르면 현재 4100개 이상의 기업과 협력해 7만 개 이상의 블록체인 코드 취약점을 탐지했으며, 3700억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호했다고 한다. 고객으로는 Aptos, Ripple, Sandbox, Polygon, BNB Chain 및 TON과 같은 주요 프로젝트 등이 있다. CertiK은 Insight Partners, Sequoia, Tiger Global, Coatue Management, Lightspeed, Advent International, SoftBank, Hillhouse Capital, Goldman Sachs, Coinbase Ventures, Binance, Shunwei Capital, IDG Capital, Wing, Legend Star, Danhua Capital 등 VC들에게 투자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 IT
    • 블록체인
    2025-10-14
  • 파라택시스코리아 비트코인 약 50개 추가 매입
    국내 최초 기관 투자 기반 BTC 트레저리 및 채굴 플랫폼 기업인 파라택시스 코리아(Parataxis Korea)가 약 50BTC를 추가 매입했다. 이번 매입으로 파라택시스 코리아의 총 BTC 보유량은 150개를 넘어섰다. 이는 현재 비트코인 시세인 1억7472만 원 기준으로 환산했을 때 약262억 원에 해당한다.
    • IT
    • 블록체인
    2025-10-13

실시간 블록체인 기사

  • 위메이드 자회사 라이트스케일, 해치랩스와 업무 협약
    위메이드(대표 장현국)의 자회사 라이트스케일이 블록체인 지갑(월렛) 전문기업 해치랩스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블록체인 서비스들이 해치랩스의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감사 서비스와 페이스 월렛을 이용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 라이트스케일의 블록체인 게임과 NFT 관련 업체들과의 파트너십 체결에 협력할 예정이다. 라이트스케일은 올해 9월 이더리움 레이어 2 크로마(Kroma) 메인넷을 성공적으로 론칭하고, 크로마 생태계 확장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해치랩스의 페이스월렛은 웹3.0을 모르는 사용자도 블록체인 영역에 안전하고 쉽게 온보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수탁형 지갑이다. 사용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만으로도 블록체인 지갑을 만들 수 있으며, 가상자산의 전송/교환 시 6자리 핀코드로 간편하게 서명할 수 있어 기존 핀테크 서비스와 매우 유사한 유저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시드 문구나 개인 키와 같은 어려운 개념 대신 SMS 인증을 통한 계정 복구가 가능해 웹3.0에 낯선 유저들도 쉽고 편리하게 블록체인 앱/게임을 경험할 수 있다. 페이스월렛의 주요 파트너사로는 넥슨, 메타보라(카카오게임즈 블록체인 자회사), 룩손(라인게임즈 블록체인 자회사) 등이 있다.
    • IT
    • 블록체인
    2023-11-08
  • 묵스무, 수산물 수입 유통업체 바이스와 사업 제휴
    블록체인 기반 유통 플랫폼 묵스무(MOOxMOO)는 최근 수산물 전문 수입 유통업체 바이스(BAIS)와 사업 제휴를 체결해 수입육뿐만 아니라 △노르웨이산 고등어 △모로코산 대형 갈치 △베트남산 낙지 등 수입 수산물 유통 분야에도 SBT 기술을 도입, 수산물 수입 및 유통 분야에도 기여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바이스는 이번 사업 제휴를 통해 MOOxMOO재단이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술과 지원을 바탕으로 수입 수산물 규모를 확대함으로써 국내 유통에 힘쓸 계획이라며, MOOxMOO재단이 개발하고 있는 B2C 플랫폼에 수산물 상품을 입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 분석을 통한 수요 예측 기반의 신규 상품을 공동으로 개발할 것이라고 연관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MOOxMOO재단은 바이스 외에도 비슷한 사업 분야의 제휴를 확대해 육류 수입 유통뿐만 아니라 수입 농·수산물 영역까지 SBT 기술을 도입, 거래 투명성 확보와 매출 파트너십 확대의 선순환 구조를 설계하고 있다고 로드맵을 설명했다.
    • IT
    • 블록체인
    2023-11-06
  • 니어 프로토콜, 웹3 글로벌 콘퍼런스 ‘니어콘2023’ 개최
    니어 프로토콜(NEAR Protocol)이 최대 규모의 웹3 글로벌 콘퍼런스 중 하나인 ‘니어콘2023(NEARCON)’을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니어 프로토콜은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인 오픈웹을 지향하는 글로벌 레이어1으로 이더리움 등 여러 블록체인 레이어와 호환하는 블록체인 운영체제 ‘보스(BOS)’를 원동력 삼아 메인스트림 어답션을 주도하고 있다. 이번 콘퍼런스는 ‘오픈웹으로의 진입’을 주제로 웹2·3 산업의 글로벌 리더들이 참여해 트렌드·기술·금융·정책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소통하는 교류의 장으로, 내달 7일부터 10일까지 4일에 걸쳐 진행된다. 콘퍼런스, 페스티벌, 해커톤 세 축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웹3 네이티브 기업들을 넘어 웹2 전통 기업들의 대거 참석을 통해 생태계의 저변을 넓힌다. 그동안 웹3 기업에만 초점을 뒀던 기존 콘퍼런스들과 달리 웹2 기업들에게도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산업의 연계를 강화하는 화합의 장을 마련했다. 니어 재단의 크리스 도노반(Chris Donovan) 최고 경영자, 니어 프로토콜의 일리야 폴로수킨(Illia Polosukhin) 파운더, 구글의 제임스 트로먼스(James Tromans) 기술 이사, 아마존의 알렉상드르 마츠오(Alexandre Matsuo) 웹3 총괄, 안드레슨 호로위츠(a16z)의 마리아노 소르겐테(Mariano Sorgente) 투자 파트너 등 유수의 글로벌 리더들이 연사로서 혁신 기술을 소개하고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한국에서도 국내 웹3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SK텔레콤(SKT)의 오세현 부사장이 연사로 선다. 또한 웹2에서 웹3로 성공적으로 전환을 이룬 컨슈머 디앱(DApp)이자 글로벌 최대 활성 사용자를 보유해 일 평균 200만 건 이상의 온체인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카이카이(KAIKAI), 스웻코인(Sweatcoin) 등 최근 니어 프로토콜의 성장을 견인한 기업들에 더해 써클(Circle), 해시드(Hashed), 난센(Nansen), 마브렉스(넷마블), 볼텍스 게이밍(인벤) 등 강결합을 이룬 글로벌 웹3 기업들도 참여해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잠재적인 협업 기회를 모색한다.
    • IT
    • 블록체인
    2023-11-03
  • 블록오디세이, 금융기관 및 법인 대상 블록체인 금융 솔루션 사업 추진
    블록오디세이가 금융기관과 법인을 대상으로 한 블록체인 금융 솔루션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지난해 대규모 시리즈 A 투자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금융 영역의 인프라 및 솔루션 고도화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했고,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사업 확대에 나선다.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금융 시장의 혁신은 이미 눈앞에 다가왔다. 주요국 중앙은행은 CBDC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한국은행과 정부 주도로 내년 일반 국민 대상 실거래 테스트를 앞두고 있다.토큰증권(STO, Security Token Offering)도 금융위원회 가이드라인에 맞춰 다양한 사업자가 사업을 준비 중이며, 내년 7월 시행 예정되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가상자산 수탁 서비스의 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보인다.블록오디세이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블록체인 금융 토털 솔루션 사업자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이미 지난해 NH농협은행과 CBDC 파일럿 시스템을 구축하며 실제 금융업계 시스템에 블록체인을 적용시킬 수 있는 기술력과 노하우를 입증했다.STO 영역에서도 블록오디세이는 철저한 준비를 해왔다. NH투자증권 주도 하에 출범한 ‘STO 비전그룹’에 참여해 다양한 조각투자 파트너사들과 실무 논의를 이어가고 있으며, STO 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추적 솔루션을 공유 모빌리티 기업 더스윙에 제공한 바 있다.금융위원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토큰증권 발행을 위한 분산원장 요건으로 거래 검증에 참여하는 노드의 51% 이상이 전자등록기관, 금융기관 또는 발행인과 특수관계인에 해당하지 않는 계좌관리기관으로 구성돼야 한다. 또한 권리자·거래정보 기록 등을 위해 별도의 디지털 자산을 필요로 하지 않아야 한다.한편 블록오디세이는 콜드 월렛 기반 커스터디 솔루션, 서비스형 블록체인 지갑(Wallet as a Service)을 개발 중이며, 지난해 가상자산 트레이딩 전문 솔루션 기업 이지스트레이딩(EZS Trading)을 인수함으로써 고객사가 필요로 하는 가상자산 관련 모든 금융 서비스를 통합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이지스트레이딩은 가상자산 운용기관뿐만 아니라 기존의 제도권 금융기관(IB, 증권사)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 기반 자산 운용, 매매 시스템을 공급한다.
    • IT
    • 블록체인
    2023-10-27
  • 위메이드 자회사 라이트스케일, 웹3 개발사 불렛 랩스와 파트너십
    위메이드(대표 장현국)의 자회사 라이트스케일이 미국 웹3 개발사 불렛 랩스(Bullet Labs)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라이트스케일은 올해 9월 이더리움 레이어 2 ‘크로마(Kroma)’ 메인넷을 론칭하고 크로마 생태계 확장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불렛 랩스가 개발한 ‘갤럭시’는 웹3 이용자들의 온체인 자격 증명을 돕는 플랫폼이다. 1300만 명이 넘는 이용자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옵티미즘, 폴리곤, 아비트럼 등을 포함한 3700여 개의 파트너와 협력했다.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갤럭시는 라이트스케일의 마케팅, 크로마 네트워크 신규 유저 온보딩, 커뮤니티 성장을 지원할 방침이다.먼저 네트워크 연동을 11월에 진행한다. 이를 통해 갤럭시 웹사이트에 크로마 네트워크가 포함되며 크로마 웹사이트에서는 온체인 리더보드(대시보드)와 커뮤니티 참여 내역 확인이 가능해진다.앞으로 크로마가 제작할 NFT는 갤럭시를 통해 판매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크로마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협업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 IT
    • 블록체인
    2023-10-26
  • BC카드 ‘카드결제 연계형’ NFT 발행 서비스 시작
    BC카드(대표이사 사장 최원석)가 대체불가능토큰(Non-Fungible Token, 이하 ‘NFT’)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BC카드는 NFT 시장 활성화를 대비해 2021년도부터 ‘NFT 월렛 서비스’ 자체 개발을 시작, 내부 테스트를 거쳐 2022년 4월 프라이빗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 NFT 월렛 ‘NFTbooc’을 오픈하고 운영 중에 있다.해당 플랫폼 기반으로 지난해 창립 40주년 이벤트로 한정 수량 기념 NFT를 발행해 고객과 임직원들에게 제공했다. 또한 크립토윈터(가상자산시장 침체기) 기간에도 BC카드는 NFT의 지급결제 및 기술적 가치를 고객 서비스와 연결하기 위한 시도를 계속해 왔다.그 결과로 BC카드는 국내 최초 ‘카드결제 연계형’ NFT 발행 서비스를 출시했다. 일반적으로 NFT는 복제 불가능한 고유성을 기반으로 디지털 자산 증명에 주로 사용되지만 BC카드는 추가로 카드 결제와 연동시켰다. 앞으로 BC카드 고객은 카드 이용 시 이에 대한 혜택과 증명을 NFT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뿐만 아니라 NFT 월렛을 보다 고객 친화적인 서비스로 개선했다. 기존 NFTbooc을 생활금융플랫폼 ‘페이북’ 내 NFT 메뉴(페이북 NFT)로 신설해 개인 보유 NFT 조회와 이벤트 참여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고객은 다양한 접근 채널 확보로 정보 및 혜택 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카드결제 연계형 NFT 발행 서비스 출시기념으로 31일까지 ‘쓴 만큼 돌려받는 랜덤 챌린지’ 이벤트도 진행한다. 시간(특정시점 이용), 대상(편의점, 카페 등), 이용횟수(최소 3회) 등의 개인별 챌린지가 랜덤으로 선정되고 이를 완료하면 챌린지 이용 금액의 최대 100% 캐시백을 받을 수 있는 달성 인증 NFT를 이벤트 종료 후 ‘에어드랍(Airdrop·무료 지급)’한다.이번 1차 이벤트 포함 12월 말까지 총 3회 이벤트 시행 예정으로 세부내용은 페이북과 NFTbooc 이벤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이상준 BC카드 상무는 “디지털 금융 시장은 기술과 상상의 영역이며 다양한 형태로 성장할 것”이라며 “BC카드는 업계 처음으로 결제와 연동되는 유틸리티 NFT 서비스를 시작한다. 향후에도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통해 고객에게 지금보다 더 나은 디지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한편 BC카드는 올해 중고거래 시 이용가능한 ‘결제 영수증 NFT’와 금융사 전산장애 발생 시 자산내역을 증명받을 수 있는 ‘자산인증 NFT’ 등 총 3종의 특허를 출원하며 NFT 관련 기술선점에도 앞장서고 있다.
    • IT
    • 블록체인
    2023-10-04
  • SK㈜ C&C와 니어 프로토콜, 융합형 웹 3.0 서비스 생태계 확장 나선다
    SK㈜ C&C가 니어 프로토콜과 손잡고 퍼블릭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모두 지원하는 융합형 웹 3.0 서비스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SK㈜ C&C(사장 윤풍영)는 21일, 레이어1 블록체인 ‘니어 프로토콜(NEAR Protocol)’ 운영을 총괄하는 니어 재단과 ‘웹 3.0 비즈니스 확대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양 사는 이에 앞서 5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SK㈜ C&C 최철 Web3&Convergence 그룹장, 니어 재단 마리에케 플라멘트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파트너십 체결행사도 진행했다.니어 프로토콜은 사용성에 강점을 둔 글로벌 레이어1 블록체인이다. 퍼블릭과 프라이빗 블록체인 간 자유로운 전환을 지원해 보안과 사용자 접근 편의성을 중시하는 기업 니즈를 모두 충족시킨다.양 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비즈니스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상호 지원 체계 구축 △전 산업 분야 대상 블록체인 기술 공동 연구 및 사업 협력 △브랜드 인지도 및 웹 3.0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 공동 마케팅 등을 추진한다.먼저 SK㈜ C&C가 운영하고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 ‘체인제트’와 니어 프로토콜을 연계해 퍼블릭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모두 지원하는 융합형 웹 3.0 시장 발굴에 나선다. 금융 인프라 분야를 중심으로 중고 거래 등 공유 경제 플랫폼 시장이나 NFT(대체 불가능 토큰) 발행을 계획하고 있는 게임·콘텐츠·유통 분야에서 빠른 사업 시너지를 창출할 방침이다.공급망 관리, 전사적자원관리(ERP) 등 기업 전문 시스템 분야에서도 웹 3.0 서비스 개발을 모색한다. 체인제트 플랫폼 특허 기술인 키 관리(Key Recovery System)를 통해 보안성과 계정 관리 편의성을 확보하고, 니어 프로토콜만의 빠른 처리 속도와 확장성, 그리고 멀티 체인 간 상호운용 지원 등을 활용해 공급망 관리 수준을 높인다. 예를 들어, 재고, 주문, 대여금, 선하증권 등 각각의 자산에 니어 프로토콜 기반 토큰을 부여하면 공급·소매업체, 은행 등은 디지털 서명을 통해 각 단계별 거래 과정을 검증하고, 이를 체인제트에 기록하는 식이다.이외에도 SK㈜ C&C는 니어 재단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세계 시장 진출의 토대를 마련하고, 니어 프로토콜은 SK㈜ C&C가 보유한 사업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 시장에서 고객 유치에 나선다.니어 재단 마리에케 플라멘트(Marieke Flament) 최고 경영자(CEO)는 “SK㈜ C&C와 같이 한국의 IT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과 협력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연계는 다양한 유스 케이스(Use Case)가 등장하고, 사용자 중심의 생태계가 조성되는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SK㈜ C&C 최철 Web3&Convergence 그룹장은 “공공·금융·제조·유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퍼블릭 블록체인과 연계한 웹 3.0 서비스 발굴을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며 “니어 프로토콜을 시작으로 이미 시장에서 검증된 여러 퍼블릭 블록체인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하며 웹 3.0 서비스 생태계 확장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 IT
    • 블록체인
    2023-09-21
  • OKLink와 Web 3.0 보안 업체 서틱, 리스크 관리 분야 협력 강화 계획
    싱가포르에서 열린 ‘Token 2049 Meta Era Summit 2023’ 행사에서 OKG Technology Holdings Limited(홍콩증권거래소 1499)의 자회사인 OKLink와 Web 3.0 보안 업체 서틱(CertiK)이 전략적 파트너십을 공식 발표했다.양사는 ‘자산 동결 요청(Freeze Asset Request, 이하 FAR)’ 기술 표준 도입을 공동으로 제안하며, Web3.0 생태계에서의 자금 구제 프로세스를 개선 및 표준화하고, 보안 사건 보고 경로를 간소화하며, 해킹당한 자금의 빠른 동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또한 양측은 장기적으로 리스크 관리와 컴플라이언스 데이터 분야에서의 협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이러한 협력은 데이터 라벨링(data labelling) 표준 및 정보 교환 프로세스의 표준화가 포함돼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정확성과 적용 범위를 향상시키고 Web3.0 업계의 안전하고 건강한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게 될 것이다.이번 Token 2049 Meta Era Summit 2023 행사에서 CertiK은 ‘커뮤니티가 Web3.0 사용자의 보안 수준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라는 주제로 패널 토론을 진행했다. CertiK 최고 보안 책임자인 강 리(Kang LI) 교수, 어우커윈롄(欧科云链, OKLink)의 회장이자 최고 경영자인 Jeffrey Ren, 싱가포르 난양 공대(新加坡南洋理工大学)의 양리우(Yang Liu) 교수가 산업과 커뮤니티가 어떻게 협력하며 사용자의 자산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열띤 토론을 펼쳤다.Jeffrey Ren은 Web3.0에서 보안 이슈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악의적인 행위자들이 훔친 자산을 거래소로 이체하려는 시도가 많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피해를 당한 당사자들은 거래소에게 이러한 도난된 자금을 동결해달라고 요청한다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거래소마다 자금 동결 요청의 절차가 독립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정확한 기술적인 세부사항과 문서 요구사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피해자와 거래소 간의 의사소통이 번거롭고 자금을 구제하는 시간이 매우 짧다는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그는 Web3.0 커뮤니티, 거래소, 그리고 보안 기관이 긴밀히 협력해 공통된 자산 동결 메커니즘을 개발해야 하며, 이를 통해 피해자와 거래소 모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OKLink가 강력한 블록체인 기술과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CertiK와 같이 업계에서 우수한 기업과 협력함으로써 Web3.0 생태계의 긍정적인 발전을 공동으로 촉진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고 밝혔다.CertiK의 최고 보안 책임자인 Kang Li 교수는 CertiK이 OKLink 및 다른 거래소와 협력해 자산 동결 요청(FAR) 이니셔티브를 주도하며, 표준화된 자산 동결 메커니즘을 구현했다고 밝혔다. CertiK은 더 많은 보안 업체와 거래소가 이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고 피해자에게 종합적인 자산 회수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표준화된 자산 동결 메커니즘 이외에도 CertiK과 OKLink는 공통 데이터 라벨링(data labelling) 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이것은 다양한 데이터 공급 업체 간의 조사 라벨을 표준화하고, 표준 정보 교환 프로세스를 형성하며, 다방 면에서의 보안 사건 추적을 용이하게 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CertiK은 강력한 보안 사건 탐지, 검출 및 추적 능력과 함께 우수한 보안 분석 역량을 갖추고 있다. 2022년 이후로 CertiK은 약 48억달러에 달하는 1100건 이상의 자금손실 관련 보안 사건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뒀다. CertiK의 거대한 데이터베이스 자원을 기반으로 한 SaaS 제품은 현재 20억 개 이상의 지갑과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약 1만2000개 프로젝트의 보안 동향을 실시간으로 종합 평가하고 있다.현재까지 CertiK은 4100개 이상의 Web3.0 프로젝트를 감사하고, 7만 개의 코드 취약점을 탐지했으며, 약 3700억달러의 디지털 자산을 보호해 왔다. 이러한 리소스를 기반으로 CertiK은 Web3.0 업계가 더 표준화되고, 상호 운용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며, Web3.0 생태계의 보안과 규정 준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힘을 모으고자 한다.이전에 OKLink와 CertiK은 몇 차례의 협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원활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 왔다. 양사는 서로의 기술 철학을 높이 평가하고, Web3.0 분야에서의 보안과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공통의 이해를 가지고 있다.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은 양사가 더 깊은 수준의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양사뿐만 아니라 Web3.0 업계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 IT
    • 블록체인
    2023-09-13
  • 메타레어 NFT 아트 전시 ‘Driving Metaverse Everywhere’ 9월 1일까지 연장
    NFT 플랫폼 메타레어(MetaRare 이하 MTRA)가 주최하는 NFT 아트 전시 ‘Driving Metaverse Everywhere’가 연장 전시된다.메타레어는 8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시 종로구 디자인하우스 갤러리 모이소에서 진행된 ‘Driving Metaverse Everywhere’를 8월 21일부터 9월 1일까지 연장 전시한다고 밝혔다.‘Driving Metaverse Everywhere’는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다’는 슬로건 아래 진행하고 있는 NFT 아트 전시로 Seagull, DOGI, Kelly English, JAMAL, MetaRare Official 001, Peace of Bulldog, OWL, Woodpecker, LEMON 등 MTRA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아티스트들이 참여했다. MRTA는 이번 전시에 대해 익숙했던 사물 중심의 전시 형태에서 벗어나 ‘뉴’미디어와 ‘구’미디어의 결합을 통해 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한편 NFT 아트 전시 Driving Metaverse Everywhere는 휴관일인 주말을 제외하고 매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 IT
    • 블록체인
    2023-08-23
  • 엠블과 갤럭시아메타버스 파트너십 체결, 비즈니스 및 마케팅 협업
    엠블 파운데이션(MVL, 대표 우경식)이 블록체인 전문기업 갤럭시아메타버스(대표 고광림)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양사는 글로벌 생태계 확장을 위한 비즈니스 및 마케팅 협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엠블은 이번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자사의 엠블 토큰 활용 범위를 확장,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엠블 토큰(MVL)과 갤럭시아메타버스가 운영하는 유틸리티 토큰 갤럭시아(GXA)는 양사의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엠블의 자체 월렛 ‘클러치(Clutch)’를 통해 각 토큰을 활용해 ‘타다(TADA)’의 할인 쿠폰을 구매하거나 갤럭시아 월렛에서 예치 상품을 연계하는 등 적극적인 협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다.엠블 우경식 대표는 “최근 글로벌 상장과 파트너십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블록체인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는 갤럭시아메타버스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MVL 생태계에 참여하는 모빌리티 이용자들이 더 많은 혜택을 받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 클러치 지갑을 중심으로 블록체인과 모빌리티가 결합된 새로운 콘셉트의 상품을 꾸준히 출시하고 웹3 기업들과 파트너십도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갤럭시아메타버스는 올해 들어 팔라, 썸씽, 커핑(위메프오) 등 업계 리더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국내외로 블록체인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 IT
    • 블록체인
    2023-08-09
비밀번호 :